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최병욱(崔炳郁) 등 연명서(連名書)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장 법제-소송/판결/공증-소장 崔炳郁 등 4명 崔炳郁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최병욱 등 3명이 서명한 연명서. 최병욱(崔炳郁) 등 연명서(連名書) 1'과 같은 내용의 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1년 이종옥(李鍾玉) 작성 사성단자(四星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사성록 종교/풍속-민간신앙-점복자료 辛未正月二十日 李鍾玉 辛未正月二十日 李鍾玉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1년 1월 21일 興陽后人 李鍾玉이 보낸 1914년 2월 11일생의 사성단자 1931년 1월 21일 興陽后人 李鍾玉이 보낸 1914년 2월 11일생의 사성단자. *상태 : 1장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38년 류중섭(柳重燮) 행장(行狀) 초(草) 고문서-시문류-행장 개인-전기-행장 戊寅四月 族孫 重燮 戊寅四月 柳重燮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에 족손(族孫) 류중섭(柳重燮)이 작성한 류영시(柳永蒔) 행장(行狀)의 초(草) 1938년 4월에 족손(族孫) 류중섭(柳重燮)이 작성한 류영시(柳永蒔) 행장(行狀)의 초(草)이다. 류영시의 세계(世系), 가족관계, 생애(生涯) 등을 서술하였다. 류영시와 부인이 죽은 날짜, 자손들의 이름 등이 공란으로 남아있으며, 본문에 수정의 흔적이 남아 있다. 문서의 앞부분에 '河 訓鍊院 參判 子 遇龍 右副將 副司果 子 星甲 通德郞'이라 적혀 있는데 이는 '遇龍 訓鍊院 參判 子 河 右副將 副司果', '星甲 通德郞'을 잘못 적은 것으로 추측된다. 류영시(柳永蒔)의 자는 자여(子汝)이며, 호는 죽와(竹窩),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1833년에 태어나 1918년에 사망하였다. 배우자는 영광정씨(靈光丁氏)이다. 용의(容儀)가 엄중(嚴重)하고 덕행(德行)이 유망(有望)하며, 효성스러워 부모를 섬기는데 정성을 다하였다. 예학에 밝았으며 청백(淸白)을 숭상하며 평생을 인묵(忍黙)하여 빠른 말과 급한 안색이 없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33년 류영의(柳永毅) 회갑시(回甲詩) 고문서-시문류-시 교육/문화-문학/저술-시 五泉 柳永毅 柳野山 [1933] 柳永毅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3년 五泉 柳永毅가 柳野山의 壽宴을 축하하기 위해 작성한 詩 1933년 五泉 柳永毅가 柳野山의 壽宴을 축하하기 위해 작성한 詩. *柳野山壽宴詩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8년 최전학(崔銓鶴)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戊戌四月拾壹日 崔圭才 崔銓鶴 戊戌四月拾壹日 崔圭才 崔銓鶴 전라북도 전주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58년에 최규재가 최전학에게 써준 영수증. 1958년 최규재(崔圭才)가 전주대종중 재각 수리비로 29,000환을 받고 최전학(崔銓鶴)에게 건네 준 영수증(領收證)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선생안(先生案) 피봉(皮封)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정치/행정-조직/운영-선생안 全北扶安郡 柳任相 柳任相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全北扶安郡 柳任相에게 보내는 名單皮封 全北扶安郡 柳任相에게 보내는 名單皮封.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갑신년 유절암중수용하부(留節菴重修用下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甲申九月 日 甲申九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신년에 유절암을 중수하면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장부. 