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일기 으로 검색된 결과 3305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氣二。一二以還。有萬其數。凡有形器。各具一極。無一氣渴。非萬理息。紛紜轇轕。孰能齊物。卓彼先覺。會萬歸一。性善一語。千載眞訣。仁統五性。元首四德。萬豈有餘。一非不足。孔易讚繼。曾學在止。擇又固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漁樵亭記【淳昌伊洞林道明】 玉川之懸友干者幾數漁汀樵峰居其一昔在奉親兄漁弟樵供旨溫突莫不便宜人皆稱以孝有矣今合漁樵爲一起亭而因爲名焉人則二亭則一其於反也楊椿楊津之廳堂幃幔是歟嗟乎世與周違漁而不至文王之遇晚地敻天台樵而無旁景思之招絶然則江渚上蘇仙之伴歟桐栢下董生之儔歟壎兮答夕陽笛箎兮和滿江紅地少不生塵之句登斯亭者必不信矣且宜詠詩詩韻淸絶滄江白石之路修契君子何其多也樵草縮酒酒旣美矣漁麟供肴肴其旨矣鄙姪龜洛奉敎敎余忘拙豈徒以記韻而已第待暇隙沽酒聽歌之餘共和拆薪之詩爲期停琴山之琴早晚作明朝我抱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其性者。一本之所以萬殊也。同一太極者。萬殊之所以一本也。盖理本混然。初無不同。而氣有淸濁粹駁之不同。故稟其淸者爲賢。稟其濁者爲愚。而統以言之。則人於天地之間。獨得正通之氣。故其心最靈。而其性最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蘇海亭三一契序【其二】 三一奚三是宗族也從遊也門徒也一是三者同一其辭也既曰同一其辭則曷不曰同一契耶此則不然三擧大數也一合以言也斯義也惟知言者知之嘗聞蘇海居士早知生三事一之義足跡遍及於淵勉松弦之門師友正矣學識優矣以此而事親宗族稱孝以此而接人鄉黨稱賢以此而教人英材多就居士於學可謂勤且勞矣與余相識於鳳山觀其擧止聽其言議殆昌黎所謂文與行不失其世守者也敎余作蘇海記妄自抽管矣其後再及於日谷是三角山下一區仙庄也見其所居蘇海亭子者蓋曰上章之變抗義投疏知其中沮三哭宮門一日還鄉茅棟成於其大人公聾亭之下日日三省一如侍側之禮奉先思孝可謂極矣東渡後先世墳墓不詳其所於是布告諸宗自光山伯以至諸伯次第壇墠三月之日一齊芬苾且設宗契不限三百郡之遠都聚在一案光山氏於是乎三南一大家也壇享之明日宗族從遊門徒齊會于亭揚觶而爲蘇海壽宗族則曰吾宗之振久矣幸而善端復萌春雨滋長者莫非蘇海之德從遊則曰推親及疏賙窮恤貧待以擧火者幾於一坊吾儕得聞義理之談囷載而歸者惟是居士之賜也門徒則曰頹波之中講明春秋敦尚忠孝知有君父之倫者自是先生之力也因此三言者之出一而曰三一其善名乎推余爲後叙辭不獲乃演其餘義而爲說曰生三事一亦三一也三角下一區亦三一也三哭宮門一日還鄉亦三一也日三省一如侍側亦三一也三月一齊芬苾亦三一也三百郡族聚在一案亦三一也推之又推無往非三一三一之名廣矣哉參三才之道而爲一身之主宰者非心乎願契中人日三省身惟心惟一則契可保於悠久請以是爲序己卯南至月日咸平李鍾宅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附條約 一本齋古無今有吾鄕立志之士各加勉勵使至傳後事一訓長一員自接中付標居接時以爲勸課事一別有事二員自接中薦望四員圈點而從多點付標事一居接製述三十人講經五人定式事一居接時自接中特定接有司一員白場及收米時應下記外餘數米谷元有司設接日一一傳授事一本齋庫畓當初買得時皆給準價決定先坐風霜虫水四災外皆捧代石事一畓租每石八斗作米事一保率四十名這這充數春秋收米一百六十斗無減畢捧事一別有司秋收打租時供饋責應於作者保米收捧時每行無過累日事一保率收米外有司不得來食而接抄白場五時支供一錢紙價完定事一元有事接糧傳授時如有升合違約之弊自接中責罰事一節扇元有司二員各一柄色吏一柄庫直一柄價錢各柄三錢爲定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蠻徼陟險 