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夢賣 으로 검색된 결과 174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것은 일종의 크게 음특하고 보잘 것 없는 사람이 근거도 없이 인형을 만들어 놓고 이를 빙자하여 무리를 불러 재산을 편취하는 자루로 삼고 있는데도 세상의 몽매하고 어리석으며 몰지각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他矣是知憸邪之人不獨誠彥也平時被駁於臺諫或不容於士論者咸欲藉荇之去而暗報其怨說託臺諫歷論士類騁訕馳毁而聞之者不察轉相非是亦可歎矣大凡邇來篤道循理之士抗言直諫之人間有登揚出入乎臺諫侍從或開陳道學之源講明修齊之實或不諱時政之失辨別賢邪心分正論法言布逹於朝廷人心自然矝束稍知爲惡之可羞積久陋習漸自斷絶酒色淫穢之徒儇浮譎誰之曹不敢自恣羣怒而衆怨之譁爲謗議窺搖正直相與言曰主上求治太急下人爲善甚迫此豈致治之道歟嗚呼小人之惡治好亂如是夫且曰某於上前陳某言大是異事某與某人聚會講學此乃朋黨某於某處論某人之失是爲私憤胥動浮言熒惑人聽必欲人人懷不平之心君子不得安其身動輒指觸務爲傾軋然如此之人亦豈多乎哉太抵今時之病徒務苟具姑息而不問曲直不擇賢愚同收並用未嘗分辨故賢未必在高位邪未必在下位是非蒙昧黑白倒置方正見悔於邪枉正道或有所湮晦良可悲夫賢邪用舍實關治亂未審殿下知基賢而用心勿貳乎知其邪而去之勿疑乎少或不察則賢邪之所混而治亂之所分也可不愼耶伏願殿下果知其賢則信而用之不爲邪譛所移果知其邪則去而絶之不爲浮議所勤明宗好惡然後正士滿朝而人皆革非爲善矣自古小人指斥君子亦有數語曰朋黨曰僞學曰詭異强作曰釣名沽直千謀萬計必中而後已君子則不然正已守道進退以禮得失付命唯義之安嗚呼漢有黨錮之禍而王室從而亡宋有僞學之謗而君孚不得志此在聖明所當加察也伏覩殿下講學之功不篤輯熙之實未盡擇善或不明執德或不固其於羣議騷動難保其不動臣未審殿下之志慮果如何也殿下興儒臣講劘學術非一朝夕矣必知格致之方存省之道矣將用力於獨地而爲應事接物之本者如日月之昭明則光臨羣臣賢邪自不得遁其情矣何讒言之足懼哉然巧言大萬所畏佞人孔子欲遠聖人必不爲基所移而愼之若是其慮周矣伏願殿下日開經筵親近儒臣切磋義理之奥謹辨心術之微使事物乙變瞭然眼前而且將窮理以開其智持敬以養其心常令此心之德光明正大不容一毫之私焉則不但不爲異議所昏足以爲修齊致平之本而基宗社萬世維持鞏固之業矣殿下潛心焉臣伏聞讒人之扇亂不勝憂慮臣雖微賤職忝侍從而病不得進諸論啓退伏於家情不自已仰陳所懷極知言之一發身且難保然愛身戀爵抱言不達以負殿下非臣之所忍也言有盡而意未畢白徙仰天流涕而已丙子十月朝講以司經啓曰此云子曰立愛自親始敎民睦也立敎自長始敎民順也釋之者曰愛敬盡於事親事長而德敎加於百姓論語曰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悌也者其爲仁之本歟夫孝悌百行之原行道自孝弟始則仁民愛物皆可以此推之未盡孝弟則雖欲仁民愛物旣無根本其何能爲三代以上在上者先盡孝弟之道故下皆效之各親其親各長其長而有比屋可封之俗此無他自近而及遠其勢順易故也後世則不然徒區區於刑政之末而不用力於根本故乃無和順之氣悖逆爭闘之事起矣夫舜大孝也孟子曰瞽瞍底豫而天下之爲父子者定盖天下之頑莫瞽瞍若也而舜能以至誠事之故烝烝乂不格姦其效至於使天下後世爲人父子者之心皆安其分此乃大孝也舜雖處人倫之變而上之爲孝當以此爲法行之至誠則下皆感化而風俗自至和順矣若欲以刑政治之則無根本不可爲也丙子十月夕講以司經臨文啓曰光武之光復舊物身致太平者以其務學術講論經理夜分乃寐勤於治道乙效也然無罪而廢正后直諫而殺大臣光武雖有不世之資不能爲修身齊家之學而其時大臣亦無引導輔翼者故有此失也人主之於學其可忽乎戊寅乙月夜對以侍講官啓曰治理何有古今哉但在乎爲不爲耳雖三代之時若不力行則何有治效乎至於聖人之學不明於世君不知王道臣不識引君之道徒以伯術苟且之事以說其君旋得旋失而治亂無常人君若以古昔帝王之道發憤行之則其臻至治何難以常情觀之堯舜之行事果似巍巍廣大邈然難及也天性則堯舜途人一耳而無古今之異苟能格物致知精一執中則治何難致後之儒者長於習俗之中各拘所見不知敎化之何如乃曰世道日卑人心不古其何能復三代之治乎是則妄人也若眞實着力上下發憤力行則豈不成三代之治平卷之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세상이 이러하니, 이렇게 한가하게 말해선 안 되지만 마음에 의심스러운 점이 있으면 멈출 수 없으니, 형은 합당한 때가 아니라고 배척하지 말고 상세하게 가르쳐 주어 몽매함을 깨우쳐 주시는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蒙昧無知。不能形容德美之盛。罪死難贖。今則窀穸已掩。儀形永隔。嘉言善行。日遠日忘。故與弟南洙。