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飛霜舞雪兮白日爲之寒無晶玉輦西巡淸露急七廟不守三宮灰封狼毒虺咬牙閃舌食人爲糧長安道中流血成川沸聲若雷全湖勤王精銳十萬師可惜屬非村行宮宿衛草草無完兵重瞳日夜向南望苦待南軍來龍仁一敗不可再收拾元戎奔竄匹馬逃生歸舊營湖之人父子兄弟怨怒皆思磔元戎誰復號令列郡招殘兵已焉哉已焉哉國事已焉哉天柱將傾地維絶公當此時仰天雪涕憤怩不能言誓欲捐軀效死仗義討賊報明主獨立一呼四方義士雲合雨集爭來赴先築大將壇次建大將旗殺馬宰牛祭天地西向再拜起誓師平生玉堂揮草如椽筆瀝盡滿腹丹衷寫一檄軍中健兒聞之無不髮衝冠帳下書生讀之人人涕橫臆由來帥直者爲壯況公忠義人所服旗旐央央陣堂堂軍聲遠捄摧兇强竚見一擧掃攙搶引軍先嘗錦山敵敵壘屹屹如崇岡醜類攘攘若攢芒我公下馬據胡床左右列侍文武義士排顏行鼓一鼓助以硨磲喇叺並大角小角我師白袍素鎧烏號黃間賊虜班衣劗髻短劍捷砲交相鏖尙桓桓鷹揚鶻擊批熊拉豹百里之內猛獸股栗遠遁飛鳥歛翼絶鳴號終朝苦戰戰愈苦士力已罷氣尙奮揮戈指日日不退擧鞭策馬馬亦僨天不助順將誰援皇天皇天奈何不助順竟使武侯營中大星隕哀哀此戰場古今何處無戰塲豈有父子一日同死國前後兩卞壺鳥鳶不敢下狐狸不敢近風雨慘憺澗谷鳴咽朝霧冥冥夕日沉沉兮荒原曠野日夜惟聞鬼神哭復矢擡櫬日成行英魂毅魄應不戀還家直上九霄愬眞宰掃滅此敵無遺孼想像當年壯氣欝未洩化作十月長虹貫氷雪巴蜀回鑾慶再造功臣閣上丹靑濕新構華堂敎歌舞左對縣君右嬌子獨無當日睢陽城張公許公名與字何以慰我湖南父老心何以勸我忠義士乃詢辨章營祠宇申命祠官降芬苾霽峯峯前厥位陽楹庭覺殖籩豆潔鄕人聳觀闐里閭盛事猶令婦孺泣奚止焜燿一代起人欽固知垂諸不朽傳之無窮百世聞風興起同是心無等之山無時平極樂之水不改淸我願孝子賢孫世世勿替永厥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그러나 오위가 점차 기능을 상실하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을 거치면서 유명무실해졌고, 조선 후기에는 오위를 대신하여 오군영(五軍營)의 체제가 성립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 어휘 해설 ◀❶ 회동관(會同館) : 중국이 조선(朝鮮), 회회(回回), 유구(琉球), 안남(安南) 등 네 나라의 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북경(北京)에 건립한 건물로, 회동사역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詔策推戴功以公及儒玄慶智謙俱爲一等賜金銀器錦繡綺被褥綾羅布帛等【出洪儒傅】太祖以靑州人玄律爲徇軍郞中公與玄慶駁曰往者林春吉爲徇軍吏圖不軌事泄伏辜此乃典兵權而恃本州故也今又以玄律爲徇軍郞中臣等竊惑焉太祖善之改授兵部卽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生諱師夏字學汝號湛樂齋其先驪興人閔氏在麗多名卿有諱頔諡文順世以文雅致位高顯爲東方大姓諱愉太學士生諱智生參判生諱審言擧賢良官副留守生諱浚源郡守生諱敉進士生諱友弼習讀生諱德鳳官舍人以文章廉直爲宣廟名臣不幸早世未展蘊抱柳眉巖盧玉溪李靑蓮諸賢皆惜其才學寔先生五世祖也高祖諱慬進士始居光州斗洞諱繼善諱孝亮從仕郞諱世魯乃考祖曾也妣南陽洪氏啓元之女卓有賢行先生以崇禎紀元後五十八年五月十二日生于斗洞里自在髫齔歧嶷異凡不妄言語不好遊戲聰頴絶人七八歲已能綴詩有驚人語讀書不數遍輒成誦年十二文理洞然受學於遜齋朴公光一講究經傳義理之奧朴公見其篤實曰斯文有託事父母晨昏之節出返之道以小學爲度經傳百家手抄口誦孜孜矻矻見識精透朞三百日月之遲速晦朔之盈虛河圖洛書之數揲蓍起爻之法沉潛玩繹咸得分曉說仁體則曰仁字是公字心公則便是仁常讀退高四七理氣書及牛栗往復論辨文字無不體認其義嘗曰朱子曰如惻隱者氣其所以能是惻隱者理也栗谷先生所謂理者太極也氣者陰陽也發之者氣也所以發者理也正是朱子之義而善言之也高峰先生所謂理氣之主宰也氣理之材料也二者固有分矣而其在事物也則固混淪而不可分開云者實所以發明也後學以此持守庶幾得力矣又於禮學所見超詣論儀禮五服圖本宗服下石祖仁謂承祖父重服裵松之論似當而司馬操駁之是何義乎況石祖仁旣爲嫡孫則當初不爲承重服已失禮意何論從簡之死與不死乎又曰父卒三年之內母卒服朞疏曰若父喪在殯而母死不忍變於父在猶可以父未殯服祖周之說推之而服母朞也若父已葬而母死亦以父喪三年內仍服朞揆之情禮有所未安杜元凱斷以三年自宋以來諸君子何不立言論斷沙溪先生亦何不有一定之訓而只以杜說爲未知云云先生之甥鄭匡宇父卒葬後母死先生斷以三年服或有母死未葬而父卒其母神主以亡室題之公曰服制則已定於父在之日不忍以父亡而有變至於神主父已死矣寧有以死者爲主之義乎又曰小記有服從者所從亡則已屬從者所從雖沒服之何謂從服臣