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氣溫而和。言若不出口。行若不勝衣。勤儉其平生家計也。敬謹其終身柯也。樂善嗜利。出於天性居貧處困。安於己分。不妄出入。不妄交游。城巿店肆名利繁華之地。不識公之面多矣而所與遊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蓋欲去理而明心以心性判爲二物而不覩天不相離之妙者釋氏之失也認得心卽理理卽心以心性直爲一物而不察其不相混之實者陸氏之失也書湖洛黨論後竊觀岩塘所辨論殆數千言皆其全集在矣謹陳一二如左而綱領頭腦亦不過乎是矣請敢略陳愚見可乎蓋太極不離乎陰陽不雜乎陰陽而五行一陰陽也陰陽一太極也太極本無極也天以陰陽五行化生萬物氣以成形理亦賦焉天所賦爲命物所受爲性而以命言之則元亨利貞也以性言之則仁義禮智也是故理是萬物之一原而在天爲四德在人物爲五常五常卽四德也四德卽五常也其所偏全者豈不緣於氣稟乎朱子曰論萬物之一原則理同而氣異觀萬物之異體則氣猶相近而理絶不同理同而氣異者就其付與萬物之初天命流行只是一般而二五之氣有淸濁粹駁而言也氣相近而理不同者就其萬物成形之後知寒暖飢飽好生惡死等人物略同而昏明開塞之甚遠而言也然則謂物只得五常之偏可也謂物不得五常之理可乎蓋人物之性有所謂同者有所謂異者知其所而同又知其所以異然後可以論性矣必得是理而有爲人物之性則其所謂同然者固不得而異也必得是氣而有爲人物之形則其所謂異者亦可得以同乎且夫心一也而有指體而言者寂然不動是也有指用而言者感而遂通是也喜怒哀樂未發謂之中者非寂然不動之體乎發而中節謂之和者非感而遂通之用乎蓋性爲心之體而未發則性也情爲心之用而已發則情也未發謂之中者指其思慮未萌無纖毫私欲自然無所偏倚而言此所謂純粹至善者豈容有慝之種子乎聖人未發之中固是無所偏倚而衆人雖有氣質之惡亦或有此等時節夫未發之中旣與聖同則本然不用事而大本立矣其性豈不獨善哉若其氣質昏濁爲私欲所勝則未發時只是塊然頑石劈斫不開此乃未發之不中者也不中者是爲不善而所謂善者又在於何邊耶朱子曰未發則性也無所偏倚故謂之中又曰此心存則寂然時皆未發之中心有不存寂然木石而已蓋所貴乎未發者以其心存而無所偏倚也蓋徒指其不接事物而言乎若只以不接事物爲未發而心不存而昏濁偏倚則豈可以那箇未發謂之中乎衆人雖具此心而未發時己自汨亂不得如聖人未發之中故至感發處亦不得如聖人之中節也朱子曰孟子雖不言氣質之性然於告子生之謂性辨亦旣微發其端但告子辭窮無復問卞亦不盡其辭然則犬牛人性豈非指氣質之性而言耶語類曰人生時無浩然之氣方是養得又曰被人自少時壞了今當集義方能生孟子集註云本自浩然失養故餒惟孟子善養以復其初蓋衆人之失其初由於養之之失也賢人之復其初由於養之之善也衆人若能集義以養則豈有不復其初者乎龍湖精舍扁牓記自余家嶺陽而東四十里有龍湖洞者余築精舍六年于玆始立扁牓蓋欲己而有不容己者何哉余嘗有志于學而未得其方先君戒之曰爲學雖由己須先擇師俾學于淵翁先生先生所以敎之者亦不異乎家庭所聞而且曰古人云吾誠志于學天必遂吾願夫學惟在乎誠之如何爾余退而築書室于嶺陽松樹之間淵翁亦爲之記焉余爰處獨學先君又戒之曰汝性褊而執責善補過必須朋輩拈示易象之麗澤而因有說焉而其記則淵翁弟心翁筆也顧余所以受敎於父師者如此故旣以遂吾麗澤爲左右扁於書室則雖慵惰之甚庶其有進而因循躁愚遽爾項枯馘黃愧負此屋子而已苟如是則雖復可以起堂舍安庸更立扁牓以重吾過也哉此龍湖之築所以久而未有扁也然惟此龍湖先賢俎豆遺址而先君嘗欲避地於此而未果矣淵翁亦嘗歷覽而稱賞矣然則其在後人固宜乎經營其側思所以命名舍父師之敎意而亦奚以哉念昔獲陪淵翁於武溪之棲碧堂一日從容寫出三段書以授曰收斂身心莫切於九容進