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종교/풍속-민간신앙-택기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건선명(乾仙命)이 기해생(己亥生)인 망인(亡人)의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장사택일기(葬事擇日記)이다. 장사택일기에는 망인의 사주(四柱), 장지(葬地)의 방위(方位), 장례일시, 유족의 생년 등을 기록한다. 이 문서에서 망인은 기해생 남자이고, 제주(祭主)는 병인생(丙寅生) 아들과 경오생(庚午生) 며느리, 갑진생(甲辰生) 손자이다. 안장일은 정사년 10월 초 7일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자년 임석사(任碩士)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甲子五月初八日 瑛 甲子五月初八日 [1744] 任泰瑛 任碩士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관련문헌 갑자년(甲子年) 임석사(任碩士) 간찰피봉(簡札皮封) 1 갑자년(甲子年)에 임태영(任泰瑛)이 임석사(任碩士)에게 보낸 편지 갑자년(甲子年) 5월 초 8일에 임태영(任泰瑛)이 임석사(任碩士)에게 보낸 편지이다. 연결문서는 피봉(皮封) 1점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자년 임석사(任碩士)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甲子八月二十六日 族末泰瑛 甲子八月二十六日 [1744] 任泰瑛 任碩士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甲子年 8월 6일에 族末 任泰瑛이 任碩士에게 보낸 편지. *연결문서: 피봉 1점 *소장처: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27년 창평면장(昌平面長) 문서 고문서-서간통고류-근현대문서 정치/행정-명령-고지서 昭和二年一月二十八日 昌平面長 長華里長 昭和二年一月二十八日 昌平面長 長華里長 전남남도 담양군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에 昌平面長이 長華里長에게 발급한 문서. 申込書 기입에 대한 사항을 알린 내용 *상태: 문서 중간중간에 좀먹은 흔적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묘년 임백윤(任百允) 등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己卯七月日 魚川面化民任百允等9人 城主 己卯七月日 [1879] 任百允 南平縣監 官[着押] 印 5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국대전(經國大典)』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지명총람』 14 –전남편-, 한글학회, 1984. 기묘년에 임백윤(任百允)이 남평현감(南平縣監)에게 올린 문서 기묘년(己卯年) 7월에 어천면(魚川面) 화민(化民) 임백윤(任百允)이 남평현감(南平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내용은 임백윤의 선조인 한림공(翰林公) 임곡지(任哭之)의 묘소가 있는 욱곡면(郁谷面) 창흘리(昌屹里)에 묘지기와 제실 막저(幕邸)에 사는 민(民) 십여 호의 역을 면제하였다. 그러나 병자호란 이후 흩어져서 3~4호만 남아지만 영읍(營邑) 완문(完文)에 동포(洞布)와 각항 잡역(襍役)을 침범하지 말라 하였다. 하지만 임(任) 무리들이 작간(作奸)을 일으켜서 작년에 정소(呈訴)하여 탈급(頉給)을 받았으나 임 무리가 따르지 않으므로 엄히 제교(題敎)를 내려 해당 색리(色吏)와 면임(面任)에게 동포(洞布)를 탈급하고 횡침(橫侵)이 없도록 해주기를 청하는 것이다. 어천면은 현재 금천면 일대이다. 이 문서는 임백윤을 비롯해서 임백묵(任百黙), 임인준(任仁準), 임철준(任喆準), 임기준(任基準), 임상준(任祥準), 임철호(任哲鎬), 임길호(任吉鎬), 임기호(任基鎬) 등이 수결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무인년 임백헌(任百憲) 등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戊寅十一月日 化民等昌平縣令任百憲等8人 城主 戊寅十一月日 [1878] 任百憲 南平縣監 [着押] 印 3顆(정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국대전(經國大典)』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지명총람』 14 –전남편-, 한글학회, 1984. 