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1) 有明朝鮮國故處士松汀金先生諱景秋字君振系出駕落國首露王王之後裔最爲蕃昌散處嶺石諸邑代有偉人先生六代祖諱萬壽麗朝平章事曾祖諱孝德成均進士蔭寢郞寢郞公自金海移于湖南之寶城郡蘆洞面甘井洞傳之子克精成均進士蔭寢郞隱德樂道至孫鴉移居于長興府長東面栗谷里鴉卽先生考也妣天安全氏佐郞堅之女濟州牧使百齡孫賢有閨範貞而有德正德庚辰生先生先生生而異凡性本至孝自離襁褓不事戱嬉老成之名聞於童稚家貧壁立必極甘旨之奉年老力悴不懈定省之禮常在親側愉色怡聲叱斥不及於犬馬罵詈不加於廝役餘力學問深究格致手不釋卷嚴立課程而非聖賢不法非性理不講就正於松川梁先生輒許以天姿純粹斯門有人盤谷丁公每嘆其才調絶俗至若擧子之業九捷鄕貢終以時曠侍奉爲嫌年未四旬不復就公車歛跡衡門之棲而潔身長往專心爲已之學而遯世無悶尙友千古嘐嘐然自樂嘗結廬楊江之上手栽松竹繞屋成行仍自號以松汀居士賦松汀十詠以寓其自況之意格律淸爽意趣深遠有非尋常詞人所敢窺其閫域者一時高士比德從遊埒武名公聞風景慕或寄書推美或賦詩酬唱者不知其幾而若靑蓮李公白湖林公表高峯奇公竹川朴公盤谷丁公吳司諫洪宣諭諸人乃其表表尤著者也常手持一竿垂釣潞上泉驚氷折以供孝廚嘗侍疾忽値家中失火隣里驚勅先生視煎不顧俄而風反滅火遠近聞之者皆曰天以火試此人也及丁憂朝夕攀號哀毁踰節庭畔桃樹無故自枯及其三年而後復華當其營窆之時白鬚老人夢告葬地鄕里驚歎皆以爲孝感所致凡於忌辰必前期齋沐克盡如在之誠當祭之夜必整衣危坐以待鷄鳴而行事每晨起謁廟雖祈寒盛暑不或廢焉兄弟友愛彌篤長枕大被湛樂俱摯先生娶同郡白氏參奉世仁女卽玉峯之妹有子女若干人先生筆藝遒勁奇古曾不少讓於玉峯然不許人屛額之題松川夫人之葬會客中墨妙鄙不多矣喪主必待先生而後以行其禮當時之見重從可知矣一代諸賢以先生孝行絶異文學逈拔累八薦刺終不一應堅臥松雲慕嚴灘栗里之風以自砥礪爲世矜式若先生者眞所謂立懦廉頑大有功於名敎者也萬曆壬子先生年九十三雖齒及耊艾而身無疾病聰明强健無異少年人謂地上仙忽一日晝夢有白鬚老翁贈詩一聯曰莫作人間累來伴桂香亭云先生怳然自悟遂沐浴整衣召家衆處置後事從容就席小睡而逝實八月六日也市人罷肆樵竪輟謠嗚呼異哉胤子起西以十月十二日葬于東馬洞枕离之原遠近會者以數百計先生沒而弱子孱孫雖能僅保家聲而直幹傍枝無蕃衍暢茂者則其於勢利相看之道似無所顧藉而士流公議猶能奮發於百歲之後籩豆牲幣自昔揭虔於楊江之院則冠山衿胄眞箇是賢君子擺脫世情屹然秉公只慕先賢之至行懿德不使湮沒於千秋萬歲此正所以無所可倚無所可托而卓乎其無所爲而爲善者眞能大學之道者也益可見先生實地德行直與冠之山冠之水共高而共長照暎人目久而彌章者歟嗚呼先生生有至性而濟以學力年高德邵而鄕里薰善隱居求志保貞終身誠無愧於古之逸民而蓋其格天之孝陶世之才有足以興民化俗惜乎龜尾曳塗玉輝蘊櫝無所展布只自嘉遯而止也先生之外玄孫安斯問胄相甫乃隱峯先生之裔家傳信筆撮其行錄而檃栝於瀛洲上舍梁居安今因南來士友之懇要忘其僭猥略加刪潤謹誌其事行終始如右崇禎紀元後三己卯季秋上澣崇祿大夫前行吏曺判書兼弘文館提學奉朝賀徐宗仍謹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사실 조선시대의 토지 거래 과정에서는 원래 관이 개입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하지만 그 일이 너무 복잡하여 개인간 거래로 끝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南原府使 전라북도 남원시 使[着押]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全北大 博物館,『朝鮮時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血氣世傳之祭,猶可謂籍他血肉之氣爲靈,况於外神之祭,可不尙血肉之氣而致其靈乎? 