갑신년 9월에 작성한 유절암중수(留節菴重修)의 지출 내역을 기록한 장부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8년 전주최씨전직공파종중(全州崔氏殿直公派宗中)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拾四年貳月貳日 李貞燮 등 7명 全州崔氏殿直公派宗中 昭和拾四年貳月貳日 李貞燮 全州崔氏殿直公派宗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8년 이정섭 등 7인이 전주최씨 전직공파종중과 체결한 부동산 계약서. 1938년 12월 1일에 이정섭(李貞燮) 7인이 부안군 부령면 연곡리 일대의 임야 3필지를 전주최씨 전직공파종중(전주최씨전직공파종중(全州崔氏殿直公派宗中)과 매도하면서 체결한 부동산 계약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하기(祭需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辛酉三月七日 辛酉三月七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신유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제수비용 장부. 신유년(辛酉年) 3월 7일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제수비용 장부이다. 무오 기미 양년에 들어온 도조(賭租)와 여기에서 지출한 제수비용을 적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41년 김재상(金載相)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辛丑十二月 日 金載相 兼城主 辛丑十二月 日 1841 金載相 扶安縣監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 6.5*6.5(정방형) 적색 3개 부안 서외 김채상 후손가 부안 서외리 김채상 후손가 1841년(헌종 7) 12월에 부안현 일도면 당북하리에 사는 김재상이 부안현감에게 올린 산송 소지. 1841년(헌종 7) 12월에 부안현(扶安縣) 일도면(一道面) 당북하리(堂北下里)에 사는 김재상(金載相)이 부안현감(扶安縣監)에게 올린 산송 소지(山訟所志)이다. 김재상은 일도면 중방리(中方里)의 서쪽 기슭에 친산(親山)이 있어서 여러 해 동안 관리해 왔다. 그런데 바로 이 달 초순에 누군가가 밤을 틈타 그 친산의 섬돌 바로 아래 쪽에 몰래 무덤을 쓰고는 소나무와 향목을 마구 베어버렸다. 김재상은 밤낮으로 투장자를 물색하였지만 그 종적을 전혀 찾을 수 없었다. 이에 그는 무덤 주위에 도랑을 판다면 투장자가 제발로 나타날 것이라면서 이를 허락해달라고 관에 소지를 올려 탄원하였다. 관에서는 투총자를 수색한 뒤에 수령이 관아에 돌아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소를 올리라는 제사(題辭)를 내렸다. 이 문서에는 작성연대가 신축년으로만 적혀 있으나, 다행히도 김재상이 여러 차례 시장(柴場)을 사면서 받은 명문(明文)들이 전하고 있어서 이를 토대로 위의 신축년을 1841년으로 추정하였다. (1815년 김재상(金載相) 시장문기(柴場文記), 1831년 김재상(金載相) 시장문기(柴場文記), 1834년 김재상(金載相) 시장문기(柴場文記) 등 참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최병기(崔秉琦)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三十四日 秉琦 癸三十四日 崔秉琦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모년(某年)에 최병기가 보낸 서간 작성년도의 간지(干支)가 앞에 계(癸)자가 들어가는 해의 3월 14일 족종(族從) 최병기(崔秉琦)가 보낸 서간(書簡)이다. 보냈다는 편지를 아직 받지 못했다며 안부를 물었다. 선묘향사비(先墓享祀費)를 다른 곳에서라도 주선해 보내는 것이 자손된 도리이나 방법이 없어 죄송스럽다고 하였다. 별지에는 상중인 상대방의 안부를 물었다. 