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일기 으로 검색된 결과 330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金澤龍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등서본 문건. 1934년 11월 19일, 생(生) 고광련(高光璉)이 노종룡(盧鍾龍)에게 보낸 간찰 별지로 『어우야담(於于野談)』 중 노수신일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파일지(參奉派日誌)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庚申三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留此之日居多耳。槽洞能從與之同館。其大人西遊未返耳。望日過享後。卽欲發還。而爲月松文集事。不可不少俟幾日。此意另議于參奉。冊子必圖速速送來好矣。適因牟陽柳先達下去。付此紙于禮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일기 원문에는 20일부터 22일까지의 일기가 중복 기재되어 있다. 같은 내용이어서 번역에서는 삭제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壬子日記。開國五百二十一年。【古甲子。 玄黓困敦】春王正。甲子。陰。三陽雪。 自夜終朝而來。索身數卦。 則重坎水。二爻辭。 "坎。 有險。 求小得。" 象曰。 "求小得。 未出中也。" 大象傳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內外曾玄數十人嗚呼方公之獻賦聖批寵褒之日榮動鄕邦尹公碩茂致賀于石崖先生曰胤妙新製特蒙恩批榮光動耀湖山千里之外吟病老靑衫其於仰感俯慈之地應有肉骨蘇嬴之快栢悅之地慰賀不已徐公一榮抵公書有曰聞兄獻賦紫宸寵褒恩批其爲榮光溢於千里湖山之外使吟病老親聆好音而宿疴去體悅親之道孰大於此奉石崖先生疏如京之日上舍林公德鎭贈詩曰曾聞司馬好壯遊書劒遍尋江漢湄孰若吾君斯一擧悅親佑國兩兼之韓上庠馨履題農政疏後曰深得古聖王制治之意指摘當時病農之弊雖不得行於一時後之留意於仁政者必有取法於斯矣公在之日期待推許之得乎人如斯而展施蘊抱旣無其日公沒之後致敬乎遺文如彼其至而藏在靑箱尙未鋟梓而公子世其於後死之責何嗚呼痛哉不肖曾孫奎植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韓養吾爲朝散大夫行光陵叅奉者康熙二十八年正月 日己正別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비변사의 회계하는 계사와 그에 대한 인조의 답변은 『승정원일기』 인조 16년 8월 14일에 수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郊日記)〉에 의하면, 이 시는 1661년 4월 27일에 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郊日記)〉에 의하면, 이 시는 1661년 5월 13일에 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月五月至己酉十二月晦日 利加合一千一百十八兩 仍置錢四百四十七兩二戔 庚戌周年利加合一千五百六十五兩二戔 庚戌十二月初日記不入利加七兩二戔合一千五百七十二兩四戔 庚十二月日 十五-六錚一介 庚戌四月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日氣和暢。 