謹記平日所見聞與夫爲學大致。撰次如右以竢當世立言君子之裁擇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可推也以還穀而言則還餉之法刱於高句麗故國川王而糶糴之名昉於勝國成宗之辛卯至本朝開國之初亦有義倉世祖朝丁丑設常平倉莫非古聖王省助之義漢家賑貸之政而耗者取名乎崔鼠之耗也每石以什一條取一斗五升爲耗穀而斂散於民積貯郡邑者厥惟久矣孝宗朝承壬丙之後經用匱竭因廷臣金應祖之建請以爲一切權宜之術盖出於不得已之政而以假借爲名未卽充償至于今仍爲經費者實爲聖朝苟且之政也溯古而論之斂散之術齊以管仲而霸糶糴之利魏以李悝而强後來漢之耿壽▣▣長孫平宋之廣惠倉皇明之豫備倉皆踵此法而行之其曰取耗補用臣實矇眛未敢搜據也臣伏讀聖策有曰國初三政本是爲國爲民而設云云盖國有三政而後國爲國民爲民而三政不擧則國不國民不民矣到今百弊俱興三政有其名而無其實以至民國之俱困厥初爲國爲民之本意果安在哉經界所以分田而兼幷之家橫行則量案錯矣部伍所以詰戒而狡黠之丁逃脫則尺籍枵矣積貯所以備荒而奸猾之更舞弄則倉簿僞矣故田有川浦之徵丁有黃白之簽糴有加疊之斂究竟則國無其利民有其害夫民國一體也害毁於民民不可堪則國可得而安乎窮則變變則通古今之通義也當此之時猶復伈伈泄泄不思矯革之方可乎量案錯而有川浦之徵則當改量而正經界矣尺籍枵而黃甬之簽則當査括而嚴部伍矣倉簿僞而有可疊之斂則毋寧蠲蕩而紓民力矣然而此擧左矛右盾掣肘極矣欲改量則人不逮古而財又難辦欲査括則冒稱之幼學投托之閒丁匪無其人而括簽之際易致混淆欲蠲還則取耗補用匪今斯今京司外營日支月給之需又將何取而以給其代歟旣不能罷又不能捄則將見民國之胥阽于危矣然則如之何其可也傅巾有人此有土有土此有財有財此有用有人有土而患財用者臣未之聞也湯以七十里而王文王以百里而興我國雖僻處海隅地方三千戶口百萬較於戰塗七雄之世則亦足謂萬乘之國也昔羅濟麗三國分據一隅土宇未滿千里然而羅氏制梃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그러나 하늘에서 받은 본성은 어리석지 몽매하지 않아 매번 정공의 일이 세상에 크게 드러나지 않은 것을 생각하면 일찍이 탄식하며 대단히 한스럽게 여기지 않음이 없으니, 이에 사당을 세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바라건대, 재량하여 가르쳐 주시어 몽매한 이를 깨우쳐 주십시오. 그렇게 해 주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부디 일전어(一轉語)84)를 해주시어 저의 몽매함을 깨우쳐 주십시오. 心經次序。書以首之。詩易論語次之。庸學樂記孟子次之。是次序以進學次第爲先後之序歟。聖賢所著之時爲序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嘗患湖南之一種士習, 薰染於奸澈, 專務驕虐, 不循義理, 或自托於節義, 而專然曚昧於名敎, 或慕效於淸談, 而實是貪戀於利祿.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이에 충정스런 마음이 모이는 바를 힘써 글로 작성하여, 몽매함을 무릅쓰고 진달합니다.전하께서는 참으로 유념하여 맑게 살피실 수 있으니, 한두 가지라도 채용해 주시고 결단을 내려 주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 몸은 비록 못났지만 또한 현인을 좋아하고 벗을 친애하는, 타고난 성품을 갖추고 있으니, 어찌 한번 달려가 찾아뵙는 것이 마땅히 시급한 일이라는 것을 몰랐겠습니까마는 몽매함이 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알았다.가령 국자 사유(國子師儒)의 자리를 차지하게 하여 인재70)를 인도했다면 인재를 육성하는 효과가 꼭 여기에만 그치지는 않았을 것인데, 이제는 죽어 묻혀서 배운 바를 펴지도 못한 채 몽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명대의 학자가 많지 않은 것은 아닌데 옛길로 함께 향하여 붉은 깃발을 이미 세우고 상제가 곁에 있어도 몽매하여 높일 줄을 모릅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가업을 잘 계승하였고 원문의 '극가(克家)'로, 조상의 사업과 집안일을 잘 계승할 수 있는 훌륭한 자제를 지칭하는바, 《주역》 〈몽괘(蒙卦) 구이(九二)〉에 "구이는 몽매함을

상세정보
174
/9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