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묘동(廟洞) 서울특별시 종로구 묘동(廟洞)으로, 조선조 역대 임금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종묘가 있는 곳이라는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추모동'이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조선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가 태어난 터에 비석을 세우고 그를 추모했던 데서 붙여진 지명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경주인은 고려 중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계속되어, 상경하는 지방민 및 하급관리 등에게 잠자리와 식사의 편의를 제공하고, 공무 또는 군역 복무를 위해 서울에 올라온 관리ㆍ군인들이 각 관청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 시대 문무백관들이 주로 출입했던 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향색(鄕色) 조선 시대 지방 기구인 향청(鄕廳)의 임원(任員)이었던 좌수(座首)ㆍ별감(別監)ㆍ색리(色吏)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추모동이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조선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가 태어난 터에 비석을 세우고 그를 추모했던 데서 붙여진 지명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仰吾宗之玄系兮肇闈緖于昌城鬱芬茂而蟺延兮超獨摛夫東荒惟太保之純慤兮固衆人之所服肆名立而行著兮倬承風於上列厥胤儼而秪承兮又申之以修能木有根而必豊兮川有源而必長道彌遠而益隆兮事彌久而益彰世十遞而再轉兮有皇直之吾祖奉孝誠而自勗兮拊仁義以修度履有實而不錯兮言與貌其相副咨天軌之不闢兮竟施乖而位仆幸明裔之受成兮頗揚譽於中洛因襲輝而紹烈兮廓長騖而廣宅理旣隆則或替兮遂湮沒其不濟顧吾生之微陋兮恐墜缺而岡繼勤仰高而蹈景兮願謀道而光前言可討而不究兮行可施而不宣嘿端守而堅操兮就幽屛而潛精探衆藝人竝驅兮追駿步而高翔旣遵道而從容兮孰云余佩之不馨恃已有而自娛兮謂余志之可遂伊日月之流遷兮時曖曖其將至悵素懷之有違兮遡往載而增喟彼回也爲庶幾兮終陋巷之簞食曰夫子之盛德兮疇顯始而令終亮有施而無復兮究厥理而罔徵中昏瞀而益勞兮私猶豫而周章然自修其可嘉兮亦何傷其不吾知禹竭力而克補兮果先嗣之重儀微子悶而周慮兮用極濟夫艱危英六孑其微蒙兮尙敷光于遐世苟吾力行而不息兮夫豈路遠而不能屆恒夜惕而晝慮兮日匑匑其未已何事故之偷易兮淹荏苒而無成唉秋鵙之先嗚兮嘅憑心而疚情玆歷陳而昭著兮聊按撫以自伸儼肅靈之在上兮庶激烈而有聞勉蹈中而履安兮敢怠荒而離越頼先籍之餘輝兮冀來今之無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시대에는 매년 정월에 나이 많은 백성에게 품계나 벼슬을 하사하는 은전을 베풀었다. 이때 내린 교지를 수직교지라고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조선시대에는 소과나 문과 혹은 소과나 문과와 연관된 시험에 응시했던 자들의 답안지를 옮겨 적은 예가 많았는데, 이런 자료들을 편의상 복본시권(複本試券)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이 상서는 전래되고 있는 것이 많으며, 시대는 대개 조선 중기 이후에서 말기까지의 것이 대부분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 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以刑曹參判召還。