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갑오년 박경표(朴慶杓) 산도(山圖)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午九月卄四日 甲午九月卄四日 使[着押], 朴慶杓[着名], 梁義永[着名] □…□ 3顆(7.0x7.0)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오년 박경표(朴慶杓)와 양의영(梁義永) 사이 산송 관련 산도(山圖). 갑오년에 박경표(朴慶杓)와 양의영(梁義永) 사이의 산송 관련 산도(山圖)이다. 도형에는 박경표 선조총(先祖塚), 박경표 재종형총(再從兄塚), 양총(梁塚), 그리고 주변에 산재해 있는 정총(鄭塚), 나총(羅塚) 등이 표시되어 있고, 가운데에 박경표 재종형 무덤과 양의영이 새로 굴거(掘去)한 무덤까지를 일직선으로 표시하고 거리를 기록하였다. 박경표 재종형(再從兄) 무덤에서 양의영의 새 무덤까지는 서로 거리가 48척(尺)이다. 좌측 하단부에 도형이 이상이 없음을 박경표와 양의영 양측의 확인을 받았다. 도형의 뒷면에 갑오년 9월 24일자 뎨김(題音)인 판결문이 있다. 판결문에 계하(堦下)로 40보로 금(禁)할 뿐만 아니라 송사를 일으켜 관가의 처분을 기다리지 않고 마음대로 장사지냈으나 장상(葬喪)에 어려움으로 짐작되니 양씨(梁氏)의 무덤은 기어이 독굴(督掘)하게 하라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박재홍(朴載弘) 산도(山圖)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卄五日 卄五日 朴載弘[着名] □…□ 5顆(7.0x7.0)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박재홍(朴載弘)의 10대조 산소 내 산송(山訟) 관련 산도(山圖). 박재홍(朴載弘)의 10대조 산소 내 산송(山訟) 관련 산도(山圖)이다. 산도에는 박재홍의 10대 조부모 무덤과 그 위쪽에 평장총(平葬塚)이 표시되어 있고, 아랫부분에 평장총과의 거리와 기송자(起訟者)인 박재홍의 서명이 있다. 박재홍 10대 조부모 무덤에서 평장총(平葬塚)까지 보수(步數)가 1척(一尺) 5촌(五村)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도형의 뒷면에는 25일자 뎨김(題音)인 판결문이 있다. 판결문에 도형을 보면 타인의 무덤이 머리에 자리하고 있어 장사를 지낼 수 있는 곳이 아니므로 저들이 내현(來現)하는 것을 기다려 잡아들이라고 하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유명조선국양왕자기적비(有明朝鮮國兩王子紀蹟碑) 탁본(拓本)1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崇禎紀元後五乙丑月日 崇禎紀元後五乙丑月日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有明朝鮮國兩王子紀蹟碑 탁본(전면). 이 비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의 포로가 된 두 왕자 臨海君과 順和君의 사적을 기록한 것으로 禦侮將軍行咸鏡北道兵馬評事兼監市御史 李鍾正이 撰하고, 嘉義大夫咸鏡北道兵馬水軍節度使兼鏡城都護府使 李南軾이 글을 썼으며, 崇禎紀元後五乙丑(고종2, 1865)에 세웠다고 쓰여있음 *상태: 전후좌우 4점의 탁본으로 이루어짐 *연결문서: 탁본 후면, 좌측, 우측면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8년 기우만(奇宇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申仲秋十七 奇宇萬 戊申仲秋十七 奇宇萬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8년 8월에 奇宇萬이 보낸 간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8년 이찬수(李燦秀) 임야(林野)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경제-농/수산업-전답안 大正七年六月十一日 大正七年六月十一日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8년에 담양 창평면 林野整理調査監督員 朴載魯가 작성한 李燦秀 임야 등록 문서. 토지대장에 기재된 이찬수 소유의 장전리좌록 5204평 등을 포함한 8필지를 임야정리조사감독원 박재노가 1918년 7월 6월 11일에 확인한 기록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박진규(朴鎭圭) 명하전(名下田)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朴鎭圭 名下田. 