順天左水營前洋俘人所載船十餘隻共渡安骨浦舟行三晝夜到一陸村家異制衣裳亦殊是對馬島也又二晝夜渡一大海涯岸漸近蒹葭蒼蒼望見一陸卽倭之壹岐島云浮海五夜去國千里君親消息無地憑聞因悲絶有詩翌曉發船渡一海卽西海道筑前州之殘島也下船登陸至于豐前州之中津村而宿焉厥明又渡一小海是伊豫州之浮穴云我人被擄先至者已盡化爲倭形見公號泣冤慘千般耳不忍聞目不忍見有一倭僧以飯一器菜一盂魚一尾朝夕供饋公自以不知君親存沒却魚而只進蔬食又自憤歎曰嬴秦棄禮仲連欲蹈東海武王伐暴伯夷遂餓西山況此賊何等醜奴何等讎敵也到今不死食讎之食寧不愧於心乎千思百慮只圖還歸而無路渡海適遇務安士人徐景春卽在國相親者也共敍懷土遂謀返國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철종 즉위년 6월 9일 24번째 기사 일부를 베껴 적어놓은 文 승정원일기 철종 즉위년 6월 9일 24번째 기사 일부를 베껴 적어놓은 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臥一起。毋或輕遽毋或放縱。洞洞屬屬。戰兢臨履。恒使心地。寬平坦蕩。而不至肆志任情。則沈疴可以脫然。而調治之際。藥餌亦不可全闕。吾意則精約。無如福一其次。則鄭德輝也。詳議細問。間間試服。可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凡例 一安昌之於丹邱非東征而初逢曝曬一行實爲東征大綱故弁於卷首統而言之則安昌亦東征也一東征詩句未免嚼蠟恐有貪多務得之誚而非曰寫景實爲紀行觀者詳之一此卷有綱有目日記路程綱而詩題路程目也綱中有目目中有目日記路程下註疎綱中之目也詩題路程下評論目中之目也覽者識之一所到處紀行或多闕略而一番看過有難細摘且所謂指路者率多疎漏終未免走馬看山觀者恕之一樓臺寺刹往往多今古題咏而計日經過急難捃摭間或有一二記載者非以此優彼劣而存拔也一路程亭堠或有不分明處故或書約或書可或書許或書餘觀者參互考訂可也一椒泉翁詩篇當載上行而非徒路程之始終不同逐題幷錄多有掣肘故不得已依前賢題咏所載例別錄之鈍人隨錄卷之七光山金震休龍汝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者金曺兩少年自松菊亭歸來口傳族叔之安否手致族叔之感韻解我菀者平安開我眼者佳句嗟乎病俗殘骸退臥空山藥無可醫而如得良劑者此也世之起信險膚以斷髮爲是而家說戶喩至于威勒無罪而走是何世界畏劫而隱是何世界宋之章甫用之無地於越爲笑明之網巾效而欲畫於今有感我辰安在之詩靡日不心誦而發歎豈獨我也族叔亦應如是矣賁然之示族叔之情則吾許而族叔之步則吾不信也日寒路滑果以情展步耶吾亦六十餘年有情之地有一族叔焉而合席論懷間日爲計有髮之罪自發于心恐遇操刀者於道未果而止至一而又至二也然山路來往則不遇所畏者而似避矣日其暖也以族叔之惠然豫料而掃榻耶且孫婦新行日差以來月初五日起送根宅矣彼言曰更問日家詳悉吉凶而數日後通奇云姑未知的在何日也汝賡之韻姪亦在感歎之中敢不效嚬高興梅花評吾家二首詩幷爲所選旣爲納名亦賢乎不選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基瑢覽魯錦溪日記。 有曰。 "與中原人。 自日本而來。 波濤洶聳。中原人見而相謂曰。 '中原界漸近'。問其故。 '長鯨承陽而上。 水淺之處遊也'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遂上上院, 餘在香山日記中。 안심사(安心寺) 향나무와 사철나무[萬年枝, 冬靑]가 많은 묘향산에 처음으로 세워진 사찰이다.

상세정보
3305
/166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