피봉 발신자는 부안군 상서면(上西面) 풍동(豊洞)에 사는 최병기(崔秉琦)이고 수신처는 석동재(席洞齋)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63년 행부안현감(行扶安縣監) 조영하(趙榮夏) 존문단자(存問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亥十一月 日 行縣監趙 金炳觀 癸亥十一月 日 1863 行縣監 趙 金炳觀 전라북도 부안군 7.0*7.0(정방형) 적색 부안 서외 김채상 후손가 부안 서외리 김채상 후손가 1863년(철종 14) 11월에 행부안현감이 부안현 일도면 당북중리에 사는 김병관에게 발급한 존문단자. 1863년(철종 14) 11월에 행부안현감(行扶安縣監)이 부안현(扶安縣) 일도면(一道面) 당북중리(堂北中里)에 사는 김병관(金炳觀)에게 발급한 존문단자(存問單子)이다. 존문이란 고을의 수령이 그 지방의 형편을 알아보기 위해 관할 지역의 백성을 방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단자는 행부안현감이 김병관의 집을 방문할 때 발급한 것이다. 이 문서에는 발급년대가 계해년으로만 되어 있는데, 김병관과 같은 부안에 살면서 가까운 혈연관계에 있었던 김병헌(金炳憲)이 주로 1800년대 중반에 활동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위의 계해년은 1863년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해 주는 것은 단자를 보낸 부안현감 조 아무개가 바로 이 시기에 부안현감으로 봉직했던 조영하(趙榮夏)의 성씨와 일치된다는 점이다. 수령안(守令案)에 따르면, 조영하는 1863년 10월에 부안에 부임하여 이듬해 6월 부모의 병환을 이유로 사퇴하였다. 조영하는 본관이 풍양(豐壤)으로 21세 때인 1850년(철종 1) 증광 진사시에 합격했으며, 1861년(철종 12)에 식년문과에 급제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좌목(門中座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던 전주최씨 문중에서 무신년에 작성한 봉사공파 좌목 무신년(戊申年)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봉사공파(奉事公派) 문중에서 작성한 좌목이다. 30명에 사람들의 이름과 그들의 거주지 그리고 그들이 종중에 내 놓은 각종 현물 및 현금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것들은 위토답(位土畓) 매입에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인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元齋) 밧자기(捧上記) 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경제-회계/금융-밧자기 壬寅十一月初十日 壬寅十一月初十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임인년에 부안의 전주최씨 원재에서 작성한 밧자기. 임인년(壬寅年) 11월 초10일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元齋)에서 가을의 강신(講信) 때 작성한 밧자기(捧上記)이다. 계원들이 강신 때 모임을 가진 자리에서 계원들로부터 거둔 돈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행산(杏山)의 김찬경(金贊京)이 15냥을 납부했고, 산정리(山亭里)의 최홍관(崔洪寬)이 1냥 5전을 납부했다. 월포리의 최희경(崔希慶)은 2냥 2전 5복ㅇ르 납부했으며, 행산의 최익필(崔益必)은 3냥을 납부했다. 연곡(蓮谷)의 최치현(崔致賢)은 7냥 5전을 납부했다. 성암리(星岩里)의 최응찬(崔應贊)은 조가(租價) 2냥을 더하여 모두 31냥 2전 5복을 납부했다. 계 모임에서는 통상 계원들로부터 회비를 거두어 이를 주로 다른 계원들에게 빌려주고 원금과 이자를 받아 식리(殖利)를 하여 모임의 운영자금으로 활용하였다. 