담양 대덕면 문학리에 있는 박진규 소유 전답 3필지 내역 *전답의 번지와 전답 종류, 평수, 가격이 기록, 備考에는 이 3필지의 등록과 세금 경유에 대해 기록 *상태: 메모지에 필사, 문서 상단에 도장 4개가 찍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묘년 임삼택(林三澤)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卯三月二十一日 侍生 林三澤 丁卯三月二十一日 林三澤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묘년 3월에 임삼택(林三澤)이 안부를 전하면서 고풍시(古風詩)를 부탁한 내용의 간찰. 정묘년 3월에 임삼택(林三澤)이 안부를 전하면서 고풍시(古風詩)를 부탁한 내용의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에게 지난번 헤어진 후로 건강은 좋으신지, 무사히 돌아갔는지를 묻고, 이어 본인의 안부를 전했다. 자신은 조부모님과 부모님을 모시고 별 탈 없이 지내고 있어서 다행이라고 전했다. 이어 시(詩)를 부탁하기를, 지난번 고풍시를 지어 주겠다고 승낙하셨는데, 이번에 감히 청하건대, 가는 인편에 시를 써서 보내주시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편지 발신자인 임삼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어서 간지의 연도를 잘 알 수 없다. 다만 이 편지가 이승학(李承鶴) 가문에서 나온 문서라는 것으로 미루어 수신인을 이승학으로 추정했을 때, 편지에 적힌 정묘년은 1927년일 가능성이 크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二月十九日 罪記末 二月十九日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상중(喪中)에 있는 아무개가 이진사댁(李進仕宅)에 안부 인사 등을 전한 간찰. 상중(喪中)에 있는 아무개가 이진사댁(李進仕宅)에 안부 인사 등을 전한 편지이다. 요사이 수신인 조모(祖母)의 건강이 더욱 나빠졌다고 들었는데 지금은 차도가 있는지 묻고 걱정하면서 편지를 시작했다. 또 봄바람이 거세지는 날씨에 조부모님과 부모님을 모시고 사는 생활은 별 탈 없는지 듣고 싶다고 하였다. 이어 자신의 근황을 전하기를, 대상(大祥, 사후 2년 만에 지내는 제사)이 며칠 남지 않아서 애통한 심정을 형용하기 어렵고, 동생이 아직도 집에 오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심부름꾼에게 편지를 보내고자 했으나 겨를이 없어 이루지 못했다고 하고, 오늘 충도(忠道) 편에 몇 자 적어 안부를 여쭙는다고 하며 편지를 마쳤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교육/문화-문학/저술-시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4편의 7언 절구시. *원문: 長江失愉內城空…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7년 임성모(任性模) 강경시권(講經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任性模 [1837] 任性模 [署押] 3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시권 연구』 , 김동석,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HIKS_OD_F1034-01-100049 1837년(헌종3년)에 임성모(任性模)가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 1837년(헌종3년)에 임성모(任性模)가 32세에 과거(科擧)에서 작성하여 제출한 강경시권(講經試券)이다. 강경(講經)은 문장(文章)을 시험하는 제술(製述)과는 달리 유교경전(儒敎經典)의 암송과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시험으로 생원・진사시와 문과의 초시(初試)에 적용되었다. 강경의 기본 경전은 논어(論語)・맹자(孟子)・대학(大學)・중용(中庸)의 사서(四書)와 시경(詩經)・서경(書經)・역경(易經 또는 주역(周易)의 삼경(三經) 등 칠서(七書)이다. 강경시권에는 강송한 서명(書名), 강송한 내용, 성적, 성적에 대한 시강관(試講官)의 확인(手決) 순으로 작성되는데, 성적의 등급은 통(通)・략(略)・조(粗)로 구분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대통・순통으로 매겨지기도 한다. 본 시권에는 주역・서전・시전・논어・맹자・중용・대학 순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임성모는 주역, 시전은 통, 논어는 불(不)을 받았다. 