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陽來復是天根半夜雷聲啓九門三十六宮春次第萬千家戶氣貞元人間但見馳風雪地下誰知動暖暄此日書生深有意小梅窓外暗生魂 하나의……천근(天根)이니 《주역(周易)》에서 동지(冬至)에 하나의 양(陽)이 처음 아래에서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雨止報祀同唯有飮福齊戒見上陳設前日一有司掃除祭所有司設諸祭官次又設饌幔隨地之宜設神座皆內向席以莞贊者設獻官位於神位之左而右向執事者位於其後皆以近神爲上贊者謁者位於獻官之右稍前祭日未行事前掌饌者帥其屬入奠祝版於神位之右【有坫】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次設祭器如式【見陳設圖】設罍洗及篚於酒尊之左俱內向實以巾爵省牲器見釋奠行禮祭日丑前五刻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治民難乎不難人之居室或不能善其子弟治百里萬民之衆曷爲不難治民非難自治爲難自治正民豈有不從正者風之所起天下一披靡然深山畏萑曠野央莽呼號一聲莫有間者非他天機動也天機所動天下爲小況百里之內乎自治不正心膽楚越手足不相應況於人乎天之所命同秉一性性發情善同有是理養而長之物不我撓擴而充之恩及禽獸非我獨得民所同有以彼之有治彼之身政化之速非風所及則非他在導之順其欲也民之欲衣食也不奪其時飽暖之民之惡勞苦也節其力役安逸之恒産足恒心生父義母慈兄友弟恭以順將之禮義俗成而王道興不難致矣噫世之衰久矣人心茅塞利欲紛拏遠於禽獸者幾希禽獸治之不亦難乎守令而不知先有其性况於民乎民旣不能有其生況知有倫秉乎況望其禮義之俗成乎擧一世貿貿固其然也何幸求禮之民先得其敎而知其性也先被其澤也先成其三代之俗也求禮南邑之小者也吾君爲之治功不難著無以勉然而他日臨大邦得大政其民愈衆其功尤大者未必不本諸此邑而推之則亦不可謂不難亦不可不相勉也君子外族正而直亮於學博少釋褐登高第選入玉堂侍經帷陳王道正心之要洋洋焉聖君寵之以親老辭俾一城便其養焉於其歸造乎予請一言情義不可辭拙辭敢書爲贈時正德戊寅仲春下澣成蕃仲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其亦孝矣。鯉躍雀入。王祥之孝。所以感物。嘗糞求代。黔婁之誠。所以出天。二子誠孝。千載凜然。至若不廢子職。父母慚還。則薛公之篤行可見。恨纏蓼莪。門人廢講。則王氏之追慕足悲。家貧親老。極其滋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其器。每於暇日。以山巾野服。嘯咏盤桓於泉石風篁之間。無一點塵埃之氣。人之望之。若蓬閬之列仙云。鳴呼。公蘊高明之學。抱經綸之才。足以爲王國之需。而運值極否。未展一籌。竟以一布衣。終其世於巖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其果截然爲二物乎。恐終可疑。農巖集答趙道以書曰。知覺之理旣是智。則謂智之用。亦何不可。今乃謂知覺非惟不可以爲智。亦不可以爲智之用何也。此當更考。蓋知覺爲一心之妙。而其用之發。有從理而言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如聞某處有學士, 而無以須其人以資成己, 則此不可爲憂乎? 及其既見, 而將講之有益, 責輔之有得, 則如之何不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결심114)에 혼백은 먼저 떠나갔는데기나라 사람의 깊은 근심115) 내 스스로 아노라눈앞의 허다한 일 점검하니단지 속으로 말할 뿐 시 쓰지 못하겠네 關外萍逢本不期玆遊況復一生奇菊巖楓岸來何晩釣石漁磯坐覺遲醉興肯饒驄馬貴閒情惟許白鷗知朝來想像渾如夢勝事空餘百首詩山城遊賞有佳期不待登臨發興奇瀚海北邊秋鴈早雪峰西畔夕陽遲鶴仙蹤跡山河在驄史風稜草木知太守疏狂何足道醉來惟有愛吟詩黃昏一失美人期末路羞稱男子奇世累年華同變換壯圖老鬢共衰遲桃源計決魂先往杞國憂深我自知點檢眼前多少事只能心語不能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得有施而沒斯亦係於公之屈伸之數而然公之淸名氣節愈久而愈爲人之所艶彼齷齪之輩雖享一時之榮利卒不免爲後世之唾鄙其芳臭薰蕕抑又何如也嗚呼公之歿今百有餘年矣名行懿德尙無述焉豈以當時無所傳述歟抑以兵燹灰燼無遺歟公之出處言行無從以得其詳今此錄於傳誦之餘者亦不過草草數語則顧何足以稱揚公之懿德之萬一也哉雖然吾家以儒學名於世家法之篤厚謹嚴實爲南士之準則流