밧자기는 그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한편 문서의 왼쪽에는 별청봉상기(別廳捧上記)가 함께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김치문, 김경찬, 박내유, 김치장 등이 별청계에 돈을 납부한 내역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류언근(柳彦根) 회갑시(回甲詩) 고문서-시문류-시 교육/문화-문학/저술-시 雲谷 柳彦根 野山 [1933] 柳彦根 柳重憲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雲谷 柳彦根이 野山 柳重憲의 晬宴을 축하하기 위해 작성한 詩 雲谷 柳彦根이 野山 柳重憲의 晬宴을 축하하기 위해 작성한 詩 *野山柳重憲晬宴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朴孝婦傳 羅州有朴孝婦。籍是密陽。父是敬云。徐嘉善丙寬其夫。利川望族。舅怒或不食。孝婦必乞罪。舅食乃食。姑病三年。舅又病。年俱八十。手戰未操匙。孝婦必操匙使食。晝夜負席。大小二便。孝婦必獨任。流矢至或頻數。狗或不舐。孝婦必兩手。掬除拭膚。必預貯柔綿。人皆掩鼻。少不蹙眉。不有大段幹事。暫不離側。扶携侍膝。必櫛髮抑搔間。又脫褻衣捉蚤風。凡係便身物。輒必先意。無或有厭倦態。如是六年。姑沒。朝夕哭奠。不委他人。必躬臨哀號。再期後二年。舅又喪病。已七年處喪。一遵姑喪。從夫階階。貞夫人他善行多矣。選其尤大者。外史氏曰。杯孝婦事。於古未聞。惡惡臭常情。鮮克終常情。況洩痢腐穢看作業嗜旨物六七年罔晝夜。手撫之。鼻吸之。不暫離。半生半死尸。千有一乎。萬有一乎。卓卓乎異哉。恐其迹或朽。著傳播世。庶幾補風化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國百日紅說 余近得一花名姑未詳。爲愛其絶品。蓋其爲品。羞與衆卉爭姸。吸靑帝陶冶蓄諸內。待卄四風捲吹。始乃次第吐出先紅後紅。各自臻妙。朶朶錦繡。色色臙脂。使九十韶光再爛熳。三數朔鎭日蜂歌。鎭日蝶舞。滿園富貴。不時繁華。邦人頗榮之。客有見而驚者。曰此倭百日紅也。子凡係彼物毫勿入家。而獨彼花置庭。曷故焉。余曰。惡惡彼物彼花。果皆同歟。花眞天植天之降雨露。本無夷夏。祇以生物之仁在倭固倭花。今蒔我東國。的是東國花何疑之有。春秋之法。夷而進於中國。則中國之。余於此花亦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剛板石彙敍 天下之山見金剛。更無山。以故中國人至有一見之願。我邦人不見者。三洲先生。亦謂身生東魯。不識仲尼面目。在中國猶然。況生我邦。或不一見爲恨。有幾牛馬走。幸生我邦。不幸生僻隅寒畯。無用傑氣。猥高萬丈。虹亘龍蟠。靡地得伸名山。蓋萬一洩耳。我邦所謂四山。如阿達妙香智異之間。足迹殆遍。獨金剛有夙生緣歟。始於四十越十六歲再入再入。恒有耿耿。後約第擬。又一過。今以往脚力姑置。顧人間世何世。伏櫪老驥。未嘗無千里蠅附。實非本圖搜再入時。所抄詩文。係在板石刻。合百七十什。無工拙盡彙爲內外二篇。凡有不平。輒展讀諷玩。某泓某崢。某洞某刹。一入及再入。處大都了了來眉稜眼角。而沸腔之赤血。撑肚之碧痞。倏忽化投湯片雪。吁其異哉。不裹曩也粮。不勞曩也筑。襄境獲此神方。疾素無妄。想是勿藥之藥。播而劑於同志。先蘇同病。且貽諸渴志而餒見者。饐其臥遊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司僕寺正徐公孝狀後敍 徐生有彩有萬。奉其曾祖贈司僕寺正公孝狀。謁勳托文。紙片斷爛。蓋古人所書。如素貧乏躬任耕樵。遇魚肉。輒皆歸獻。恐兒輩分奪。夾室供進。兩喪。廬墓六年。跪哭處成坎。至或闕奠。多遺錢穀者。闋制後。不忍食親所嗜幾段。在人子實是常事。至如親病願鱉湯。扣雪號天。賣鱉人忽至。繼又病醫言獲鵲。乃治鵲忽入室。二段實非常事。非常司古人何書更思之天地間事。母論常事非常事。大都係感應。況父子天屬子。苟能盡誠。天無有不感。天若有感。無物不應然。則鱉鵲非非常事。乃感應中司事歟。公利川氏。淳國諱。君兼字。略敍後證古人所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草心堂李公傳 公諱承守。字致明。草心堂其號也。璿系自太宗之子謹寧君連世受封。至壬亂切臣忠烈範寔十世所祖。父源培。母崔氏。公器度超倫。十歲偕群兒浴川。見一兒溺水。急揷竿濟送。力學事親。極其誠孝。及喪。哀號扣擗。絶粒五六日。不惟不肉。素嗜之酒。視同烏喙。毁幾未支。母求肉汁。暗助羹味。公吸輒哇出。母更使族人曉喩。殺鷄欲啗。公抵死退却。後丁母喪。亦如之。廬墓凡六年。膝伏階坎。淚灑樹槁。闋制不復脚世路。堂揭草心是寓。古人難將寸草心詩意也。妻羅氏錦城其貫。考元豊中廟名臣松齋世纘后。奉舅姑一導父志。夫嘗入洛。染癘阽危。羅氏聞其報晝宵祝天。祝以身代。過幾旬。適聞漸差。喜溢忽病。呼子喉語曰。汝父蘇。吾死何恨。語訖而逝。鄕遒儒累薦今上庚子贈公承政院左承旨。載錦城誌與三綱錄。二男麟相鶴相。世稱雙孝。鶴相文科歷弘文正字。痛國母遭倭變。丙申倡義。程子曰。得其報者。是常理也。不得其報者。非常理也。今公之階坎樹槁。此人子盡職處。可謂常理也。若揷竿事。不得溫公擊甕之報。此非常理也。程子又曰。天命不可易也。然有可易者。惟有德者能之。其妻之斷其命。續其夫。此有德之易天命也。嗚呼。孝子有烈婦。孝子烈婦子。又有雙孝。於古有乎。今實罕儔。天理到此。宜其餉厚餉。而姑靳之者。未必無待後也歟。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