丁卯虜警。輿疾扈駕。中途而殞。贈吏曹判書諡文貞。尤菴宋先生撰諡狀。世所稱石灘先生者也。高祖諱韶號慕窩。有孝行。文谷金相國薦于朝。除寧陵麥奉。丙丁後守志不仕。有詩曰。主辱身無恙。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銘旌曰朝鮮遺民。安厝于聳珍負艮原。門徒絰而從者七十餘人。四方觀葬者。多至四五千。配金氏父商山興澤。墓在某地坤坐。一男憲洙。三女適金成中金在禹奇萬燮。孫男根浩。孫女爲柳根重妻。金成中二男一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席洞山山訟事蹟吾家山訟之顚末旣悉於鳴金錄而自丁酉年金隻又起鬧端誣囑營邑至戊戌秋觀察使李完用親審之場以護金之計稱以息訟劃定境界以給金隻兩家訟軸一切燒却判決書五件成出二件分給兩隻二件分置府郡一件報告于高等裁判所且捧兩隻侤音以更不起鬧之意斷案妥帖而隆熙三年己酉測量地籍屆于農商工部各守定界矣不意辛酉二月間伐之時凶彼金隻異議郡廳七月分對質於警察駐在所判明金隻之無關於崔山彼之凶計終不得售至八月分林野申告九月剪枝後金隻又以賊心起訴于井邑裁判所五回對質以林野調査在邇之故停訟而十月十八日測量技手朴泰鍾調査之場金珪相輩環山全局都占之意紛爭申告爲吾崔之子姓者豈不刻骨熱血哉調査班長臨檢山處立會兩隻審問事實壬戌二月分道廳山林係主任又審問于山處實地檢去至癸亥八月二十三日總督府技手簗瀨與道廳員權寧旭親審山形記載墓所碑文而去其翌日調査於郡廳問申告中陳述書事實甕菴公入葬年代幾何答今四百四十七年前云問鐵匣臺帳水營量案輿地勝覽記載事實答鐵匣臺帳水營量案中山地與奴名末之記載而自新量後竝皆廢置不存惟邑誌在來中席洞山一名道洞山而崔之先山昭然記載云問金少尹墓先葬否答金少尹知高麗時人然其葬之何處何時不知也云問處菴公之入葬年代答朝鮮開國一百五十五年葬之云問少尹家借葬瓮菴處菴兩公云則其事實何如云答全無此等之事云問然則最初甕菴公入葬之時該山地自何買得與否答國初空山始爲占領迄今守護云問山坂內七十餘位墳墓全部崔塚耶答然然云問以何證據悉認耶答譜冊記載又年年歲一祀故確認云問墓籍屆幾位提出答四十三位問陳述書中一大阜之指稱少尹墓云云如何之說答吾家先山局內古有一大阜或曰竹墳而康熙己未金隻忽然指此爲渠之先墓末乃謂少尹墓云所謂竹墳今卽少尹墓云也二十五日調査時問紛爭山坂內金少尹墓地不爲紛爭何也答光武二年李觀察使劃給金隻故不關云云問該時判決書自何繕給乎答現場卽時提給云問伐採植樹有無答年年伐採植樹云問幾年何邊伐採其株數幾何答十四年前庚戌西邊伐斫二千株賣却三年前辛酉又斫伐云云問庚戌斫伐時賣渡於何人乎答瓮中里韓容九買去云問三年前斫伐時自金隻有何如異議乎答四月頃金隻異議於本郡駐在所而吾家說明其理由金之異議歸之無效云問伐採幾何年答年年伐採云問伐採時使用何人乎答自來枝葉任於山直伐採云問自判決後該山坂內枝葉伐採乘夜盜伐乎金邊有此說云云答全無此等事云問植樹幾何年株數幾何本答自六十年前植樹每年株數三百本云問元來守護何如爭訟何如答自開國八十六年始葬以來無弊守護二百餘年至康熙己未金隻稱有渠墓於此山云而或云金少尹墓或云彦邦墓或云曾祖墓如是起訟終以一墳三祖之說敗訴其後七十年金隻又起訟結局敗訴其後咸豊庚申金隻又起訟而全仗官威開拓墓門他人之知有金墓自此而始其外山地全無金隻之關係如是十四年後始爲斷案金隻訟軸自官廷盡爲爻周出給勝訴之崔家云問爻周金狀幾何有無答大槪幾張云問李觀察判決後異議有無答各自守其定界無異前林野調査時金又紛爭云問金邊所出崔之狀軸中記載氏名貴門族與否答其狀軸之僞造氏名之相半不同云云而其翌日辨誣書一通提出且諸般證據書類大槪抄出於鳴金錄與散逸草件以備自來事實云諸般證據書類立證件八月二十八日陽九月二十六日總督府不服申立書提出崔炳旭外六人添附證據書類跋辭一通刑曹關文一通京兆關文一通縣監書目一通刑曹甘結一通本官牒報一通縣監書目一通營門完文一通判決書一通金周相納侤一通本官告示一通地籍屆證明一通附圖本農商工部接受證一通本郡伐採許可二通同一山名認證一通附舊邑誌謄寫金譜謄本一通九月十一日金佑容伐採枝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전라북도 