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掌敎訓學徒每於月課當直敎授聽考計劃季考則四員合席計劃歲試則俱卒學徒赴泮宮合試是白齊一置書記一人專掌院內文簿支應等節置大廳直二人使令一名使掌院內使喚置水工二名火工一名使掌院內供役是白齊一八道四都各營例儒生居接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오윤일에게 보냄 與吳允一 丁丑 정축년(1937) 거상(居喪)의 시기에는 다른 생각은 생기지 않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贈吏曺判書謚僖敏田氏原從功臣世均之女擧三男五女男惕縣監協贈參議悅參奉女適士人金景德金千秋府使柳夢井察訪李黃鍾贈參議柳濂孫男德允德敏魯尚文察訪李洪鍾妻長房出也贈參判德全仲房出也縣監德元進士德基德立參奉德種德符郡守金忠秀主簿柳守敬妻季房岀也曰泂滸瀁沔梁宗遇李縉柳夢井子若婿也曰朴之忠李黃鍾婿也曰敬仲愼中縣監李泰男羅德俊柳濂子若婿也納外曾玄多不盡錄而德全妻薛氏夫病夜輒露立禱天慮其意怠穿掌貫索及夫死毀性卽滅其子逢緖父病亦割指灌血朝廷俱命㫌褒益可驗公之家法也嗚呼公性於孝事親有至誠深愛躬漁獵供甘旨及喪廬其墓敦宗族信鄕黨是非之辨甚晣而德成氣和一覿心醉爲文章根據經傳務去浮華不飾空言其戒從子一篇以陳烈先生求心之工晦翁夫子應擧讀書之法爲訓縷縷數百言要不失聖門餘矩是以立朝事君惟忠信是主遇事敢言無所回避苟有鷹鸇之逐則雖刀鉅桁楊若無覩也松栢之恣過寒益勁桂薑之性到老愈辢清直一節終始不渝惟鳳城一事不能無後人之疑矣然是亦春秋責賢者備之義耶盖聞中廟嘗謂文定王后曰此人可以當國大事及乙巳之禍公之免重辟以此云當日君臣所相契亦可見矣其爲政清簡仁恕所至輒有去後思湖西則摹其像而祀之卒之日完府一境髫白無不涕泣號慕夫豈無德化浹洽於人者而能然乎哉嗚呼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得之於象者不假於辭得之於心者無待於言包羲之書亦已多矣經世之作不太多事乎然天地無始終古今有興廢消息盈虛人莫知其所以則卦而示之者包羲之畫也苟不能觀其象而察其變則吾知之畫直爲無用之虛文耳必欲開羲文之易啓後學之盲亦不可以無經世書之作耳余嘗沈潛乎卦爻之象而未得窺其蘊奥直以六十四看其卦三百八十四看其爻而未見其爲廣大矣及觀經世書所載天地始終一元消長之數然後知許多道理皆在包羅中矣是其可以一卦看一卦一爻看一爻耶噫吾非有見於經世易道之大殆不可窺矣於是試取而參考之其始於一之一而終於八之八者天地之數也會起於子而窮於亥物開於寅而閉於戌者一元之數也其爲數以三十與十二反覆相乘三十者易所謂陽之數也十二者易所謂陰之數也二數相乘而爲三百六十三百六十自相乘而爲十二萬九千六百可見元會運世歲月日時之數皆自卦爻中推從來此其經世數之大略也竊嘗以小者近者比而較之一運之十二世猶一日之十二時也一會之三十運猶一月之三十日也一元之十二會猶一歲之十二月也時積而爲日日積而爲月月積而爲歲凡積十二月三百六十日四千三百二十時爲一歲歲積而爲世世積而爲運運積而爲會會積而爲元凡積十二會三百六十運四千三百二十世而爲一元以時計之則世爲十二萬九千六百時之元以日計之則運爲十二萬九千六百日之元以月計之則會爲十二萬九千六百月之元以歲計之則元爲十二萬九千六百歲之元總言其大一元猶一歲分言其細一歲猶一元以此例之則天地始終之數果不外於三十與十二之變也自一時而觀一元則一元亦大矣自其辰之元而觀之則所謂一元猶一時耳是故五萬五千九百八十七萬二千之元皆屬於一大元而統之亦猶一元之內有五萬五千九百八十七萬二千之時也然則自始初之元至于今所謂天地者凡幾闔而幾闢耶