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1년 임성모(任性模)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任性模 [1851] 任性模 印 4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시권 연구』 , 김동석,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HIKS_OD_F1034-01-100049 1851년(철종2)에 임성모(任性模)가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 1851년(철종2)에 임성모(任性模)가 46세에 과거(科擧)에서 작성하여 제출한 시권(試券)이다. 이 시권의 시험 과목은 사서의(四書疑)로 시제는 '問云云'으로 생략되어 있다. 사서의의 제술 형식은 질문에 해당하는 시제의 전문을 기재하지 않고 다만 '問云云'이라고 축약하여 기술한다. 이러한 형식은 18세기 이후에 작성된 시권 사례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은 '對(대답합니다)'로 시작하고, '謹對(삼가 대답합니다)'라고 끝을 맺는다. 임성모의 성적은 '차하(次下)'이다. 시권 우측에 '칠현(七玄)'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말한다. 과거 시험에서 시권을 다 거두면 제출 순서대로 묶어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 자호(字號)를 매겼다. 이를 작축(作軸)이라고 하며, 천축(天軸), 지축(地軸), 현축(玄軸) 등으로 나아간다. 예를 들어 천축의 첫 번째 시권은 일천(一天), 두 번째 시권은 이천(二天)이라고 한다. 대개 비봉의 절취선에 크게 한 번 쓰고 그 아래에 좌우 각 두 번을 쓰도록 되어 있었다. 본 문서는 현축(玄軸)의 여덟 번째 시권인 것이다. 임성모의 자(字)는 성빈(聖彬), 호(號)는 신묵헌(愼黙軒)이고 본관은 풍천(豐川)으로, 임태규(任泰奎)의 아들이다. 임성모의 부인은 해미곽씨(海美郭氏)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1년 임성모(任性模) 시권비봉(試卷秘封)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任性模 [1861] 任性模 印 1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시권 연구』 , 김동석,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HIKS_OD_F1034-01-100049 1861년(철종12)에 임성모(任性模)가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의 비봉(祕封) 1861년(철종12)에 임성모(任性模)가 과거(科擧)에 작성하여 제출한 시권(試券)의 비봉(祕封)이다. 피봉부(皮封部)라고도 한다. 시권 우측에 응시자의 성명, 나이, 본관, 거주지, 四祖의 직역, 성명을 적어 답안지를 제출할 때 이 부분을 잘라서 따로 보관한다. 이는 채점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피봉부와 본체부(답안지) 사이에 자호(字號)를 쓴다. 채점 후에 이 비봉을 답안지와 묶어서 작성자에게 돌려준다. 이를 통해 임성모의 인적사항을 알 수 있다. 임성모가 이 시권을 작성한 나이는 56세이다. 그의 본관은 풍천(豐川)이고 거주지는 남평(南平)이다. 그의 4조(祖)를 살펴보면, 아버지는 생원(生員) 임태규(任泰奎), 생부(生父)는 학생(學生) 임태희(任泰希), 할아버지는 학생(學生) 임상욱(任相郁), 증조(曾祖)는 학생(學生) 임은(任溵), 외조(外祖)는 학생(學生) 김두진(金斗鎭)이다. 임성모의 자(字)는 성빈(聖彬), 호(號)는 신묵헌(愼黙軒)이고 본관은 풍천(豐川)으로, 임태규(任泰奎)의 아들이다. 임성모의 부인은 해미곽씨(海美郭氏)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56년 허복(許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乾隆二十一年丙子二月三十日 田主 幼學 金磅 許福 乾隆二十一年丙子二月三十日 金磅 許福 金磅[着名]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1756년(영조 32) 2월 30일에 유학(幼學) 김방(金磅)이 허복(許福)에게 밭을 팔면서 써준 토지매매명문. 1756년(영조 32) 2월 30일에 유학(幼學) 김방(金磅)이 허복(許福)에게 밭을 팔면서 써준 토지매매명문이다. 김방이 요긴하게 쓸 데가 있어 '전(鈿)'자 밭 대종(大種)으로 3두락지, 부수(負數)로는 5복을 허복에게 전(錢) 4량을 받고 영구히 방매한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이 밭에 올해 농사짓고 있는 곡식도 함께 방매한다고 덧붙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7년 예조입안(禮曹立案) 고문서-증빙류-입안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道光十七年二月日 禮曹 任泰奎 道光十七年二月日 判書 任泰奎 行判書[着押] 禮曹之印 15顆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1837년(헌종3)에 예조(禮曹)에서 임태규(任泰奎)에게 발급한 문서 1837년(헌종3) 2월에 예조(禮曹)에서 임태규(任泰奎)에게 발급한 입안(立案)이다. 예조에서는 임태규의 동생 임태경(任泰敬)의 둘째아들 임성모(任性模)를 그의 양자(養子)로 들이는 것을 허락한다는 내용이다. 