越翌日雨滂沱。 보현(寶鉉) 김보현(金寶鉉)을 말함. 저자 김영찬의 일가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對微乎微乎理所始也昭乎昭乎氣所著也鷄子中析車轂左旋而百昌同宗萬運一寤藐然中臼具玆太極理吾其性氣吾其形則制從之妙宰乘之機求諸腔子庶可鏡驗矣然芒芴無朕涬溟難推窮格上工夫歸來乎盖寡則幻語之警聾冥塗之對盲于今世果然吁其終莫我講而矇斯人耶寥已玆者何幸有孰事理晦而顯氣衰而旺機有所須意非偶然敢辭吐氣仰質明理嗚呼大造萬化妙用無方而亦言其有幹只是箇理氣盖靜闔動闢而樞菀在一寒來暑往而推遷於四以至物有萬彙而消息以時事有千緖而盈虛有數則理氣功用厥惟太哉吁乾坤爲萬物之祖理氣爲乾坤之用而惟人也得之最先故其理一乾坤之理其氣一乾坤之氣理乘乎氣氣運乎理惟其從來互莊相資則人之爲人亶在是乎惟聖妙缺人文宣朗而之妙之機暢然分坼則理氣之在人者得矣世入長夜聖學不講而精微之義幾於晦盲則理氣之在人者錯矣雖然時晦時明莫非其理也有衰有旺莫非其氣也一理循環而無往不復一氣流行無處不暢則轉移之機厥理不缺倡明之道惟學當先后于人者曷不念哉嗚呼理倡於前氣隨於後而橐鑰流行同一理氣則渾乎闢乎離乎合乎原厥鴻濛寓諸這理而鴻蒙判而形天地天地滅而返鴻蒙則旣滅之後其未判之前乎在氣者水而氣在理中乘馬者人而理乘氣上則譬喩之義不言而詳形而上者形而下者易傳說也器亦道也道亦器也程氏言也上曰理下曰氣器便氣道便理則吾有所指豈無配屬會極歸極箕子陳于洪範無極太極濂溪著于圖說而極之一字不外理字專言兼言亦可言乎思孟兩聖言性而全本然洛閩羣哲言性而兼氣質渾然至兼者理也或不能齊者氣也不言理則非性不言氣則不備性豈二要缺則人心惟危道心惟微四端爲性而七情爲情危微分於理氣理氣判於性情則主看缺意或可管窺天地生物有若大芋之小芋而可見其生出一海有水或取一勺與一擔而都是缺海水則二賢所論無餘蘊矣噫先儒氏說理氣多矣理與氣合方成箇心者陳先生所言理配於氣以之成性者朱夫子有訓分而對待許子大儒指爲一物羅氏禪學曰心曰性逕缺難分而一混一別得失有在大抵混沌不死磅礴亘存前瞻無始後際無終則千古前萬古後斯理之至善者盖嘗如一日矣陰躋風雨之氣有時乎推盈而不得節歟水火金木之行有是乎雜糅而不順軌歟升而降飛而揚參差焉有不齊歟胡然耳人之氣有淸濁有粹駁世之運有淳漓有汚隆人非古人世非上世歟沂洄澄嚮載籍極漙而千百人中善人者一二十九世來治世無多原菽未見而蓬蒿滿目庭衣無聞而干戈今轍則君子人之釀感於千載下者夫豈徒然哉吁今古一理盛衰一氣稟之爲性者天地理也受而成形者天地氣也古何人顔曾而今否也古何世唐虞而今否也嘗聞諸古之人曰天地萬物本吾一體吾之心正則天地之心亦正吾之氣順則天地之氣亦順苟能是也天地亦可正天地亦可順況於人之理乎況於人之氣乎然而率性之謂道修道之謂敎而非學無以率性非學無以修道性道之明亶在於學而倡學之方又責之誰其惟理萬人者乎志亦曰吾性之理則堯舜理也吾形之氣則堯舜氣也堯爲堯舜爲舜無他焉全其理與氣也理之全氣之全無他焉在於學以明也克致誠正應工夫以爲一己之學又推心得應功效以爲一世之學則風尙草偃亦一理也上行下效亦一氣也觀感焉興起焉人人程朱家家鄒魯而復天地正挽氣數變不難致矣猗歟休哉嗚呼一物不格儒者爲耻矧原理氣人所得同而學所當先者乎愚乃蔑識淺見今於執事之問掇拾陳梗破絮者若有所自得者然其與瞎者評五采聾者之談六律幾希矣惟其自期者則有之番思明卞勇脫力踐遠躡邵子之天根善養孟氏之浩然以是勉於心而有不可得矣執事小假顔色而無曰無理氣焉謹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眉巖日記·大韓獨立抗日鬪爭總史·高麗崇義殿史·文廟聖賢略史·三綱錄忠臣編·朝鮮儒賢淵源圖·光州鄉校慕聖會案·青邱風雅·谿磵酬唱·先賢手簡·朱川鄉約、中洋錄·喬桐史·麗末忠義烈傳·東國文獻補遺·光州遺蹟史

상세정보
3305
/166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