남원시 使[着押] 3개(적색, 정방형)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全北大 博物館,『朝鮮時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處分尤不當有些次且也何乃十年而寥寥無聞殊非對揚將順丕應後志之道也鄙等之愚玆敢不揆僭率斷然經始而播告遠邇欲其一例克復咸與維新伏乞僉尊千萬惕念卽各依施蘊爲德行發爲事業以之鼓勤我士氣以之扶護我國脈則斯文幸甚夫己立立人己達達人仁者之事也鄙等之無似顧何敢㖨第念神州陸沈後數百餘來碩果不食底朝鮮乃亦一朝而剝盡爲坤無復舊容而天涯地角毛者羽者介者鱗者奇奇之形怪怪之種爭來橫行率食我人思以易之則腸裂肝燬直欲無聰而不可得也吾道之危急存亡不啻若一髮而如其終不得衛護保全於萬一則生不如死之久矣無論某事道如可衛萬死猶甘百身何惜吾人儒凡爲堯舜孔孟之道者目前大同之病皆便是死中求生而不容但已也方外窮賤且猶盡然況職任珍重責望非輕如僉尊者乎吾知僉尊之情必然一般矣情旣一般則義不敢不通告也且念撤院招盜恰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昌寧成時柱謹書公諱攸之字子有姓崔氏本貫朔寧自號艮湖蓋取諸兼山之義也高麗平章事天老卽其鼻祖而李朝名臣太虛亭恒之八代孫也高祖諱彦粹選翰苑忤權奸官止正言贈吏曹參判曾祖諱穎贈左承旨祖諱尙重司諫院司諫贈大司憲以才學顯當世自號未能齋有三子次子諱葕左尹贈吏曹判書自丙丁和成杜門以終世稱星灣先生貞夫人南原梁氏主簿俊遇之女實生公焉季子諱薀以遺逸徵拜憲職承旨皆不赴世稱砭齋先生前夫人興德張氏縣令經世女後夫人文化柳氏處士灝女皆無子以公爲嗣公以萬曆三十一年癸卯四月十三日辰時生氣質淸粹器度甚厚爲兒嬉戱英邁不群及長未嘗汲汲於擧子業務窮聖賢之學人皆以大儒期之崇禎庚午中生員丙子北虜之難從左尹公入南漢明年二月世子有瀋陽之行選擇僚屬遂除公爲洗馬旣而以親老無兄弟許免陪從之命移除景陽道察訪壬午居母夫人梁氏喪乙酉以直長登文科隷槐院丁亥薦翰苑臺諫有不悅公者誣論公以圖免北行不宜置淸選大臣有言公實狀之不然者戊子除獒樹道察訪辛卯除求禮縣監是歲遭判書公之喪乙未監康津縣丙申拜兵曹佐郞正卽丁酉守金堤郡暫赴旋歸戊戌除永川郡守是年丁承旨公憂辛丑拜持平掌令司藝壬寅拜執義司諫選入弘文錄又有因前事齮齕者李相公景奭疏辨公學術行誼正合玉署之職尋除潭陽府使自丙午爲修撰者四爲校理者三以微事謫林川與湖西諸儒往復講討明齋尹先生嘗來候談論義理退而歎曰公德彌邵而學彌進也壬子丁先夫人柳氏喪祭丑四月二十三日卒享年七十有一公以剛明之資卓絶之才早服庭訓講究經傳明辨理慾驗之於心反之於身常曰大學一書天德王道之要自新新民之序也平生用功專在是書至於格致章闕文處每嘗慨然而惜之更考經文著說論辨而深有取於董相國權陽村之說焉至於諸子百家無不淹貫如誦已言尤致力於理氣性命之原嘗著鑪火說心譬鑪性譬火指人心爲煙指道心爲炎氣質之淸謂之燥薪氣質之濁謂之濕薪反復數千言明翁亟稱之以爲發先賢所未發若夫天文兵法禮樂籌數以至木牛流馬之制無不周通而尤明於河洛精於星曆因渾天儀而作竹圓子比諸舊儀尤極精緻嘗承命造置玉堂又藏一儀於所居之堂火焚其室棟宇皆焚此惟一間火不及焉人皆異之嘗論養志養氣之道曰氣不足以衛志則昏昧之病生焉志不能以率氣則散亂之患生焉又曰志不先定則動極必亂氣不素養則靜久必昏有定故動而能安有養故靜而能活其所以處動靜不失其正者以敬爲主嘗讀朱子感興詩及武夷九曲歌愛其切於日用而明於進道註釋而發揮之又嘗講論鄕約本之以宋朝諸賢之法參以我東先儒之意不泥於古而亦不駭於俗行之一鄕人多化之顯宗辛丑當祧遷仁宗室公上疏請享以世室略曰仁宗大王以生知上聖之資加典學緝熙之功其德則堯也其孝則舜也盛德至善雖以文王之沒世不忘亦蔑以踰於此也今若以仁廟爲有德而無功不享於世室則臣未知國家之所尊尙將如何哉疏入命議大臣而竟不行識者恨之先是孝宗大王之喪議大王大妃服制諸儒臣以爲當用賈疏四種之說且從國制定爲朞年服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