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 先生答書曰: "喪中追造先主, 似不可以祔祭三獻爲嫌。 然此無先賢定論, 不敢質言。 要之, 待吉祭亦可。"《家禮》惟受吊贈幣, 特著稽顙, 外此, 凡有事几筵拜, 不稽顙, 可知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座下與金庠,俱無關於鄙家祖先,其往復源委之何以及此,雖未可知,座下彈碑之文,飛滿八域,聞見所及,豈非後昆之慨痛一言之質出於不得已者? 幸座下察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其閭忠敬王十五年甲戍五月庚辰登第例授當品職忠烈王六年庚辰與承旨趙仁規奉使于元大被世祖眷遇俾本國重於鼎呂王大喜特補郞將敎曰庇盡力立功雖其家世當限五品且於其身許通三品又陞高伊部曲爲高興縣由是爲忠烈倚任每當本國之有事于元則必遣公爲使前後皇華之行凡二十九次而能辦人所不能辦皆得使乎之體其華國衞社之功冠弁一時此自庚辰至丙辰專對之義也旣通三品之後以郞將陞中郞將俄遷將軍又陞大將軍轉左右承旨爲副知密直同知密直司事監察大夫忠宣王受禪爲光政副使兼知機務又知密直左常侍判密直司事忠烈王復位授贊成事修國史忠宣復立爲都僉議贊成事判軍簿司事進拜僉議政丞封高興府院君賜玉帶迄于忠肅之世身都上相連十三年且有宣忠同德佐理翊祚功臣號此自甲戍至辛酉踐歷之蹟也忠烈王三十三年丁未王留元三載公進退周旋泣血祈懇送王還國獨留爲質成宗嘉尙其忠賜名以奬之因命儒臣賦詩以贊其事竝使公東還忠宣王元年庚戌敎曰大德九年冬柳淸臣等圖安社稷重義輕身偕赴朝廷論列利害爲孤請還其功殊異宜別錄敍用及忠宣流叶蕃寄書崔有渰等曰與柳淸臣等議表請于帝奏記丞相俾余無久於此忠肅王八年辛酉王如元百官不及拜辭惟七臣從行而公之父子與焉及王收國王印留燕邸五年公侍王周旋此自乙巳至乙丑爲國效忠之事也忠肅王聞公讃己于忠宣頗疑之公與白元恒辨鄭方吉僧祖倫徐諲鄭瑈乃其黨與而瑈卽造言者故乃杖瑈流海島王之留元也有權漢功蔡洪哲曺頔等數十人請立瀋王金之謙金千鎰洪綏誣本國背上國又誣王盲聾喑啞喧謗載路都下洶洶當此之時不悅於公者因此陷公謂公附暠又謂公誣王盲聾暗啞又謂公立省罷國號迭訴於王至於元舎人王觀上書搆誣我朝太學鄭麟趾修史立傳浪籍貶陷殆無餘地此自壬戌至戊辰被誣之端也然而遍考史傳附暠謀立者卽曺頔權漢功蔡洪晢閔祥正金元祥金怡蔡河中金之謙金千鎰趙璉趙延壽李光庭閔漬李瑚李伯經李東吉趙湜金溫權賀田宏朴仁平楊安吉等百餘人而公則未見於一處謂公附暠眞是誣妄之辭也忠肅王十五年戊辰八月乙卯下瀋王黨趙湜金溫權賀田宏等于巡軍流之是月丙辰貶樂安君金之謙流判事金千鎰而曰之謙千鎰與萬戶洪綏歸心於暠以王盲聾喑啞讚于元故及以此而觀則附暠誣王皆有其人矣是以忠肅王十六年己巳六月二十四日庚戍公卒于元元文宗命以禮葬之乃命待詔李師曾畫公像遺本國諸子又命學士作贊以褒之忠肅王後六年丁丑特用公之孫累加顯擢贈公謚復公鄕恭愍王十五年丙午夏立眞宗寺奉公畫像落成之日自上降香幣以賁其會文忠公李穡作記以美之後我 