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이황 으로 검색된 결과 1643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柳丈行源【孝根】 退之未幾仰之益深不謂胤友來致其大人手札倒屣迎盥手讀愧先於感而況得審侍體候依舊萬相伏慰伏慰下敎云云若不山房則中止似好生本以讀書之計求此靜寂而以外人觀之未免學究之譏目矣無文空腸何以得此於時人耶伏願察而恕之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東精舍開基祝文 道峯屹然聖山接起蔚彼高山惟久仰止地名不偶孰興聖道蘆松二祖講道此墺士林景慕舍是曷以況乃後承興感在此見今時尙猶不古若由吾道孤俾熾異學剝盡復生豈無其望讀書求志玆謀建堂天慳地秘爽塏一丘取吉築址俾賴神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李是菴【直鉉◯幷小引】 與景晦同來勿溪聞是菴以皇廟祭官押槐山兵站所不屈酌巴。溪水享酹而還。遂幷轡踰舞月嶺。至武陵。呈述懷韻。士當碎首護陽秋。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府東▣……▣其墓直奴身役▣(及)烟戶雜役勿▣(侵)…▣營府完文是如中年見失於火灾云大抵士夫宅墓直奴身▣(役)與烟役之勿侵自有前飭而況此 國中大姓氏宅始祖墳山有異於他則墓直之擔此諸役是豈成說乎玆更完文成帖出給以爲日後勿侵永式之地向事乙巳六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主翁信爾惺惺否。喚我三時警我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遐擧物外。一洗塵累。快且壯矣。何添惱之有。妄算食約。失我好事。歎如之何。書後有日。伏詢體上更若何。弟千睡爲隣。伴遊無階。獨往羊山。過夏計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裏黃昏忽露稜。千里非難如一里。自其變者揔爲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經霖半已黃。野望隨處好。江南最玆鄕。秔稻上隴平。荳菽過腰長。田事幸少閑。村舂午猶忙。何來牛背笛。暮歸北山陽。隣翁戱兒孫。村墟步月光。今歲樂豊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湟近經心疾。嘔出數斗腔血。神精飛越。促必甚急。倉卒構去。眞所謂疾走無善跡。悚仄何極。秖資覆瓿而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在悅親之地乎。食物之惠。非他宴需可比。其爲情感則深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權郞廳絳書 昨奉緣擾未穩歸猶茹恨卽承惠緘仍審夜謝旅候曼相允叶恭禱記下所苦寒感終未夬袪自憐自憐示意拜悉誠是不難事而況兼有主人上庠之托乎趙雅雖無素分一見可認爲文章士也娓娓淸譚令人起敬臨溪驛所去傳令依戒書呈耳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度武陵潭【自花遷十里】 大野茫茫長江滾滾參差林木間無數村店似江村如野屋夾道森羅不徒有繁華物態更兼得幽闃意想赤葉黃花晩色秋百家如畵近江浮迎門駟盖臨長道隔港魚鹽泊小舟老柳光陰堤十里黃梁課業野千疇貊人古國今何在往事傷心易白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尹原州濨一書 乍阻詹誦獲拜下翰仍伏審履玆政體萬衛實叶仰禱記下永日公館苦無消受之資只自咄歎廉聲果所願聞者而况當寂寥之際乎旣承來汝之敎敢不翼如也少選當晉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容儀動止。可以稱法拂爲之獻賀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善源爲佳兒求詩【沈發】 金罇綠酒漾微波纖手調絃一曲歌無限春愁兼別恨滿城風雨落花多暫將羅袖掩啼痕南浦悲歌酒一樽惆悵不堪離思苦滿庭花落易黃昏離情此日轉依依何事啼鵑又勸歸自恨不如江上燕一雙征路逐君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年四月二十九日斬倭三十級報體府書目 能以我寡進接賊衆斬頭甚多奪取軍器忠憤敵慨之實尤可見矣而況從事幕副之盡得其心樂於效死立功乎並爲嘉嘆軍功段一一狀啓爲在果倭頭旣直送于都體府是齊物件段還送爲去乎各奪取人卽俵給事

상세정보
저자 :
송인호(宋寅濩, 1830~1889, 조선, 저)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嗚呼人之禀性一也而氣味不同或好文華之燦爛或重躬行之篤敬是二者各有成家而孔夫子所謂文質彬彬之君子則罕覯焉以余觀之內行純篤而文才雋英知行兼全者如行源堂李公益坤氏之彬彬者寡矣噫公之自言曰所讀不過啓撃蒙小大學而己而惟所述家訓等諸篇殆若雲霧中玄豹特露一班丹穴裏瑞鳳纔落片羽然引用四書五經如磨驢之就熟路且於理家之道巨細悉備字字句句志各有在義各有當使人人能服行此訓則屋之溫潤可如執左契此奚特爲一家之遺訓哉於乎休哉公性孝自幼孝名溢世事親始終一遵小學之道至誠感格有燕感虎感之休徵昔人作蕫生行雖曰生祥下瑞無時期然豈有若公家之驚世絶俗乎常曰爲親營壙不可酷信堪輿之術然彼安此安子孫昌盛程朱亦有云云則其在子孫之道不可不盡誠一日過雲嵐靈山遇葛衣道士得秘書四卷潛心致力求得纍世安厝之牛眠此非孝通神明之致歟由是世人稱之曰此地理大家此則淺淺之知公者也若有月朝者論公之全體則必曰孝爲本文學次之地理又次之此當爲着題語也觀於一省多士之薦狀及蘆門三鄭之稱述可見矣而況自上有童蒙敎官朝奉大夫之褒贈乎此可曰公之食報也然在公無恙日若有楊伯起之薦則以公大經綸大器局移孝盡忠國家世道不無風化而竟以一布衣齎志黃壤此千古志士同其不遇之恨公獨何爲哉其所遺略干詩與文皆出於赤心而成於咳唾其爲後昆器重之寶藏之宜若辟寒招凉不以千金易也顧此滄桑浩劫恐湮沒無傳合附錄而付手民也秀士昌雨來徵首簡之役余敢曰公之特行州里之公誦至今如昨而況前後諸立言大家之叙述日月明於中天必不朽於來百矣何待鼠頭猫腸之蕪說也哉因牢辭而終不獲乃以託名爲榮妄畫蚯蚓如右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撫育幼孤。不負亡夫之托。又豈不賢於人一等者乎。竊惟忠孝烈三綱。言雖殊而義則一也。假使金氏爲男子之身。當國家板蕩之際。效忠於君父。若事夫之爲。則扶倫紀樹風聲。豈淺鮮哉。吾將表而出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此恒陽之爲咎徵耶。於此而有警發個理段。顧此十寒之餘。未有濬漑之力。豈止於枯而已哉。抑將有鮮能生之戒矣。

상세정보
1643
/83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