學益智莫切於九思此栗谷先生語也聖人之事學者之功無踰於勤勵不息此尤菴先生語也吾儕今日只可於僻寂處草衣木食度此歲月此延平先生送晦菴夫子語也蓋淵翁性不喜書居恒詩文札翰率多口占倩諸生持筆而獨此手書其意可知矣竊惟存心守己之方前記前言旣盡矣而復申之以三段書者以示夫存心守己之要必如是已後乃見其功而所謂勤勵不息亦非徹上徹下者乎嗚呼其何可忘耶爰揭其遺墨而揀九容九思軒曰二九取木食澗飮堂曰木澗蓋澗飮字雖不見於延平語而晦翁反招操中與木食字竝稱則今承用其說恐似無悖於義且賴朋儕之力於堂之北別建一齋以爲群居講肄之所而名以須成者取須友以成之語而卽亦麗澤之意也旣以列扁於內總以扁之於外曰龍湖精舍者蓋亦因地名也遂序其本末請得復從事於斯思贖前愆而老益怠荒竊恐來者亦有所不能追爾抱此愧恨將何以見父師於地下乎第以示兒曹且以告同志俾余爲前車之鑑而克遵父師敎意及時勉勵則亦可以成余之志也夫是爲之記而益自警省云辛未暮春上旬金在洪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氣慈詳。家貧躬耕。孝養二親。愛敬倶至。志物無闕。執喪過哀。一從禮制。朔望展墳。風雨不廢。平居。持身有則。御家有法。華美之服。珍怪之物。不入於家。一家之內。孝順勤慤之風。油然興行。以至族戚隣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旣告返矣。誰謂今日得復見老兄手筆耶。悲慰不可言。京部談辨。謹已讀之。正大之情。不少沮撓。而嚴密剴直。凜如秋霜。雖靡靡孱弱。幾乎垂盡之日。而一縷士氣。爲不死矣。仍審兄候有不安之節。備經險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만약 조금이라도 물리쳐버리고 싫어하는 마음이 생기면, 이치와 일이 도리어 두 가지로 나누어지니 독서 또한 쓸데가 없습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매번 한 생각이 생기면 유명(幽明) 간에 저버림이 무궁할까 두렵고, 만약 하루아침에 덜컥 죽게 되면 또 무슨 말로 저승에서 만나게 될 날에 알리겠는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生諱士貞字仲幹號桃灘籍長淵在麗朝中門祗侯諱有寧卽公鼻祖有諱龜壽號竹岡麗亡仍不仕於公爲六代祖也五代祖諱處后號水亭官兩館提學判兵吏曺以文章筆法有名華國高祖諱大海按節三道曾祖諱崑校理縣監祖諱希哲郡守考諱灝進士別提妣鄭氏司圃別提玉堅之女也公生於嘉靖己丑三月乙卯十歲失怙恃及長娶龍城仍居于南土公存心實地就玉溪盧先生禛及一齋李先生恒門講學甚篤兩先生稱其純精高峯奇公亦推許爲道義之交遂斷意公車卜居頭流之桃灘樂而忘飢考槃其中癸未朝廷用學行薦除慶殿參奉時栗谷李先生珥牛溪成先生渾爲時輩所詆斥並逐還山公因謝恩上京乃憂慨上疏略曰方今天日方中魑魅遁藏而小人賊害忠良重罹時議成渾以救珥之故遭讒罔極裏足還山臣寢食俱廢憂心如醉又曰三司政院今爲奸邪窟穴締結朋比恣行欺罔熒惑天聽無所不至此乙巳奸兇所未有之事也又曰殿下仁明有餘而威武不足善善而不能用惡惡而不能去此郭公之所以終至於滅亡者也殿下深懲往轍斷自聖衷奸黨中肆爲斯罔者分輕重罪之急召李珥成渾復其位則垂亡之勢可轉而爲安矣上覽疏賜批曰今觀疏辭雖古之直士蔑已加矣乃召李珥成渾復其職遠竄許篈朴謹元等士流咸稱嘆服其扶正之論自此朝著不靖公遂棄官而歸庚寅除齋陵參奉又不仕焉至壬辰倭寇充斥大駕西遷八路瓦解國事板蕩公別妻孥奮然挺身倡義寡旅得精兵數千以敵愾爲章標前牧使丁焰前縣監楊士衡推