派之浩大未必非發源之淵深於此可想其遺風之所自來矣公之儀顧不在於斯歟公之配積城李氏參奉翰之女禮曹參判士侗之玄孫監察興德張克平外孫公生六男一女男長弘進天門監習讀次光進將仕郞次亨進縣監次應進僉知次用進副正次景進將仕郞女婿察訪金成遠側室子友進仲進季進習讀初娶咸陽朴氏某之女再娶光山鄭氏某之女生一男三女男永元早夭以將仕郞之子琢爲后女婿生員梁山龍士人宋邦衡金成器側室子次善將仕郞娶光山金氏總之女生二男三女男丁琡次珣女婿士人金慶戒金遵主簿金琠縣監娶羅州吳氏左贊成謙之女生四男女男長瑛進士于酉之亂吳氏爲賊所害以身翼蔽而同被害事聞旌閭次玹次璘次瑾女婿正郞吳益昌士人鄭聖一參奉辛應純監察鄭榮門僉知初娶淸安李氏生一女直長朴璟其壻也後娶陽蔡氏無后側室子玦司果女婿沈泰元副正娶廣州李氏判官秀莞之女生一女士人高由厚其婿也側室子長瑍判官次珉察訪次璋女婿水使安勒將仕郞娶林錦湖亨秀之女生四男一女男長琬次琢卽爲皆讀后者次琮次玶參奉女婿參奉金友伋曾孫若干人曰泰翊進士曰聖翊琢之子而聖翊後於琬曰逈立曰時立曰中立曰善立曰昌立曰禧立琡之子也曰榮立曰時翊珣之子也曰命環玹之子也曰東爀曰東秀曰東榮玦之子也曰益孝曰益悌曰華瓊之子也曰益泰縣監曰益昌曰益茂曰益培珉之子也曰愼翊琮之子也曰昌翊曰明翊洗馬曰昭翊曰世翊敎官曰夢翊玶之子而夢翊其庶出也玄孫以下不能盡記乘之曾王父市隱公諱聖翊於公實爲曾孫而市隱公之子諱必壽孫諱之濂卽乘之祖與考也崇禎紀元後戊申八月日六世孫乘謹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昌寧成時柱謹書公諱攸之字子有姓崔氏本貫朔寧自號艮湖蓋取諸兼山之義也高麗平章事天老卽其鼻祖而李朝名臣太虛亭恒之八代孫也高祖諱彦粹選翰苑忤權奸官止正言贈吏曹參判曾祖諱穎贈左承旨祖諱尙重司諫院司諫贈大司憲以才學顯當世自號未能齋有三子次子諱葕左尹贈吏曹判書自丙丁和成杜門以終世稱星灣先生貞夫人南原梁氏主簿俊遇之女實生公焉季子諱薀以遺逸徵拜憲職承旨皆不赴世稱砭齋先生前夫人興德張氏縣令經世女後夫人文化柳氏處士灝女皆無子以公爲嗣公以萬曆三十一年癸卯四月十三日辰時生氣質淸粹器度甚厚爲兒嬉戱英邁不群及長未嘗汲汲於擧子業務窮聖賢之學人皆以大儒期之崇禎庚午中生員丙子北虜之難從左尹公入南漢明年二月世子有瀋陽之行選擇僚屬遂除公爲洗馬旣而以親老無兄弟許免陪從之命移除景陽道察訪壬午居母夫人梁氏喪乙酉以直長登文科隷槐院丁亥薦翰苑臺諫有不悅公者誣論公以圖免北行不宜置淸選大臣有言公實狀之不然者戊子除獒樹道察訪辛卯除求禮縣監是歲遭判書公之喪乙未監康津縣丙申拜兵曹佐郞正卽丁酉守金堤郡暫赴旋歸戊戌除永川郡守是年丁承旨公憂辛丑拜持平掌令司藝壬寅拜執義司諫選入弘文錄又有因前事齮齕者李相公景奭疏辨公學術行誼正合玉署之職尋除潭陽府使自丙午爲修撰者四爲校理者三以微事謫林川與湖西諸儒往復講討明齋尹先生嘗來候談論義理退而歎曰公德彌邵而學彌進也壬子丁先夫人柳氏喪祭丑四月二十三日卒享年七十有一公以剛明之資卓絶之才早服庭訓講究經傳明辨理慾驗之於心反之於身常曰大學一書天德王道之要自新新民之序也平生用功專在是書至於格致章闕文處每嘗慨然而惜之更考經文著說論辨而深有取於董相國權陽村之說焉至於諸子百家無不淹貫如誦已言尤致力於理氣性命之原嘗著鑪火說心譬鑪性譬火指人心爲煙指道心爲炎氣質之淸謂之燥薪氣質之濁謂之濕薪反復數千言明翁亟稱之以爲發先賢所未發若夫天文兵法禮樂籌數以至木牛流馬之制無不周通而尤明於河洛精於星曆因渾天儀而作竹圓子比諸舊儀尤極精緻嘗承命造置玉堂又藏一儀於所居之堂火焚其室棟宇皆焚此惟一間火不及焉人皆異之嘗論養志養氣之道曰氣不足以衛志則昏昧之病生焉志不能以率氣則散亂之患生焉又曰志不先定則動極必亂氣不素養則靜久必昏有定故動而能安有養故靜而能活其所以處動靜不失其正者以敬爲主嘗讀朱子感興詩及武夷九曲歌愛其切於日用而明於進道註釋而發揮之又嘗講論鄕約本之以宋朝諸賢之法參以我東先儒之意不泥於古而亦不駭於俗行之一鄕人多化之顯宗辛丑當祧遷仁宗室公上疏請享以世室略曰仁宗大王以生知上聖之資加典學緝熙之功其德則堯也其孝則舜也盛德至善雖以文王之沒世不忘亦蔑以踰於此也今若以仁廟爲有德而無功不享於世室則臣未知國家之所尊尙將如何哉疏入命議大臣而竟不行識者恨之先是孝宗大王之喪議大王大妃服制諸儒臣以爲當用賈疏四種之說且從國制定爲朞年服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본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본문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관(官)에 가져가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