太祖改玉二年癸酉遣重臣致祭贈領議政噫公生自草萊立朝貴顯歷事三朝位極人臣而終始一心至誠事國德望勳業爲國柱石著龜榮及祖先蔭垂後世是所謂間世一人而奈何遭讒罔極不得展其所蘊也雖然忠肅卽公所事之主而旋卽贈謚自後列朝累被褒隆公無餘憾但鄭氏是特未察之故矣於公何損乎公之神主尙今五百餘載奉在豊西舊庄其或有所以然而然耶世之偏見者不能詳考徒見其被讚時事緣之散出於史志而指爲疵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夫人家祖先。方其創業也。莫不困心衡慮。勞筋苦骨。披荊棘櫛風雨。存於幾亡之中。生於幾死之餘。僅能樹立家戶。以爲輩固子孫之計。爲子孫者。曾無錙銖之功。涓滴之勞。而坐享平康富貴之樂。其計食稱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十月甲午元以三萬之死遣直省舍人僧家奴杖整治官先生及白文寶申君平徐浩等十餘人忠定王二年庚寅九月先生中征東鄕試以嘗究治權豪沮未赴制科【見麗史東鑑】【按時左獻納白彌堅前典客寺丞金仁琯同中鄕試應擧于元○按以鄕試應制科者年未滿二十五則不許其赴而先生特以權豪所沮不赴則其年已過二十五歲可知矣】恭愍王朝先生嘗除御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遺事 萬曆三十一年【李朝宣祖大王三十六年】癸卯四月十三日辰時先生生氣質淸粹器度深厚爲兒嬉戱英邁不群及長未嘗汲汲於擧子業務窮聖賢之學人皆以大儒期之時昏朝政亂左尹公退休田園先生與伯氏翊衛公侍側講學自娛崇禎庚午中生員丙子北虜之難從左尹公入南漢明年二月世子有瀋陽之行選擇僚屬當從者遂除先生洗馬旣而有親老無兄弟者許免陪從之命而且世子欲以嬪之兄姜文明帶行故代先生爲洗馬而先生移除景陽道察訪壬午遭生妣梁氏之喪乙酉以直長登文科隷槐院丁亥薦翰苑臺諫有不悅先生者誣論先生曾圖免北行不宜置淸選至於竝削史局及槐院之選大臣有言先生實狀之不然者遂得白戊子除獒樹道察訪辛卯除求禮縣監是歲遭判書公之喪乙未拜康津縣監丙申拜兵曹佐郞正郞丁酉除金堤郡守暫赴旋歸戊戌又除永川郡守是年丁承旨公憂庚子制闋辛丑連拜持平掌令司藝壬寅連拜執義司諫錄玉堂先生經學著聞人惜其晩而議者猶執前事齮齕之臺官徐必遠疏論領府事李公景奭以姻婭私先生使得與堂錄蓋先生伯氏鰲洲公卽李相妹壻而先生則非其姻也且李公未嘗爲先生言一時公議皆尤臺議爲爽誤李公亦疏言先生學術行誼自應入選之狀癸卯除潭陽府使丙午拜弘文館修撰自是歲至庚戌爲修撰者四爲校理者三爲司諫執義者亦三四爲輔德者一而多不赴辛亥以眚災謫林川蓋先生前以臺職承召時嘗治邑吏奸橫者吏逃之京師倡言誣先生居鄕武斷遂被臺論坐配先生赴謫杜門看書玩賾日深時與湖西諸儒往復講討明齋尹先生拯嘗候先生談論義理退而深嘆服以爲先生德彌邵而學彌進也壬子遭淑人趙氏喪是年春宥還丁母夫人柳氏憂癸丑四月二十三日感疾考終于枝北寓舍享年七十有一先生以剛明之資承家庭之學以聖人爲準則講究經傳之旨明辨理慾之幾驗之於心而反之於身以求正焉常曰大學一書乃天德王道之要而自新新民之序也平生用功專在是書而至於格致章闕文處每嘗慨然而惜之因董相國權陽村之論而更考經文以物有本末爲格物章之首以知止有