爲君之黨妾爲女君之黨庶子有君母之親子爲母之君母是也何謂屬從子爲母之黨妻爲夫之黨是也觀此二條則母妻及夫之黨以其親屬之故所從雖沒猶服況父黨天屬非徒從屬之爲比也明矣祖先有賢行有高官雖未策勳親盡而私自不祧者或有之公曰名祖尤當以禮奉之反將違禮悖義欲褻其祖其祖肯曰余有后乎禮淫祀無福此說傳播多有覺悟庚寅遭祖父喪辛卯丁外艱喪葬諸儀一遵禮制身罹重哀憂戚倍常而深自寬抑以慰母夫人凡大小家務必咨禀而不敢任情直行與群弟妹常侍于側致其歡心焉供養之節竭力殫誠甘旨無匱御食于前必先嘗其味甘脆調口衣隨天氣溫淸體庚子母夫人有疾累朔彌留憂心焦慮行不正履食不知味迎醫合藥備極其道疾革咋指進血得數日之延而竟不救毁至滅性服闋聞遜齋之喪往哭加麻三月公曰吾幸生於高峰先生之鄕遺風餘韻猶有存者又有樂庵奇公同居一閈志符道合講論義理辨釋禮經是余無窮之樂也專意聖賢爲己之學不屑於榮進而或參鄕解者寔爲親謀也雖不利於禮部亦不以得失累其心親沒後遂絶公車常讀大學中庸用力於率性誠意之地曰河西金先生曰不讀大學欲看諸經猶不築址而欲作家屋吾到老益覺其言之有味也又曰邇來世道漸降學廢敎弛愚昧者無所警發才智者無所勸進遂與一二同志設講設約每月朔望會鄕子弟於洞齋倣高峰先生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惟有行旅之路於槎谷基下者至今戱欷而指點曰古孝者愼進士居廬之址噫爲後孫者可不興感而益勉之哉必熺忝雲耳不自量愚慨其泯泯無傳也於始乎考諸郡誌徵諸譜牒參之以族父龜興氏所錄及朗州人誦傳之言撰次爲一通如右苟或蔽私阿好少有浮於實者皇天后土實所共鑑記曰祖先有善而不知不明也知而不得不仁也區區之心爲是之懼要使爲後承者徵於此而知是祖有是美且以備立言君子亦徵於此而財擇焉無任惶縮祈懇之至後孫必熺謹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맺으며 본서는 조선말과 일제강점기 그리고 광복에 이르기까지 다사다난했던 시기를 살았던 근현대 유학자 김택술의 문집 『후창집』을 번역하고 주석을 낸 책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은나라가 멸망한 후에 주(周)나라 무왕(武王)의 물음에 답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아홉 가지의 대법(大法)인 홍범구주(洪範九疇)를 가르쳐 주고 조선의 평양(平壤)으로 옮겨와 기자조선(箕子朝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鮮若不結援他國必被呑噬。先是俄人數侵擾北邊。左相朴珪壽嘗言欲防俄人。必和日本親中國。結和法美諸國。然後可保無憂。丙子之和。實本於此。至是黃書出。其意相符。時相興寅君最應與閔台鎬等。力主結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周武王, 封箕子于朝鮮, 敎民禮義, 設八條之敎, 有仁賢之化.]"라고 한 것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단에는 조선일보소사지국 기자 이백순(李百淳)의 명함이 붙어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배유화(1611~1673)는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호 팔사(八斯)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이곳은 강학 장소로 이용되었고, 또 '희현당철자'를 만들어 조선후기 서적의 간행장소로도 사용되어 '희현당장판(希顯堂藏板)'의 서적이 출판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불역음〉에서는 하늘과 땅에 하나의 기둥이 있으니 공자에서 주자로, 이후 율곡과 우암으로 맥이 이어져 왔다고 하여, 조선의 바꿀 수 없는 유학의 종통을 강조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규인(李奎仁) 등이 증정한 책은 조선전기 학자 이서(李緖)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몽한영고(夢漢零稿)』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보판 한국고문서연구』, 최승희, 지식산업사, 2003 『한국의 과거제도』 , 이성무, 한국학술정보(주), 2004 『조선시대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