竊意從昔院享之用生薦,出於此義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之狀有不忍見凡諸鄰里莫不酸鼻是我之念念惻怛者也又有女息靑年喪夫子子縷命惟母是依而今失所恃號痛徹天情之所鍾魂必飮泣此又我之矜憐不已者也嗚呼哀哉天道如何偏極吾家凶禍之慘逐歲洊至伯氏先逝吾兒繼夭兄嫂纔歿君又去室四年之內四喪相續命耶數耶奚其至此節節喪威乃有如許而余縶長沙雲山杳邈戀親憂家夜何能寐人或有言國將有霈庶幾放還得顧埋葬而其雨不雨日復杲杲天與人違亦蔑奈何喪葬有禮不可踰時哀哀兩兒已卜宅兆襄奉之日在今北六君可好歸以安體魄百年同穴豈無其期逝水東流先後何慽聊將一紙遠慰重泉萬端情懷言不可盡不昧者存庶幾歆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수성(輸城) 함경북도 청진시(淸津市) 수성동(壽城洞)에 있었던 조선 시대의 역참이다. 석담 이윤우는 1612년 4월에 수성 찰방(輸城察訪)에 제수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北大 博物館,『朝鮮時代 南原屯德坊의 全州李氏와 그들의 文書(Ⅰ)』, 1990. 全北大 博物館,『박물관도록 –고문서-』, 1999.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嶺湖安敢軰流宣。恬文勝武誠奇俠。因俗爲治認保全。此乃街童搪揬者。奈何縣府激怒焉。須更傾盖靑龍逝。曩者專伻白鶴旋。遠際終難通信使。病餘猶自繫妍嬋。分明帝遣綏嘉福。別是王靈借好便。環珮夜聆溪月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仙李疆連鐵木元向來夷夏一江分氷堅認有魚龍冷戍古惟聞鳥雀喧渤海風高多白浪陰山日遠易黃昏勸君更進一盃酒萬事傷心勿復言 선리 '선리'는 오얏나무 아래서 태어난 노자(老子)를 시조로 삼은 모든 이씨를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완산 이씨(完山李氏)인 조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절충장군은 조선시대 정3품의 무신 당상관 품계이며, 용양위부사과는 5위(衛) 중 하나인 용양위의 종 6품 서반 무관직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조선 현종(顯宗) 때의 김석주(金錫胄)에 이르기까지 497인의 시를 모아 엮었다. 