시권 우측 상단에는 임성모의 인적사항과 아버지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임성모의 자(字)는 성빈(聖彬), 호(號)는 신묵헌(愼黙軒)이고 본관은 풍천(豐川)으로, 임태규(任泰奎)의 아들이다. 임성모의 부인은 해미곽씨(海美郭氏)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5년 임성모(任性模) 시권(試卷)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任性模 [1845] 任性模 印 3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시권 연구』 , 김동석,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HIKS_OD_F1034-01-100049 1845년(헌종11)에 임성모(任性模)가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 1845년(헌종11)에 임성모(任性模)가 과거(科擧)에 작성하여 제출한 시권(試券)이다. 이 시권의 시험 과목은 사서의(四書疑)로 시제는 '問云云'으로 생략되어 있다. 사서의의 제술 형식은 질문에 해당하는 시제의 전문을 기재하지 않고 다만 '問云云'이라고 축약하여 기술한다. 이러한 형식은 18세기 이후에 작성된 시권 사례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은 '對(대답합니다)'로 시작하고, '謹對(삼가 대답합니다)'라고 끝을 맺는다. 성적은 '차하(次下)'이다. 시권 우측에 '팔지(八地)'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말한다. 과거 시험에서 시권을 다 거두면 제출 순서대로 묶어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 자호(字號)를 매겼다. 이를 작축(作軸)이라고 하며, 천축(天軸), 지축(地軸), 현축(玄軸) 등으로 나아간다. 예를 들어 천축의 첫 번째 시권은 일천(一天), 두 번째 시권은 이천(二天)이라고 한다. 대개 비봉의 절취선에 크게 한 번 쓰고 그 아래에 좌우 각 두 번을 쓰도록 되어 있었다. 본 문서는 지축(地軸)의 여덟 번째 시권인 것이다. 임성모의 자(字)는 성빈(聖彬), 호(號)는 신묵헌(愼黙軒)이고 본관은 풍천(豐川)으로, 임태규(任泰奎)의 아들이다. 임성모의 부인은 해미곽씨(海美郭氏)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5년 임성모(任性模) 시권비봉(試卷秘封)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任性模 任性模 印 1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시권 연구』 , 김동석,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HIKS_OD_F1034-01-100049 1845년(헌종11)에 임성모(任性模)가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의 비봉(祕封) 1845년(헌종11)에 임성모(任性模)가 작성하여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 즉 시권(試券)의 비봉(祕封)이다. 피봉부(皮封部)라고도 한다. 시권 우측에 응시자의 성명, 나이, 본관, 거주지, 사조(四祖)의 직역, 성명을 적어 답안지를 제출할 때 이 부분을 잘라서 따로 보관한다. 이는 채점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피봉부와 본체부(답안지) 사이에 자호(字號)를 쓴다. 채점 후에 이 비봉을 답안지와 묶어서 작성자에게 돌려준다. 이를 통해 임성모의 인적사항을 알 수 있다. 임성모가 이 시권을 작성한 나이는 40세이다. 그의 본관은 풍천(豐川)이고 거주지는 남평(南平)이다. 그의 4조(祖)를 살펴보면, 아버지는 생원(生員) 임태규(任泰奎), 생부(生父)는 임태경(任泰敬), 할아버지는 학생(學生) 임상욱(任相郁), 증조(曾祖)는 학생(學生) 임은(任溵), 외조(外祖)는 학생(學生) 김두진(金斗鎭)이다. 임성모의 자(字)는 성빈(聖彬), 호(號)는 신묵헌(愼黙軒)이고 본관은 풍천(豐川)으로, 임태규(任泰奎)의 아들이다. 임성모의 부인은 해미곽씨(海美郭氏)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9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亥四卄四日 父 寄家兒 己亥四卄四日 李承鶴 李光秀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9년 4월에 이승학이 아들 이광수에게 전한 간찰. 