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해년 율봉사우유생안(栗峯祠宇儒生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정치/행정-조직/운영-선생안 己亥四月日 執綱洪/鄭 己亥四月日 洪 鄭 官[着押]執綱 洪[手決] / 鄭[手決] 印 5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己亥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유생(儒生) 명단(名單)을 작성한 문서 기해년(己亥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유생(儒生) 명단(名單)을 작성한 유생안(儒生案)이다. 율봉사우의 유생 명단은 다음과 같다. 박문기(朴文基), 박수언(朴守彦), 김종달(金宗達, 本名 김도영(金道瑩)), 김영민(金靈敏), 정맹철(鄭孟哲), 이만봉(李萬奉, 이만춘(李萬春) 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1년 이매일(李賣日)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경제-매매/교역-배지 嘉慶拾陸年壬申五月初五日 畓主 庫直 金爵別 村禊有司 李賣日 嘉慶拾陸年壬申五月初五日 金爵別 李賣日 金爵別[着名]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2년(순조12) 5월 5일에 김작별이 우야평(牛也坪)의 등자답(騰字畓) 3두락을 전문 6냥을 받고서 신촌계(新村禊) 유사(有司) 이매일(李賣日)에게 방매한다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812년(순조12) 5월 5일에 김작별이 우야평(牛也坪)의 등자답(騰字畓) 3두락을 돈 6량을 받고서 신촌계(新村禊) 유사(有司) 이매일(李賣日)에게 방매한다는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김작별은 호동계(虎洞禊) 중 패자(牌字)에 있는 우야평에 있는 등자답 3두락, 부수(負數) 7복 3속을 전문 6냥을 받고서 신촌계 유사 이매일에게 방매하며, 이로써 이후에 증거로 삼으라는 내용이다. 또 토지의 본문기는 다른 전답이 표기되어 있어 이에 출급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답주(畓主)는 고지기〔庫直〕 김작별, 필집(筆執)은 거상(居喪) 중인 이정인(李廷寅)이 쓴 것이다. 이 명문이 작성된 가경(嘉慶) 16년은 신미(辛未)년으로 1811년인데, 명문에는 임신(壬申)년으로 기록되어 있어 착오가 발견된다. 임신년은 가경 17년으로 1812년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술년 이석보(李奭輔)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戌十一月十六日 李奭輔 任進士 朞服 座前 丙戌十一月十六日 李奭輔 任進士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술년 11월 16일 李奭輔가 任進士에게 보낸 簡札. 큰형이 갑자기 돌아가신 것에 대해 안타까워하며 직접 위로를 드리지 못해 죄송하다고 하고 편지 말미에 白紙 1束, 黃燭 1雙을 보낸다고 적고 있음. *省禮言不意凶變 令伯氏奄忽……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진년 임헌대(任憲大)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辰午月念八日 族從 憲大 丙辰午月念八日 任憲大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진년 5월 28일 族從 憲大이 보낸 편지. *日前邨吏便時候想必入……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피봉(簡札皮封) 6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碩士本生孝哀前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任氏家에 온 위문 간찰의 피봉. *상태: 간찰 피봉의 일부분만 짤려져 있는 피봉 조각.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피봉(簡札皮封) 7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金陵衙中候疎 南平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金陵 수령이 南平 任氏家에 보낸 간찰 피봉. *상태: 간찰 피봉의 일부분 잘려 남아 있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미년 율봉사우유생안(栗峯祠宇儒生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정치/행정-조직/운영-선생안 丁未正月日 執綱徐/崔 丁未正月日 徐 崔 官[着押]執綱 徐[手決] / 崔[手決] 印 6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미년(丁未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유생(儒生) 명단(名單)을 작성한 문서 정미년(丁未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유생(儒生) 명단(名單)을 작성한 유생안(儒生案)이다. 