무인년에 임백헌(任百憲) 등 8명이 남평현감(南平縣監)에게 올린 문서 무인년(戊寅年) 11월에 어천면(魚川面) 화민(化民) 임백헌(任百憲) 등 8명이 남평현감(南平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내용은 선조(先祖) 한림공(翰林公) 임곡지(任哭之)의 묘소가 있는 욱곡면(郁谷面) 서당동(書堂洞)에 묘지기와 제실 막저(幕邸)에 사는 민(民) 십여 호를 견역(蠲役)한 것이 백여 년인데 병자호란 이후 흩어져서 2~3호만 남았다. 근래 임장배(任掌輩)가 동포(洞布)와 각항(各項) 잡역(雜役)을 횡침(橫侵)하기에 영읍(營邑)의 완문(完文)을 첩련(帖聯)하여 앙소(仰訴)하니 엄히 살펴 동포와 잡역에 대해 다시는 횡침하지 못하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욱곡면 서당동은 현재 나주 봉황면 오림리 일대이다.이다. 이 문서는 임백헌을 비롯해서 임백묵(任百黙), 임인준(任仁準), 임철준(任喆準), 임기준(任基準), 임철호(任哲鎬), 임길호(任吉鎬), 임기호(任基鎬) 등이 수결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93년 임주빈(任周彬) 편지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一九九三年六月日 案內人洪起夏등 5人 任周彬 一九九三年六月日 洪起夏 任周彬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관련문헌 1993년 임주빈(任周彬) 편지봉투 1993년 구일의적기문(九逸義蹟記文) 1993년에 홍기하(洪起夏) 등이 임주빈(任周彬)에게 보낸 편지 1993년 6월에 홍기하(洪起夏) 등 5명이 임주빈(任周彬)에게 보낸 편지이다. 홍기하 등은 임주빈에게 구일의적비(九逸義蹟碑) 제막식(除幕式)에 참석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일시는 1993년 6월 30일(음력 4월 11일) 수요일 11시이고, 장소는 나주군 남평면 서산리(書山里) 지석강(砥石江) 구람다리 앞이다. 구일의적비는 일제강점기 식민지화정책에 항쟁하며 유신(惟新:九逸) 서약(誓約)한 9명의 의인 의 뜻을 기리기 위해 서약 발상지(發祥地)인 지석강변(砥石江邊)에 세웠다. 9명의 의인은 후벽(後碧) 홍광희(洪光憙), 학고(鶴皐) 정도홍(鄭燾洪), 노곡(怒谷) 임언재( 任漹宰), 후고(後皐) 임학재(任鶴宰), 시헌(時軒) 홍찬희(洪纘憙), 서강(瑞岡) 한기설(韓基卨), 연파(蓮坡) 안철노(安哲魯), 덕헌(德軒) 정도희(鄭燾希), 풍암(楓岩 홍기면(洪起冕)이다. 연결문서는 피봉 1점과 1993년 구일의적기문(九逸義蹟記文)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6년 이시원(李是遠) 상소(上疏)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국왕/왕실-보고-상소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6년에 李是遠이 고종께 올린 상소 抄本. 서양 세력이 침략해 오는 위급한 상황에서 인사 정책과 절용, 애민의 정치를 펴도록 독려하는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66년 감결(甘結) 초(抄) 고문서-첩관통보류-감결 정치/행정-명령-감결 巡營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6년에 巡營으로 온 감결 抄本. 경기 근해에 서양 세력이 침범하여 각 도에 소모사를 임명했으니 그들을 중심으로 의병을 규합하라는 내용 *상태: 문서 중간에 공란이 있고 끝부분에 全州李氏 종인들에게 의병 모집 격문을 보낸 判宗正卿 李敦榮 등의 명단이 거꾸로 부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2년 이승학(李承鶴) 품목(稟目)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정치/행정-보고-품목 壬寅十一月十三日 都正 李承鶴 壬寅十一月十三日 李承鶴 潭陽郡守 行官[押] 潭陽郡守之章(2.5×2.4), 潭陽郡印 3顆(4.2×4.2)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2년 11월에 李承鶴이 潭陽郡守에게 올린 품목. 