조선 후기에 널리 읽힌 시집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伏以臣草野孤蹤本無寸長虛名誤徹職忝齋卽撫躬戰慄罔知攸措肅恩天陛感淚自零適有時事令人氣塞充口發言遑恤越職伏願聖慈少垂察焉臣在南州聞李珥重罹時議未究其故危之愕然者數日繼聞成渾又以救珥之故遭纔罔極裏足還山臣且信且疑寢食俱廢私語口曰當今天日方中魑魅遁藏未知何等小人賊害忠賢使聖上如渴之誠墮於於虛訛憂心如醉一夕九遷及戒裝溸北聞諸道路則行旅庸丏至愚至賤之輩相與咨嗟涕洟者皆此事也一入國門見三司之攻二人甚急目之以無狀小人自以謂一國公論宜若無異議於其間而苟有一端人心者莫不扼腕憤激噫李珥成渾者誠所謂小人也則何以得此於梁楚之間哉然則二人賢否被誣虛實天鑑孔昭不須多辨試以小人情狀聖明之猶未盡燭者爲殿下白露焉夫三司與政院殿下之所以爲重也而今者爲奸邪窟穴締結明比雄唱雌和欲以衆多之力脅制君父惟知血戰必勝以快私憤而不復以宗社安危爲念深文羅織奸計萬端簧鼓兇舌恣行欺罔姑二一二顯然者言之懼公論之或發而欲杜絶之則臺官陰遣子侄親友脅制章甫俾勿陳疏至令二三書吏往審明倫堂主論儒生記錄姓名而來猶未防遏衆衆則嗾承宣匿不以聞或通兵曹恐怯禁衛之士將入疏者而及其章疏竟上直言盈庭則技窮力盡求其說而不得每以爲珥渾之門生親舊而謂非公論熒惑聖聰無所不至及其公論日激將不勝其藉藉則於是感無所施憤無所洩託以微過停擧主論儒生累數十人此乙巳奸兇所未有之事也噫設使一國諸生盡起而陳疏則其可謂珥渾門生而謂非公論又安可一一停擧以塞言路乎推此心也則坑儒之擧此輩可忍爲也豈不痛哉以此言之則黜退珥渾其罪小掩蔽聰明其罪大若不以其罪罪之則誣君罔上之徒聯袂而起國家亡無日矣天下是非本無兩可之理殿下若知珥渾之爲君子此輩之爲小人則何故不能決斷明示典刑而使兇徒日熾邪論日肆國事日非耶自古人君必具仁明威武之德然後可以進賢退邪制治保邦焉今殿下仁明有餘而威武不足善善而不能用惡惡而不能去此郭公之所以終至於滅亡者也先儒之論此者曰惡惡而不能去不若不知之爲愈也蓋以小人奸狀旣露則畜怨君父含毒士林不測罔極之禍伏於冥冥之中故也嗚呼巧構虛辭一網打賢脅遏言路恣誣天聽以此之奸何所不爲言念及此痛愍罔措殿下於此深懲往轍赫然一怒斷自聖衷手擇三司長官又以公平正直不付時議者間差重地其奸黨中肆爲欺罔厥罪孔彰者分輕重罪之急召珥渾先復其位則垂亡之勢可轉而爲安矣不然而持久引日猶豫不斷則邪黨締結而愈深邪論四面而愈起殿下於此雖欲改圖廓揮乾斷而是非絃亂禍已滔天雖有智者亦不知爲殿下計矣不能召還珥渾而任用今之所謂三司奸黨者一二年而朝廷大治戎狄遠遁國家安靖則臣請伏斧鑕以謝欺罔之罪殿下雖欲赦臣不可得也臣以遠方寒士不識珥渾面目雖以奸黨百輩巧言讒說亦莫敢以臣爲珥渾友也黨比言也非不知言發禍及計行身戮而區區忠憤終不自裁伏願聖明留神採納焉不勝殞越屛營之至批曰今觀疏辭雖古之直士蔑以加矣予未知爾作何狀而乃能如此也至於斥言予過其言益切正中予病予亦已自知也深用嘉焉備忘記曰長興府使宋應漑昌原府使許篈都承旨朴謹元等憸人在位朝著不靖司寇失刑國是靡定爰擧流放之典永爲來世之鑑以邪險之性挾斗筲之才締結浮薄之徒作爲朋私之黨互相汲引盤據要津或塵喉舌之司或冒臺侍之官張皇聲勢簧鼓邪說擅弄權衡威脅朝廷傾陷大臣排擯賢士朋比之跡已著尙稱公論挾撼之蹤盡露自謂貞方事皆罔蔽言悉誕誣忠良屈抑惡已極於濁亂群小得志罪難逭於誤國遠近咸知朝野共憤尙寬肆市之誅薄施惟輕之典於戱錯枉擧直爲政之要尙德勸善制治之道可怒在彼予豈得已並削奪官爵竄出遠方仍傳曰濟州牧使金應南差送朴謹元江界宋應漑會寧許篈甲山定配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조선시대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한 문신(文臣)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乙丑以執義召還。吏民皆攀轅願留。戊辰司諫。丙子宗簿正。丁丑結城縣監。純祖戊子九月六日。