집안 일을 잘 단속하라는 당부와 본인의 소식을 상세히 전한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7년 공문(公文) 기록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사회-역사-역사기록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 1월 27일에서 3월 7일까지 이승학가에 온 세금 및 조합비 등의 공문. 세금 관련된 공문이나 지출 사항과 관련된 것을 날짜별로 표기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유명조선국양왕자기적비(有明朝鮮國兩王子紀蹟碑) 탁본(拓本)2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有明朝鮮國兩王子紀蹟碑 탁본(우측면).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유명조선국양왕자기적비(有明朝鮮國兩王子紀蹟碑) 탁본(拓本)3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有明朝鮮國兩王子紀蹟碑 탁본(후면).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6~1927년 공문(公文) 기록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사회-역사-역사기록 丙寅十二月十一日 丙寅十二月十一日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6년에서 1927년에 이승학가에 온 세금 및 조합비 등의 공문. 세금 관련된 공문이나 지출 사항과 관련된 것을 날짜별로 표기 *상태: 1926년 12월 11일에서 1927년 1월 27일까지 기록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을축년 남평현(南平縣) 완문(完文) 고문서-증빙류-완문 정치/행정-명령-완문 乙丑七月初日 官 將廳, 任班家 乙丑七月初日 南平縣 將廳 任班家 官{着押] 4顆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한국지명총람』 14 –전남편-, 한글학회, 1984. 을축년에 남평현(南平縣)에서 장청(將廳)과 임반가(任班家)에 내린 문서 을축년에 남평현에서 장청(將廳)과 임반가(任班家)에 내린 완문(完文)이다. 문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동촌면(東村面) 원적동(元積洞) 동록(東麓)에 있는 어천임씨(魚川任氏) 선산(先山)에 초목(樵牧) 등이 난입(亂入)하여 작벌(斫伐)하니 이를 금(禁)하기 위해 동 선산을 금초지절(禁樵之節)로 장교(將校)를 주관(主管)으로 하여 신칙하고자 하여 장청과 임반가에 각각 성급(成給)한다는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교육/문화-문학/저술-시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7언 율시 1수. *원문: 漢城二客共來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1년 임성모(任性模) 시권비봉(試券秘封)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任性模 任性模 印 1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시권 연구』 , 김동석,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HIKS_OD_F1034-01-100049 1851년(철종2)에 임성모(任性模)가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의 비봉(祕封) 1851년(철종2)에 임성모(任性模)가 과거(科擧)에 작성하여 제출한 시권(試券)의 비봉(祕封)이다. 피봉부(皮封部)라고도 한다. 시권 우측에 응시자의 성명, 나이, 본관, 거주지, 四祖의 직역, 성명을 적어 답안지를 제출할 때 이 부분을 잘라서 따로 보관한다. 이는 채점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피봉부와 본체부(답안지) 사이에 자호(字號)를 쓴다. 채점 후에 이 비봉을 답안지와 묶어서 작성자에게 돌려준다. 이를 통해 임성모의 인적사항을 알 수 있다. 임성모가 이 시권을 작성한 나이는 46세이다. 그의 본관은 풍천(豐川)이고 거주지는 남평(南平)이다. 그의 4조(祖)를 살펴보면, 아버지는 생원(生員) 임태규(任泰奎), 생부(生父)는 학생(學生) 임태희(任泰希), 할아버지는 학생(學生) 임상욱(任相郁), 증조(曾祖)는 학생(學生) 임은(任溵), 외조(外祖)는 학생(學生) 김두진(金斗鎭)이다. 임성모의 자(字)는 성빈(聖彬), 호(號)는 신묵헌(愼黙軒)이고 본관은 풍천(豐川)으로, 임태규(任泰奎)의 아들이다. 임성모의 부인은 해미곽씨(海美郭氏)이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