율봉사우의 유생 명단은 다음과 같다. 박문기(朴文基), 김종달(金宗達, 本名 김도영(金道瑩)), 김영민(金靈敏), 정맹철(鄭孟哲), 이만봉(李萬奉).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미년 율봉사우제역촌야산신촌면중연역대당질(栗峯祠宇除役村夜山新村面中烟役對當秩)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경제-회계/금융-치부책 丁未正月日 丁未正月日 官[着押] 印 5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미년(丁未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 제역촌(除役村)의 연역(烟役) 대당(對當) 내역 문서 정미년(丁未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제역촌(除役村)인 야산(夜山), 신촌(新村)의 연역(烟役) 대당(對當)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대당질(對當秩)은 나가세(羅家稅), 풍혼삭지(風憲朔紙), 면중아망번전(面中牙亾番錢)이 있고, 절반대당질(折半對當秩)은 마병전(馬兵錢), 기패관전(旗牌官錢), 승호전(陞戶錢)이 있다. 이외의 연역은 면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갑진년 노(奴) 석소회(石所回) 배지(牌旨)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경제-매매/교역-배지 甲辰二月十三日 上典 金 奴 石所回 甲辰二月十三日 上典 金 奴 石所回 上典 金[着押]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진년 2월 13일에 상전(上典) 김아무개(金某)가 노(奴) 석소(石所)에게 전답을 팔 것을 지시하고 발급한 배지(牌旨), 즉 토지거래위임장이다. 갑진년 2월 13일에 상전(上典) 김아무개(金某)가 노(奴) 석소(石所)에게 전답을 팔 것을 지시하고 발급한 배지(牌旨), 즉 토지거래위임장이다. 이매(移買)를 위해 나주 남평(南平) 죽촌전(竹村前) 양학평(養鶴坪)에 있는 식자답(食字畓) 6두 5승락지 9배미에서 경작하는 25부 5속을 모인(某人)에게 공정한 값을 받고 팔아 상납하라고 하였다. 또 본문기(本文記)는 다른 전답이 같이 적혀있어 주지 못하니 이 배지(牌旨)를 근거로 작성해 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인년 상풍(象豊)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四月初二日 朞服弟 象豊 戊寅四月初二日 象豊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인년 4월 2일 朞服弟 象豊이 보낸 편지 *省式有書不能答而問存不怠感君之義而愧……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오년 양준묵(梁晙黙)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午九月八日 査生 梁晙黙 丙午九月八日 [1846] 梁晙黙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오년 9월 8일 査生 梁晙黙이 보낸 편지 *秋氣峥嵘慕仰益切伏問此時……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독첩(簡牘帖) 표지(表紙)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簡牘帖 표지 조각. *상태: 간독첩에서 일부 떨어진 파편. *원문: 簡牘三軸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08년 임홍식(任弘植)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辰至月卄日 宗末 弘植 戊辰至月卄日 任弘植 任氏家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4-01-100177-01 1808년 11월 20일에 任弘植이 宗人 任氏家에 안부 등을 전한 간찰. 객지에서 여러가지로 고뇌가 많다는 본인의 안부를 전한 내용, 보내준 빗[梳]은 감사히 잘 받았다는 내용, 覆試가 얼마남지 않았으니 잘 준비하라는 당부와 시험길에 방문해 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 등이 보임. *상태: 8점의 간찰을 折帖형식으로 묶아 만든 簡牘帖. 다른 고문서를 덧대어서 만든 흔적이 보임. 