以沈疾考終于三川里第。享年七十四。墓和順東面草開洞卯坐。配延日鄭氏。敎官忠煥女。先公歿。墓合窆。生二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조선 시대에는 실직(實職)이 2품 이상인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의 경우 그의 부(父), 조(祖), 증조(曾祖)등 3대(代)에 걸쳐 사후(死後) 관직을 주었고 이를 추증(追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今玆討議之峻發也,執事之以書見意者,不過曰"語欠區別", 曰"無明智遠慮",是可謂昭洗疑謗乎? 是可謂痛自謝服乎? 於是乎雖如澤述之蒙騃者,不得不趨與衆議之列,而猶不敢者,以祥會在近,尙可一面質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王室興復之本獨湖南在耳晉陽之於湖南不啻睢陽爲江惟保障無晉陽是無湖南也救不可緩簡願從者壯士二百人與海美縣監鄭名世結城縣監金應鍵等偕入晉州六月二十二日賊肉薄城下大喊登城公與黄進等再戰却之時城中以東西南三門惟東門爲不固議把守計推公守東門晝夜血戰凡八日捍禦應變協贊方略每戰忠勇爲諸將先城中倚重之及黄進死公知事去令兄子德驎德駬縋城出寄書家兄曰箭雨孤城鴻毛殘命兩全忠孝古人所難西望慈天五內如焚幸改婉辭善慰母心賊平之日收吾骨於矗石樓下登樓覘賊金應鍵先吟曰疎星殘壁集千人誰是霽雲與萬春公應聲曰君能以身期許遠安知悌也不爲巡東門城子爲雨所圮賊遂欗入諸軍大亂公獨在東門猶力戰及手劍折乃以竹槍相搏竹槍折呼鄭鳴世奔往矗石賊蝟集而縛之淸正惜其忠勇强欲降公公凝立不動厲聲罵曰爾雖鱗介豈不聞大唐有張巡乎吾頭可斷膝不可屈賊亂斫之至死罵不絶口卽癸巳之六月晦日也得年四十七賊亦感其義爲瘞東門外表之曰朝鮮義士宋某之塚唐津親兵幾皆從死而縣校金之金有義氣多膂力負公屍初窆于唐津後歸葬興陽大石先隴下唐之民人追慕不已立表忠碑贊曰一片短碣萬古精忠公夫人具氏素明爽曉文史女而士也聞公殉節以猶子德駿托公兄曰善保此兒無絶忠臣之後血指題詩于壁曰晉水深深繞矗石將軍殉國節爲榮忠臣家有忠臣妾願與忠臣以死生遂卻食而卒鳴呼烈哉公嘗與從子德馹讀諸葛武侯出師表擊節歎曰鞠躬盡瘁人臣之道也卒能踐其言後甲辰倭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鮮之武。如忠武李公。神哉勿論。而儒賢如趙靜菴之爲都憲三月。男女異路。李栗谷之請養兵十萬。經濟大才。豈非卓越凡人。不但東洋。至於西洋美國天下之强國也。富國也。其學者丁韙良之言。曰人性皆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痛斥其無君之心比之指鹿之姦凶黨大恚構誣以謀陷朝廷下獄酷刑至於脚破世纘拾取碎骨盛之囊中曰父母遺軆不可棄也遂裂衣血書有曰上有堯舜之君下無稷契之臣爲國丹忱白日照臨及其䟽上中廟惻然寬宥减置荐棘世纘處坎窮阨朝夕屢空人不堪其憂而恬然自安大書忠信二字於座右日課心經近思諸書手不釋卷有時吟咏愛君憂斷國之誠溢於歌詞中廟適遣使偵察知寒狀心甚憐之未幾以内翰召還賜醖便殿以示感悟之意自是寵遇日隆歴踐清顯翺翔近宻與文征公臣金麟厚文純公臣李滉諸人同被湖堂之選承恩讀書之暇相歟講劘深究性命之源託爲道義之契後當乙巳之初姦臣尹元衡鼓唱凶言魚肉士流世纉連以諫長憲長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