定爲致知之章而血脈相貫功效有序至於諸經靡不究極耳順心得如誦已言而達之於伊洛關閩之書以極夫理氣性命之原故嘗作爐火說以心譬之於爐以性譬之於火人心譬之煙道心譬之炎氣質之淸者譬之燥薪氣質之濁者譬之濕薪反復論辨而發明之明齋先生以爲得前賢未發之意大有功於學者其爲儒宗之所推許者如此而又論養志養氣之道以示學者用功之方曰氣不足以衛志則昏昧之病生焉志不能以率氣則散亂之患生焉又曰志不先定則動極必亂氣不素養則靜久必昏惟其有定也故動而能安有養也故靜而能活其所以處動靜而不失其正則一以敬爲主嘗讀朱失子感興詩及武夷九曲歌愛其切於日用之實而明於進道之序註釋而發揮之且記先賢之嘉言善行別爲一書授之童蒙而資其講習以爲小學之階梯遠近儒生之年少者每以月朔會于寧川露峯兩書院講論經義考其製述善者奬之不善者敎之而慢戱廢功者又施楚罰隨才敎導要使刮磨進修故學者悅服多所成就又嘗討論鄕約本之以宋朝諸賢之法參之以我東先儒之意酌古通今節目詳備行之一鄕而莫不興起帶方文獻之盛風俗之美甲于湖南者先生之賜也若夫天文兵法禮樂算數以至木牛流馬之制亦無不周知而尤明於河洛之理精於星曆之數因渾天儀而作竹圓子其儀一重中置地平設十二時官以水激之隨天自運比諸舊儀尤極精緻守金堤時承命造置玉堂又藏一儀於所居之堂而火延其室棟宇皆焚惟此一間火不及焉人皆異之愛君一念根於秉彝每遇民生休戚政令得失及朝家大典禮或有欠闕則輒陳章論奏顯宗辛丑將祔先王於太廟次當祧遷仁宗室先生時帶憲職上疏請享以世室略曰仁宗大王以生知上聖之資加典學緝熙之功其德則堯也其孝則舜也在春宮四十餘年仁聞早播於區域之內恩澤已深於踐祚之前其聖德至善昭載史乘照人耳目者歷歷可數今欲形容而稱道則何異於操尺而量天哉不幸東方無祿皇天不弔龍御之乘曾不踰年深山窮谷號呼奔走而不能自止雖堯民之若喪何以加此治未一年而至澤之感人者乃至於此則非聖人而如是乎至今百餘年之後其遺風厚澤浹人肥骨故七月一日之歌傳播於閭巷謳謠而流涕則文王之沒世不忘亦蔑以踰於此也以如此之聖德而不得享於世室則不瑕有歉於臣民崇奉之誠哉且世所謂功德二字抑有輕重者存功者主事德者主心興一時之事業者其效也淺得萬民之心悅者其效也深凡在論人尙不可以先功而後德而況於國家奉先之道乎今若以仁廟爲有德而無功不享於世室則臣未知國家之所尊尙將如何哉李朝二百年國脈幾絶而復續士氣已摧而還伸至于今綿綿者皆仁廟賜也其一時振作於變之效可及於千有百年社稷靈長終必賴之德之所及功有大焉廟無世室則已如有之則匪仁廟其誰哉請熟議審處俾大禮無缺廟貌咸秩疏入命議大臣而竟不行識者恨之先是孝宗大王之喪議大王大妃服制諸儒臣以爲孝宗次嫡承統當用賈疏四種之說旣而從國制定爲朞服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자문은 조선시대 관청에서 물건이나 금전을 받은 뒤 발급하는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頭箭) : 조선 시대 무시(武試)에서 사용하던 화살로, 박두전(樸頭箭)이라고도 표기하였다.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