문서형태는 액자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59년 신조이(申召史)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乾隆二十四年 己卯二月十五日 畓主 黃大益 妻 三寸叔母申召史 乾隆二十四年 己卯二月十五日 黃大益 申召史 黃大益[着名], 李寅亨[着名]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1759년(영조 35) 2월 15일 황대익(黃大益) 처 삼촌숙모인 신조이(申召史)에게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759년(영조 35) 2월 15일 황대익(黃大益)이 처 삼촌숙모 신조이(申召史)에게 논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논주인인 황대익은 다른 곳의 토지를 구입하기 위해 처가에서 물려받은 등개면(等介面) 전평(前坪)에 있는 장자(張字) 논 3마지기, 부수로는 10부 7속인 곳을 전문(錢文) 11냥 5전의 값을 받고 처 삼촌숙모 신조이에게 팔았다. 이 논의 본문기는 도문기(都文記)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매수인에게 넘겨주지 못하고, 신문기 1장만을 작성해 주면서 훗날 이로 인해 말썽이 생길 경우에는 이 문기가 증거자료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3년 소지(所志) 고문서-증빙류-입안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癸丑七月日 官司主 癸丑七月日 南平縣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관련문헌 1793년 임상욱(任相郁) 매득입안(賣得立案) 1793년 임상욱(任相郁) 소지(所志) 1793년 노(婢) 도덕(倒德) 자매명문(自賣明文) 1793년 비(婢) 도덕(倒德) 초사(招辭) 1793년 서종백(徐宗伯) 등 초사(招辭) HIKS_OD_F1034-01-100033-01 1793년 7월일에 남평현에 노비매득 입안을 신청한 소지(所志) 1793년(정조17) 7월일에 남평현에 노비매득 입안을 신청한 소지(所志)이다. 부모님의 목숨이 경각에 달려 사람의 자식된 마음으로 도덕(到德)은 열세살의 나이로 자신의 몸을 팔아 늙은 부모의 목숨을 살리고자 임생원댁에 간절히 빌어 본 댁에서 매입하여 주었으니 이러한 사실을 각별히 살피시어 노비 매득 사실을 증명해 주기를 남평현에 요청하였다. 남평현에서는 이 문서를 접수하여 7일에 입안을 성급하라고 제사를 내렸다. 문서 결락이 심해서 정확한 내용 파악이 어렵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치부(置簿) 2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경제-토목/건축-치부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光州郡柳等谷面福壽里 宅地 福壽里 闕 一味 一斗 六卜一束 田 村後坪 闕 一味 一斗 五卜四束 田 村前坪 闕 一味 五升 三卜 畓 萬山坪 巨 一味 一斗 四卜七束 計 四味 三斗五升 十九卜二束 山直所有件 *참고 : 연필로 해당 소유지를 간락해 표기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피봉(簡札皮封)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寶城倅 任 喪人 寶城倅 任 喪人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簡札皮封 *寶城倅 謹慰狀 任 喪人 孝廬 入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9년 전라남도 남평군 어천면 중야리 후등 (全羅南道 南平郡 魚川面 中夜里 後嶝) 민유삼림약도(民有森林略圖) 복본 1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隆熙三年十一月十二日 隆熙三年十一月十二日 任明宰(적색, 원형) / 柳秉洵(적색, 원형)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9년(융희3)에 임학재(任鶴宰)가 측량제도(測量製圖)한 민유삼림약도(民有森林略圖) 1909년(융희3) 12월 3일에 임학재(任鶴宰)가 측량제도(測量製圖)한 전라남도 남평군(南平郡) 어천면(魚川面) 상야리(上夜里) 후록(後麓) 민유삼림약도(民有森林略圖)이다. 축척(縮尺)은 1,200분(分)의 1이고, 면적(面積)은 3정(三町)6묘(六畝)8보(八步)이며, 소유자(所有者)는 임명재(任明宰)이다. 연결문서로 복본(複本) 2점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9년 전라남도 남평군 어천면 중야리 후등 (全羅南道 南平郡 魚川面 中夜里 後嶝) 민유삼림약도(民有森林略圖) 복본 2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隆熙三年十一月十二日 隆熙三年十一月十二日 任明宰信(적색, 원형) / 柳秉洵信(적색, 원형)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9년 全羅南道 南平郡 魚川面 中夜里 後嶝 民有森林略圖 *縮尺: 六百分之一 *面積: 三段九畝二十四步 *所有者: 任明宰 *測量製圖者: 柳秉洵 *소장처: 율봉사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卽旋 煩逋 卽旋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편지를 받은 즉시 써서 보낸 답장편지. 