향교 교원 및 각 면의 直月이 될만한 사람을 薦望하여 올린다는 내용 *題音: 품목대로 시행하되 다른 임원을 정하고 差出하도록 하라는 판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김치홍(金致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 己卯式 幼學 金致弘 牧使 己卯式 金致弘 羅州牧 牧使[押] 周挾無改印(흑색, 21.3×5.9), □…□(7.5×7.5)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3003-01-100007 1879년에 金致弘(66세)이 羅州牧에 제출한 準戶口. *가족사항 : 妻 晉州河氏(66세) *추기: 八一統五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김치홍(金致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 壬午式 幼學 金致弘 牧使 壬午式 金致弘 羅州牧 牧使[押] 周挾無改印(흑색, 21.0×5.9), □…□(7.5×7.5)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3003-01-100007 1882년에 金致弘(69세)이 羅州牧에 제출한 準戶口. *가족사항 : 妻 晉州河氏(69세), 子 幼學基瑄(48세), 婦 海州鄭氏(48세) *추기: 三十五統一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김치홍(金致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 乙酉式 幼學 金致弘 牧使 乙酉式 金致弘 羅州牧 牧使[押] 周挾無改印(흑색, 21.3×5.9), □…□(7.5×7.5)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3003-01-100007 1885년에 金致弘(72세)이 羅州牧에 제출한 準戶口. *가족사항 : 妻 晉州河氏(72세) *추기: 九統一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0년 기우만(奇宇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戌七月十一日 奇生宇萬 庚戌七月十一日 奇宇萬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0년 7월에 奇宇萬이 보낸 간찰. *원문: 承枉不多日又奉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1년 기우만(奇宇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亥十二月七日 奇生宇萬 辛亥十二月七日 奇宇萬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1년 12월에 奇宇萬이 보낸 간찰. *상태: 상단이 찢김 *원문: 暮窮恭得見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노필(奇老弼) 전답안(田沓案)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경제-농/수산업-전답안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4개 필지 1町 8反 1畝 12평에 대한 전답안. *상태 : 奇老弼이 매득한 담양군 고서면 동운리 전답안이 함께 부착, 이 두 문서와의 관계는 알 수 없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이혁(李爀) 죽전약도(竹田略圖)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사회-지리-지도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李爀이 소유한 竹田略圖. 이혁이 소유한 담양군 창평면 장화리의 죽전 7反 17坪의 약도 *상태: 죽전약도 우측에 주소와 면적, 소유자가 기록, 상단이 찢겨짐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3년 임상욱(任相郁) 매득입안(賣得立案) 고문서-증빙류-입안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康熙五十八年癸丑七月日 康熙五十八年癸丑七月日 南平縣 任相郁 官{着押] 1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관련문헌 1793년 소지(所志) 1793년 임상욱(任相郁) 소지(所志) 1793년 노(婢) 도덕(倒德) 자매명문(自賣明文) 1793년 비(婢) 도덕(倒德) 초사(招辭) 1793년 서종백(徐宗伯) 등 초사(招辭) HIKS_OD_F1034-01-100033-01 1793년 7월 일 남평현(南平縣)에서 유학(幼學) 임상욱(任相郁)에게 발급한 매득입안(賣得立案) 1793년(정조17) 7월 일 비(婢) 도덕(倒德)을 매입한 사실을 남평현(南平縣)에서 공증하여 임상욱에게 발급한 문서이다. 방매자인 비(婢) 도덕(倒德, 13세)은 흉년이 든 해에 부모가 병으로 죽을 지경에 이르게 되자 부모의 목숨을 살리기 위한 계책으로 1793년 7월 13일에 자신의 몸을 스스로 유학(幼學) 임상욱(任相郁)에게 방매하였다. 