간찰첩 가운데 첫번째 간찰. *원문: 雪積昊天瞻仰政切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발부록(發訃錄) 고문서-치부기록류-부의록 경제-회계/금융-부의록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부고(訃告)를 보낸 사람의 마을과 명단을 기록한 문서 부고(訃告)를 보낸 사람의 마을과 명단을 기록한 문서이다. 나주시 금천면(金川面) 풍천임씨(豐川任氏) 사우인 율봉사(栗峯祠)의 소장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계묘년 송당(松堂) 중수기(重修記) 고문서-치부기록류-중수기 경제-토목/건축-중수기 癸卯八月日 癸卯八月日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묘년(癸卯年)에 율봉사(栗峯祠) 송당(松堂)을 중수한 내용을 기록한 문서 계묘년(癸卯年) 8월에 율봉사(栗峯祠) 송당(松堂)을 중수한 내용을 기록한 문서이다. 8월 24일부터 송당을 중수한 내역을 금액과 함께 기록하였다. 나주시 금천면(金川面) 풍천임씨(豐川任氏) 사우인 율봉사(栗峯祠)의 소장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전북남원향교(全北南原鄕校)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丙寅二月日 全北南原鄕校發文 李秉九등19人 列郡鄕校 丙寅二月日 全北南原鄕校 列郡鄕校 南原鄕校 1顆(7.4×5.2, 장방형,흑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인년(丙寅年)에 전북(全北) 남원향교(南原鄕校)에서 다른 여러 고을의 향교(鄕校)에게 보낸 문서 병인년(丙寅年) 2월에 전북(全北) 남원향교(南原鄕校)에서 다른 여러 고을의 향교(鄕校)에게 보낸 통문(通文)이다. 임성모는 명고(鳴皐) 임전(任錪) 9세손(世孫)이며, 진사(進仕) 임태규(任泰奎)의 아들로 남평향교에서는 임성모(任性模)의 선행과 학덕을 여러 군(郡)에 있는 향교에게 알리는 내용이다. 발문(發文)에 참여한 사람은 이병구(李秉九), 윤병직(尹秉直), 허병(許柄), 최병관(崔炳觀), 정운기(鄭雲箕), 윤병칠(尹秉七), 양승모(梁昇謨), 진병철(陳秉撤), 김사중(金思重), 김인식(金寅植), 안치수(安致洙), 노동원(盧東源), 황유(黃瑜), 최승화(崔昇燁), 최병호(崔炳浩), 박해룡(朴海龍), 이필섭(李必燮), 소두열(蘇斗烈), 방성원(房成源) 등이다. 연결문서로 피봉 1점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진년 이희용(李熙容)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辰二月十二日 李熙容 戊辰二月十二日 李熙容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진년 2월 12일 李熙容이 보낸 답장편지. *自惟寒宗唐突華曺不以爲罪至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신년 홍승현(洪承賢) 간찰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申二月十八日 査下 洪承賢 壬申二月十八日 洪承賢 任氏家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壬申年 2월 18일에 洪承賢이 사돈 任氏家에 보낸 간찰. 안부를 전한 내용, 선물에 감사하다는 내용, 손자를 아직 보내지 못한다는 내용 등이 보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64년 임백경(任百經)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甲子二月望日 宗末 百經 甲子二月望日 任百經 任氏家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4-01-100177-01 1864년 任百經이 宗人에게 청탁한 과거시험 문제 등에 대한 답한 내용의 간찰. 안부를 전하고 묻는 내용, 부탁한 宗人 아들의 과거시험은 이번 시험관원이 전혀 알지 못한 이들이라 부탁하지 못했다는 내용 등을 전한 내용이 실림. *상태: 8점의 간찰을 折帖형식으로 묶아 만든 簡牘帖. 다른 고문서를 덧대어서 만든 흔적이 보임. 간찰첩 가운데 두번째 간찰. *원문: 卽拜承阻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38년 임태순(任泰淳)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戌三月二十四日 宗末 百經 戊戌三月二十四日 任泰淳 任氏家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4-01-100177-01 1838년 3월 24일에 任泰淳이 任氏家에 안부와 관직 청탁에 관한 내용을 적어 보낸 간찰. 전라좌수사의 직임을 받고 남쪽으로 내려와 분주한데다가 집안의 喪事까지 겹쳐 고민이 많다는 내용과 관직 자리가 아직 비지 않았으니 자리가 나가기를 기다려 보자는 내용 등이 보임. *상태: 簡牘帖 중 세번째 간찰. 간찰과 함께 피봉이 부착되어 있는데 발급자 정보에 '康津滯客謝狀'이라고 적혀 있으나 임백경이 강진현감으로 있었던 시기는 1833~1834년 이므로, 잘못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