편지 말미에 煩逋라고 번거로워 이름을 적지 않는다고 하였다. *阻久悵甚卽承惠狀仰審庚炎……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자년 우현(愚鉉)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子七月五日 愚鉉 壬子七月五日 愚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자년 7월 5일에 愚鉉이 보낸 편지. *阻悵不須言未審問者 起居益衛增重……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율봉문중(栗峰門中) 용하기(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癸未十月十日以降 栗峰門中 癸未十月十日以降 栗峰門中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풍천임씨(豊川任氏) 율봉문중(栗峰門中)에서 작성한 문서 栗峰門中에서 작성한 用下記. 계미년부터 병진년 11월 7일까지 기록. *소장처: 율봉사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해년 율봉사우모군안(栗峯祠宇募軍案) 고문서-치부기록류-군적 사회-신분-군적 己亥四月日 執綱洪/鄭 己亥四月日 洪 鄭 執綱 洪[手決] / 鄭[手決] 印 5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己亥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모군(募軍) 명단(名單)을 작성한 문서 기해년(己亥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모군(募軍) 명단(名單)을 작성한 모군안(募軍案)이다. 율봉사우의 모군으로 뽑힌 사람들은 노포종(魯抱宗), 진쌍중(陳雙重), 김부귀(金富貴), 양우구(梁禹九), 김수귀(金壽貴), 김북일(金北一), 김고보(金古甫), 이순동(李詢同), 정오룡(鄭五龍) 등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9년 전라남도 남평군 어천면 상야리 후록 (全羅南道 南平郡 魚川面 上夜里 後麓) 민유삼림약도(民有森林略圖)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隆熙三年十一月三日 隆熙三年十一月三日 任明宰信(적색, 원형) / 任鶴宰信(적색, 원형)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9년 全羅南道 南平郡 魚川面 上夜里 後麓 民有森林略圖 *縮尺: 一千二百分之一 *面積: 三町一段六畝八步 *所有者: 任明宰 *測量製圖者: 任鶴宰 *소장처: 율봉사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9년 전라남도 남평군 어천면 상야리 후록 (全羅南道 南平郡 魚川面 上夜里 後麓) 민유삼림약도(民有森林略圖) 복본 1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隆熙三年十一月三日 隆熙三年十一月三日 任明宰信(적색, 원형) / 任鶴宰信(적색, 원형)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9년 全羅南道 南平郡 魚川面 上夜里 後麓 民有森林略圖 *縮尺: 一千二百分之一 *面積: 三町一段六畝八步 *所有者: 任明宰 *測量製圖者: 任鶴宰 *소장처: 율봉사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1년 임찬호(任璨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卯至月初七日 族孫 璨鎬 辛卯至月初七日 任璨鎬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1년 11월 7일 族孫 璨鎬가 보낸 편지 *冬今已深仰慕益切諸族兄來訪伏承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미년 홍승현(洪承賢)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未歲除之日 査下 洪承賢 辛未歲除之日 洪承賢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미년 섣달그믐날 査下 洪承賢이 보낸 답장편지. *昨別雖不足爲懷□書倍有情……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피봉(簡札皮封) 5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金陵倅 夜山靜案下 金陵倅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金陵의 수령이 夜山에 사는 수취자에게 보낸 간찰 피봉. *상태: 간찰의 앞부분만 짤려져 있는 피봉 조각.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미년 율봉사우모군안(栗峯祠宇募軍案) 고문서-치부기록류-군적 사회-신분-군적 丁未正月日 執綱徐/崔 丁未正月日 徐 崔 官[着押]執綱 徐[手決] / 崔[手決] 印 6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미년(丁未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모군(募軍) 명단(名單)을 작성한 문서 정미년(丁未年)에 율봉사우(栗峯祠宇)의 모군(募軍) 명단(名單)을 작성한 모군안(募軍案)이다. 율봉사우의 모군으로 뽑힌 사람들은 노포종(魯抱宗), 김부귀(金富貴), 김수귀(金壽貴), 김북일(金北一), 정오룡(鄭五龍) 등이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