是則康節之所不言不可得而知矣若以一元之內言之自天開以至今日自今日以至地消其間天下之分合國家之興亡人事之得失世道之汚隆其轉移之變亦可謂無窮矣然其在大易之闔闢此不過一變易道之無窮蓋可見矣夫易之爲易交易也變易也所以交易變易者陰陽也所以一陰一陽者太極也言之小則藏之一身中而不盈及其大也包納億萬元而裕如其大者難見其首尾而小則易見也遠者莫測其端倪而近則易知也欲求之物者求之吾心足矣欲觀於古者觀於今日可矣想包羲畫卦則不須用其巧不須於事事出物物上一一窮索只以一心觀萬變一日觀萬世其遠近取之俯仰察之之際固以覺得夫天下萬事萬物都不出二者之對待流行故却將元窮元盡底道理括以一奇一偶而盡之是知未畫卦前易在包羲之心旣畫卦之後包羲之心著在畫上此其方寸詎可量哉萬理之妙存乎其心萬變化之出於其心易非易也心爲易也此其方寸詎可量哉人亡於數千載之上而心存於六畫卦之中苟非天挺人豪其孰能觀其晝而得其心孰能開其心而示萬世哉此經世書所由作也然則包羲雖無一言康節所言皆包羲之言也學易者誠能由康節之言以得包羲之心以盡畫上之象則其畫前之理忽然在吾心矣是包羲之卦猶魚免之筌蹄又安用康節爲哉嗟呼不求之根而求之繁枝今學易者皆是也吾恐包羲之心隱而畫前之理晦矣是以不自覺其狂僣敢爲之說非曰知之欲與同志發憤以求其本云蓋太極動而爲闢靜而爲闔一闢一闔之間有元亨以息之利貞以消之四者循環無始無終而一元之理常存不死矣先賢有言大處有大闔闢小處有小闔闢愚竊以爲大闔闢處必有大元亨利貞小闔闢處必有小元亨利貞而其大闔闢中包得小闔闢小闔闢中又包得小小闔闢是故天地之元始於子會終於亥會而自巳以前六萬四千八百年爲元亨爲關自午以後六萬四千八百年爲利貞爲闔是則闔闢之大者也就其中細分之時十二統於一日日三十統於一月月十二統於一歲歲三十統於一世世十二統於一運運三十統於一會會十二統於一元而其進退消長各有大小之限今以歲月日之可見者言之一歲之元始於冬至終於大雪自冬至至芒種爲元亨而爲闢自夏至至大雪爲利貞而爲闔是一歲有一歲之元亨利貞而自爲一歲之天地一月之元始於朔終於晦自朔至望爲元亨爲闢自望至晦爲利貞爲闔是一月亦有一月之元亨利貞而自爲一月之天地一日亦然一時一刻亦然是則小闔闢中小小闔闢也時刻之闔闢雖小又有小於此者天地之闔闢雖大又有大於此者其大者生天地者也小者天地所生也天地得此生理於其父母以生人物人物得此生理於天地以之生其子分雖萬本之則一也是故古今氣序之進退盈縮人物之乘機出入者無不有元亨而闢利貞而闔者橫看是一般竪看是一般孰爲天地而孰非天地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第六條 人君建官制祿以待天下之士者非苟以爲寵榮其人也萬機至繁兆民至衆而不可以獨理則欲有以兼天下之聰明以成其協贊之治者也帝王之治莫盛於唐虞而建官惟百莫隆於夏商而視古惟倍當是時四海九州咸統於一而各職畢擧庶績咸熙及至成周儀交制度大備其取象於天地四時分爲六官其屬皆六十摠爲三百六十而治化洋溢菁莪藹蔚思皇至德之彦彬彬而輩出則豈不欲優垂天祿以養其多士而第以美廩豊餼皆出於農民則豈可濫費於無用之官乎後世不究此義廣置官職冗費民財此所以三代之後無善治也聖上特軫官多政煩之弊欲講變通之術此正東方一治之幾也臣只言古之官制而已則何益於時政乎臣愚謹採先儒之說敢此敷陳焉我朝之治法政謨無不合於周禮而第以海隅小邦內外建官倍於夏商國用之尾閭生民之受弊皆由於此國小而官多官多而祿薄其勢安得不苟且乎中庸九經曰忠信重祿所以勸士也士之懷道思施者豈待重祿而後勸於忠善哉誠以君臣之際接遇之道非重祿則無以施體下之眷而起報效之心也我朝一自削祿養兵之後在京諸官廩祿至薄雖卿宰以上俸祿不足以代其耕惟外邑祿俸稍厚故不以內職淸官爲榮必以外方州縣爲貴如得其情則可哀不足責也士大夫名節安得不日壤乎夙夜明庭依近耿光何等榮寵而乃爲厚祿所誘