이에 임상욱은 매입한 비 1구에 대해 관의 공증을 요청하는 소지를 올렸고, 남평현에서는 사실 확인 후 임상욱에게 공증문서인 입안(立案)을 발급하였다. 일반적으로 토지, 가옥, 노비의 매매계약이 성립되면 권리의 진정성을 증명하기 위해 매득인은 반드시 명문(明文)과 함께 구문기(舊文記, 최초의 취득자가 아닌 경우)를 재주(財主)의 소재관(所在官)에 제출하고, 관에서는 이를 입안의 내용 안에 밝힘으로써 소유권이 안정적으로 행사될 수 있도록 법적인 장치를 마련하였다. 매득입안은 매득인의 소지 + 매매명문 + 방매인의 초사 + 증인과 필집의 초사 + 입안 순으로 점련(粘連)하여 신청자에게 발급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3년 노(婢) 도덕(倒德) 자매명문(自賣明文) 고문서-증빙류-입안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康熙五十八年癸丑七月十三日 自賣 婢 倒德 幼學 任生員相郁 康熙五十八年癸丑七月十三日 婢 倒德 任相郁 婢 倒德[右寸], 業伩 徐英大[着名], 幼學 徐宗伯[着名], 同姓 三寸叔 金長金[左寸]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관련문헌 1793년 임상욱(任相郁) 매득입안(賣得立案) 1793년 소지(所志) 1793년 임상욱(任相郁) 소지(所志) 1793년 비(婢) 도덕(倒德) 초사(招辭) 1793년 서종백(徐宗伯) 등 초사(招辭) HIKS_OD_F1034-01-100033-01 1793년 7월 13일에 도덕(倒德)이 유학(幼學) 임상욱(任相郁)에게 자신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자매명문(自賣明文) 1793년(정조 17) 7월 13일에 도덕(倒德)이 유학(幼學) 임상욱(任相郁)에게 자신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자매명문(自賣明文)이다. 13세의 도덕(倒德)은 흉년으로 늙은 부모가 병이 들고 또 연달아 기근이 들어 목숨을 부지할 방법이 없기에 임생원댁에 15냥에 자기를 영원히 방매한다고 했다. 이어 관의 입안을 받아 후일에 만약 잡담이 있으면 이 문서를 가지고 바르게 잡을 일이라고 하였다. 이 문서에는 매매당사자인 도덕과 임상욱 외에 필집으로 업유(業儒) 서영대(徐英大), 증인으로 유학 서종백(徐宗伯), 증참으로 동성 삼촌숙(同姓三寸叔) 김장금(金長金)이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임상욱(任相郁)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任相郁 [1783] 任相郁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豐川任氏世譜』 中編 一, 五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시권 연구』 , 김동석,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HIKS_OD_F1034-01-100039 1783년(정조7)에 임상욱(任相郁)이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 1783년(정조7)에 임상욱(任相郁)이 제출한 과거답안지(科擧答案紙), 즉 시권(試券)이다. 이 시권의 시험 과목은 부(賦)이다. 부는 고려와 조선 시대의 과거에서 보이던 여섯 가지 문체(文體) 가운데 하나이다. 부는 송(頌)ㆍ의(義)ㆍ책(策) 등과 함께 제술시험의 전형적인 형태로 운문 형식에 대한 숙련도와 문학적 표현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시제(試題)는 '제피상의(制彼裳依)'이고, 성적은 '갱(更)'이다. 시권 우측 하단에 '팔존(八尊)'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말한다. 과거 시험에서 시권을 다 거두면 제출 순서대로 묶어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 자호(字號)를 매겼다. 이를 작축(作軸)이라고 하며, 천축(天軸), 지축(地軸), 현축(玄軸) 등으로 나아간다. 예를 들어 천축의 첫 번째 시권은 일천(一天), 두 번째 시권은 이천(二天)이라고 한다. 대개 비봉의 절취선에 크게 한 번 쓰고 그 아래에 좌우 각 두 번을 쓰도록 되어 있었다. 본 문서는 존축(尊軸)의 여덟 번째 시권인 것이다. 임상욱(1762~1815)의 자(字)는 정망(正望)이고 본관은 풍천(豐川)이다. 그의 부인은 광산김씨(光山金氏)이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