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省居在玆。百世謂接踵。況此生幷時。非敢露鋒潁。略此有新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不備候上.甲戌二月卄六日, 弟 金成基 二拜.○ 관련 문서1934년 김성기(金成基) 서간(書簡) 1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今頗成器。斯可友一國之善士。亦可友天下之善士矣。兌之大象曰。君子以朋友講習。程叔子解之曰。兌悅也。天下之悅。莫先於朋友講習。且動箴曰。習與性成。聖賢同歸。習齋盍相與天下之善士。講而習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三省其身。而用工不已。則是微有些査滓去未盡底氣像。故朱子云然。此與孟子動矣未變。顔子變矣未化之意相似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時省其私。隱然以聰悟之不及人。不能無疑沮之慮。故於其歸也。書此以贈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無何翁石灘文貞公之父也其生長於退溪先生三年其仕在於中明兩朝之間其官自史翰起居登館閣掌書命亦一時之名臣也其卒則文貞公方四五歲其後文貞以學問節義有名於世豈亦公之遺敎也歟余在翰林見史院題名記有公之名而未省其何如也及讀文貞碑而知之傳曰立身揚名以顯父母文貞之謂也哉公始與退溪諸賢遊其所與唱酬諸詩具在集中可以想見其爲人焉其文游衍通暢讀之可喜詩亦遒建不煩繩削而爲者然中經喪亂其存者不能十一云後學漢州李宜哲謹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可川 省丌下 入納莘湖 謹拜上伻去後 憂患轉甚 迷兒繼又言病 今方起送 尙亦未披 須爲腋護 使勿冒風如何 伏惟霜令尊堂昆季 兩位氣力 報佑康寜 侍退餘 棣體候益膺 湛樂萬重 仁庇渾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餘立竢, 不備候禮.甲戌菊月九日, 弟 金成基 二拜.○ 관련 문서1934년 김성기(金成基) 서간(書簡) 2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원문: 白君省几回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我先子文正公以天成之姿髙明之學續絶緖於箕邦及門諸子靡是不名分碩儒而其拜理之精深文章之炳蔚如先子之長壻月溪趙先生者無幾矣先生嘗以童時試製人文俱佳見取於先子西出入甥舘操飭雅望動於儕流或師生言志亦被知我乎之奬噫觀於斯可以知其所蘊之萬一矣至於官階履歷奏對諸說已詳狀德不必架疊而只論先生大畧則資稟俊偉用力於格致存省期至乎盡性知命之地不以小成自安而尤篤於生三事一輔世長民旨道屢致君上之嘉納將有登庸之望而因病歸歿嗚呼惜哉此亦運氣所關邪何天之豐賦於先生而反嗇其壽使斯民不得見其至治大猷也哉此不無猶所憾於天地之大也慰當時儕友髙峯則許以見道髙明松江則稱以德行經術子非泰之友也夫奇鄭二先生豈無所以而然哉此足以不朽於百世而第其平日所著述不幸家世中否十逸八丸實爲譏者之所恨後孫鏞永氏懼夫愈久而愈泯窮白首蒐輯要余以編摩之役而因於風亂未副其願奄哭地下已經三載而今乃泚筆於其胤信濟與族姪應濟之請人事之變有如是夫歲上章攝提格春三月下澣鶴城載石謹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幾者心之欲發未發而動之微也善惡由是而分焉則君子可不謹獨而審其幾乎盖性者心之理而至善者也情根於性而直出故亦無有不善此孟子所謂乃若其情則可以爲善也夫動之初幾之微而所以裁度者意也此時若不察其幾而誠其幾而誠其意則心失其正而爲不善矣程子暮歸喜獵其感動者情而所以喜之意也未動而能動者理也未動而欲動者意也動而未形有無之間者幾也此周子所謂誠無爲幾善惡者也察其幾微之際持其精一之工而情之不善纔發遽遏而絶之不使容着則可以誠其意而無自欺矣朱子曰意可以僞爲情不可以僞爲盖情則直出於性而未及作爲者也意則因所感而細繹思量者此所以不曰誠情而必曰誠意者也楊雄曰學所以修性凡物有懷然後可以修爲也性本至善則有何可修者乎易言洗心盡性記言正心尊德性何嘗曰修其性乎情出於性而初無不善則豈可曰誠其情乎推意之爲用易私而難公故必曰誠意者蓋以此也噫此心將發之際所以審察而裁制之者非意乎其所誠意者必有持敬之工然後其發而爲意者自然眞實而無妄朱子以審其幾爲誠意之工者其亦精切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태: 상단이 찢김 *원문: 白斯文省几回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閭恩典矣其亡親炳憲性雖純孝於養生送死之道終無餘憾而晨夕省楸之行至孝不懈焉其爲文學篤實累中鄕試竟至冤屈衆人所嗟昔者也同洛坤自幼時習見知其禮節克紹家風終亦无憾而家勢淸貧躬執農役然每忌辰躬往觀市每朔望雖惡雨暴雪往省其祖與父母墓所曾未嘗間闕此則一境之所共見聞也惟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未得省記慈顔。爲八十年來痛恨。而且貧窮。無所事爲於追先之道矣。日吳君秉南甫。以書來。諗其春暉亭記。覽之。自不覺泫然出涕也。噫。秉南自中年失怙。後承歡偏慈。志體俱養。撫摩疾癢。動息康寧。受天之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全羅道按廉使時陳倭寇防禦之弊啓辭 自有倭寇以來一道置戌多至十八所軍將虐州郡以立威役戌卒以濟私遂使凋弊逃散及寇至更徵州郡兵謂之煙戶軍未見禦寇秪以害民不若罷諸戌令州郡謹烽燧嚴斥候以應變如不得已當審其要害省其戌所則民力舒而軍餉節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 仁同人 咸平郡咸平邑津良里辛酉九月十六日初獻 文德吉【生己酉】 南平人 光州市鷄林一洞亞獻 柳謙重【生壬子】 文化人 潭陽郡昌平面維谷里終獻 張正彬【生己酉】 仁同人 咸平郡咸平邑津良里陳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奇才。鄕人欽稱。甲子六月二十九日歿。享年六十。葬于莞島鳶峙山酉坐之原。夫人金海金氏。國化女。天性溫淑。尙無恙在堂。以食天報。二子。長昌鎬。有男濟國濟八濟喆。次秉鎬。有男濟元濟七濟澤。二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省己之滓。或有未盡去者乎。九野閉陰。氷沍彌滿。臨之瞿然。回顧己之工。或有未盡戒者乎。蓋江之四時。景各不同。而居士悉取以資學問樹立。如居士可謂善藏修矣。而其趾先裕後之謨。足令後世繼今居斯亭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三省其身。至於衆人。固當百倍其工。一日十省而後。庶幾有得也。李君載春自病身心之不修。求藥於省。扁其所居。蓋知其病源而又得良方。則厥疾自瘳矣。雖然徒能言之。不能力行。則外扁非心齋也。惟是以實心做實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