不願此而願彼此豈聖朝之美風乎識務之君子豈不欲變通而亦無生財之道至今未遑焉自昔有儒布之議又有加稅之論而皆行不得之事也竊以爲無害於國無怨於民而有生財之大道其一曰減州縣也其二曰汰京司之冗官也其三曰節用也夫官多則財益匱邑小則民益困物情事理之必然也先正臣李珥成渾皆欲合小縣去冗官此非臣之創說也以外邑言之則新舊迎送之弊使臣往來之費及他公用豈不繁重而皆出於民民安得不窮乎民窮則邦本不固此非可恤者乎以京師言之則閒司冗職其數太多別無緊務而徒費廩祿京師不急之官可去者去之以其職事分屬於六部郞僚而諸司中所掌緊重者則減去其多數之員只留二員使之分番治事夫職事之治不治不繫於員數之多寡苟得其人則雖一人而治之不得其人則雖百人而不治曷若簡其員豊其廩久其任而責其成績乎至於外邑至殘至薄可倂者倂之漢家山東豈不大於海東而不過二百州也若用此例則積弊可去民皆蹈舞矣此爲今日裕國安民之第一義也何爲節用也國家經用更加撙節量入爲出縮浮費制實用則豈無餘裕之財乎貢物主人其數許多所費無限朝延以莫重惟正之貢以資京師浮民揆以事理寧可如此若使地部長官精覈明察留其貢物之緊重者收其貢物之輕歇者付之地部屬官隨時貿納一如皇明光祿之制則豈無衍餘而可用於經費乎此聖人所謂節用爲愛人之根本也減州縣以收其祿汰冗官以合其力節國用以垂純儉之風三事行則餘財不知至於幾萬以此可以復其舊祿矣京官稍可以自給而盡其職事則朝廷尊而善政行矣當今國家何所病哉最是官不擇人也何其不擇乎其本由於數遞也始也賢愚不別而終焉庶職癏曠奔競之風皆由於此自唐虞至漢唐宋明莫不以久任爲致治之本古相臣河崙出于太宗曰皇明專以久任維持天下力請以未克行惟我英廟決意行之堅守不變遂使衆職得人庶績皆凝克成海東堯舜之治其列聖遵守其法曹錫文之十年戶曹金泮尹倬之二十年館長能使經費充積人才衆盛則何莫非久任之效乎夫何中世以還美制漸弛公議都消數遞之習至於今日而極矣三司六曹朝改夕遞有同蘧廬朝無敢諫之風國無仁賢之託玩愒天工架漏度日此所以官職雖多而紀綱日紊者也程子曰天生一代人自足了一代事臣謂量才授官則無不可用之人勵精圖治則亦無不可爲之時矣今欲致治惟在君臣上下奮發大志改張易調一以課功考績爲務勿以安常襲故爲計只求人器之相稱則倖進之望絶矣若微官庶職自有循序升進之例不必歲久不遷而至於長官重職則必責其事務之允治比古十年度支二十年館長之例循循責勵誠一無間則何患乎矯是弊政乎守宰之中有聲績可稱者則次次陞遷而到處善治終始如一而且有文學重望則非但選入臺諫亦授以論思之職擢置公卿之列此古帝王歷試用人之方也我國專以科制取人故才俊屈於下僚未盡其用此非治朝之規模也三司六曹不分文南參半擇任定爲官方則有志之士英秀之才修勵名行居官盡職治民著績必以名節自勵碩德賢輔安知不出於守宰之中乎程子曰不正心而欲救弊猶反鑑而索照君心一正則百官可正而積弊可去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序 夫孝始於事親終於事君孝者夏行之源忠之本也移孝爲忠終始不渝盡圍子之職者非成德之君子能若此乎人君所當寬假優容勵天下之忠孝也服齋先生姓奇名遵子敬其字也若先生者欲盡忠孝於君親而困不得其志也先生生有異質年才十三大通文理十七八時慨然以求道爲意超習俗之卑陋而卓如也嗚呼褊荒晩出且無師友先生盖嘗病也自是專以學問爲事竆理以致知反躬以踐實事偏母極盡其誠孝處兄弟極盡其友愛於事事物物上各欲極盡其倫理惕然以任重道遠爲憂難出於翰墨者一以宋儒爲法三代遠矣帝王逝矣野無遺賢之世不復而文詐秋目之法興焉朱晦庵聖人也猶以易學登第先生入廷對策名輝達于王所時士林以得人爲賀朝議以先生有啓沃輔導之學選入爲玉堂正字先生非堯舜之莭不敢陳於王前以仁義性理之設反復論難冀其萬一資聖學而助聖躬從善舍惡取王去伯欲致吾君於三代之上而尤勤懇於格君心之非可謂不失儒者之本竟矣其立朝五六年之間