公爲大將體察使鄭公澈遣裨將李潛以副之公乃與之領兵向京行到公州體察使移書曰白首寒士仗義北向爲國忠亮非等閑可匹而第當此時不守湖嶺兩界之間則湖南盡爲賊藪斯速退處備禦公卽馳到沃川界分屯尙善等地以扼湖西賊路使李潛等領精銳守黃澗要害處設伏截擊斬獲五十餘級士女之避亂黃永者多賴而得全體察使啓聞其功及値賊退公乃馳入大丘與諸將合陣邀擊斬獲三十餘級巡察使權慄又馳聞之及聞晋陽圍急使李潛先往曰晋州得失最關湖南之存亡急須赴援公自以數伍運餉奔馳至三嘉督勸諸將合兵前進晋城遽陷倡義使金千鎰與黃進李潛諸人皆力戰而死公痛哭悲憤恨不得同殉也聞賊將向湖南退守咸陽關防亦多斬獲而耻於徼賞皆不報乃陳疏曰當今紀綱掃地賞罰不明號令不行亂起以來倡義捐生者前後非止一人而將軍官者立視其死莫之肯救而無一加誅伏願殿下先誅臣以懲其餘則列郡皆憚戢而相救恢復之策庶可望也仍盛陳金千鎰之忠憤義氣高從厚兄弟之爲父復讐同日就死黃進李潛之分當一隊矢盡遇害之狀請其父母妻子之恤典言甚激烈殆至屢千餘言上賜批奬之又移書體察使柳公成龍曰老生隨諸將之後慣見兵勢爲將者不肯戰爲卒者輒逃散若不嚴立軍法退兵之將潰散之卒繩以極律則萬無掃蕩恢復之望矣勸以急卽馳啓柳公以今日恢復之望專在左右答之逮夫甲午命罷義兵盡屬於忠勇軍巡察使權公慄以公戰功甚多因定南原守禦將使守山城措畵皆得宜及罷兵歸復遂初服年近七十矣戎馬矢石之餘神精勞弊而猶勤學不懈晝夜切切焉硏索乙未陞僉正不應丙申挈家歸龍城舊第疾劇以謹身修行遺戒子孫卒於是年十月丙戌享年六十有八葬于府治南冶理山艮坐之原丙午錄宣武原從勳贈司憲府掌令配掓人慶州金氏生員點之女也後公十二年卒於丁未享年七十八祔葬于公之墓左有一男誼直長生三男一女長尙益次尙漸次尙節女適士人朴充亮公貌頎而長器偉而宏有氣像風采早謝擧業專意於爲己之學就一代諸賢質疑卞惑義理精微處輒窮索蘊奧洞澈乃已所著論說多有前人之所未發者若見公四先生氣像對策及伸救牛栗兩賢疏則可知其尊賢衛道之誠造詣純篤之工卓異矣是以尤庵先生錄癸未章疏有曰訟兩賢誣者激勵明直無如公疏置之于卷首公最嚴於闢異毁去鐵佛以破愚俗之惑嘗以扶正道抑邪論爲己任而剛方之氣正直之言能感動天聰風動士林每憂時論治必以明天理正人心爲先及壬辰倭寇之亂痛大駕之去邠憤列閫之潰散倡義提兵控禦湖嶺之間斬獲甚多終不言功陳疏行在折書體察堂堂恢復之策憤憤敵愾之忠使人激仰於百載之下倘非爲國之誠根於天性資諸學力能如是乎噫以公之學行功忠生止僉正殁贈掌令尙未施褒槩易名之與可勝惜哉湖嶺童甫建祠於公藏修之地以圃隱先生主享公及懷齋朴公配焉祀以爼豆可見土論之尊慕也公之遺稿閱歷兵燹不傳於世略有見於諸賢集中典雅之體盖有得於濂洛也公之孫海晉自千里來要余狀德辭而不獲忘僣謹叙惟在立言君子之裁擇焉輔國崇祿大夫行判中樞府事兼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李鼎輔謹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嗜酒而戒曰。古人云酒之禍甚於洪水。信乎一勺之水爲禍。何其酷也。與小子論文。亦在其時。而小子終身服膺。雖未能造其微。其爲文之糟粕。庶可得聞爾。文其容易言乎。嗚呼。苟非天賦純篤。彌留沈病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壬辰渼湖先生棄後學。服心喪期。因從三山齋講學。若尤翁之於愼齋。甲午春擢文科。上親臨宣醞。命讀關雎章。下御製一句曰。重逢今日誠料表。追憶昔年懷萬億。使一榜賽賡進。公卽對曰壽域恩光達四表。無疆休命基千億。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