汲汲欲揚清激濁宗節義變苟且愛君憂國之心自不能遏之于中則累推疏章迨退而欲其聖心感悟沐浴齊戒若對越乎神明雖夜必整衣巾以坐讀古聖人書抑而思俯而記若有所得焉至若天文地志亦皆祠究其精微官才四秩其祿甚微以供甘旨之餘輒周戚黨之貧窶者簞飄屢空而猶晏如也室人或以告乏笑而不答時趙先針光祖得遇中廟以展布所學進君子退小人興孝弟尙廉耻一以古昔先聖王之道引君爲治衰下之俗爲之丕變朝著復尊賢之禮鄕黨有養正之談士以道德爲心民以耕鑿爲意賢者輩出成周之治將不日而復矣先生一見志合協心共力互相汲引轉相推引凡一施一措必以忠孝爲本世方仰其有爲而向之位宰輔居舘閣自以謂耆舊宿德者素不爲淸議所貸常懷積怨伺影欲射者久矣但以賢人無過第不得某便二三宰相構成虛語百計中傷潛入宮門鼓動君上以口不可道之事售一網打盡之術當夜起事直欲以短兵除之時會首相忠厚惻怛有宰相風故泣涕以諫皆得一頃之命於是趙先生蒙首罪遠竄金先生爭及我先生以次貶逐之知名之士流放殆盡爲善者懼矣嗚呼奸臣構亂欺君上賊忠良俱以功名富貴終始自保老死牖下不得以春秋之法律之福善禍淫天之道果安在哉厥後奸臣陰誘太學生無賴者數輩上章請光祖等罪論以應死命下之日無賢愚貴賤詬罵唾斥欲食其肉而寢處其皮則其於奸臣可知矣悲黨錮於漢室哀僞學於宋朝猶爲之長慮却顧直欲捐生而不回況於斯世親遇之哉又有無學述浮薄之徒徒痛不忠貞之見害於奸邪以除君側之惡爲名擧不佞之謀事覺伏誅時宰以爲光祖輩激成之也於是下金淨等論壽之命先生不得考終年三十非天所畀孰能與此嗚呼當先生穩城之謫也流離辛苦動忍拂欝困辱而沮抑之者備於詩可考矣然以朝聞夕死爲念死亡無日而尙且講易不輟惟篤實自新而已雖燕息之地常如君父之臨其前始終不愆得正而斃臨絶之言猶必以忠孝恐未盡學問恐未至爲說從容就死如赴樂地其爲所養亦至矣噫使人君眞知賢者之用心則將哀痛慘怛之不暇又何以放逐而隨殺之哉奸邪之徒蔽人君耳目得行其計其罪上達于天雖當士氣板蕩之餘公論不泯萬死不足以贖朝廷之議士林之論繼有疏章而欲雪其寃則亦可見義理之在人心而不誣也嗚呼忠臣孝子但欲盡其心於君與親豈有一毫私意於其中耶憸人得志從古爲賊使忠義之士鉗口無言束手莫伸信而見疑貞而爲戮悠悠蒼天謂之何哉自是厥後二十年間工之繩趍尺步稍以儒行爲名者必排擯斥逐之無所容於世而後已使人君畏之如豺虎疾之如仇讎委靡展轉日復一日士習愈下士風愈降仁義之說不復聞於搢紳之間矣嗚呼陰不可以久長陽不可以久消仁廟在位聖德動天王道邁古正賢者得志之秋而遽厭人世與舜同化善端之萌如草木盎然欲抽反以烈風嚴霜而殄折之也可勝痛哉今聖明在上一以仁廟爲法則庶幾士心稍慰而民志有所定向矣余讀服齋先生遺稿悲泣而書于末欲令後之好古樂善者見而傷之取此編而三復則先生之志可見矣且夫克己爲學之方盡性知命之學豈無後學之持循哉嗚呼餘事文章亦必本於忠孝岀於仁義始於性情終於學問雖顚沛生死之際猶惓惓於君親痛自刻責無懟憾之辭惟以不順爲怨慕焉則眞所謂關世敎而樹風聲於百代之下者矣並致寒儒今日撮讜議之微志云年月日朴淳謹書此思庵朴文忠公讀德陽遺稿讜議篇所書出海東名臣行迹而舊收入於集後者也竊以爲先生始終詳悉無遺而爲信筆不朽故今於重刊之日特弁於卷其或非弁文體裁有不必論也歲己亥孟秋服齋先生傍孫宇萬謹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武迪三韓壁上功臣至六代孫克廉太祖開國佐命元勲爲大匡輔國崇祿大夫兼經筵事議政府領議政封星山伯謚貞節】文迪判樞宻○公七世祖子用成用成樞宻院事○公六世祖子晉孫晉孫字士麗號我堂仕國朝資憲大夫工曹判書○公五世祖有子規矩俔【矩字仲方洪武丙寅西海道按廉使兼雙城摠管戊辰陞大護軍俔字仲則洪武丙子登成均進士德位倶成其在太學訓導諸生多所成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