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生兄弟兩歲之間連擢魁科一世榮之咸謂母夫人三遷之敎終見其效云甲寅先生二十三歲乙卯先生二十四歲除承文院正字陞著作兼奉常寺直長時朴承宗當路用事有權貴二人同設慶席以四舘邀先生先生始不欲往聞承宗以吏曹參判方在宴席先生直到其家呼承宗新來蓋承宗以甲科未經分館者也承宗恚而走先生亦引歸焉七懷賦作時光海政亂奸兇滿朝先生無意於世作懷賦七篇以寓歎世國之意丙辰先生二十五歲五月哭仲氏湖山公湖山公早擢魁科聲名蔚然吳天坡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遺天朝毛文龍書 朝鮮累臣鄭如麟은頓首百拜上言于 皇朝大都督毛公麾下하나이다蓋毛爺가當今第一忠節也라聞其名이素矣오服其德이久矣라今奉見書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豈有朝鮮大將爲倭賊降奴乎。遂奮身揮劒。立殺數十人。賊大驚奔潰。以故不折傷一人而歸。戊戌除全羅防禦使。錄宣武原從勳。壬寅陞僉知中樞兼五衛將。仁祖乙丑十月十七日卒。享年七十九。墓在興陽南面過驛村東負卯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其旌曰朝鮮義士吳公之柩。遵公議也。葬月坪後麓庚原。配咸平李學緖女。葬祔左。三男長壽根次亨根南根。長房孫炳大炳南炳洪。次房孫炳朝炳俊炳瑄。季房孫炳鍊炳宇。餘不錄。銘曰。父有敎官母金氏。是父是母宜是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壬戌遭先妣柳氏喪。在廬時。宋仁憲等。入東鶴。稱都有司。自謂氣勢始張。不問端廟朝。殉與自靖。索錢從享。變幻回互。而陰相助惡者。朴淵璜。李光珪。金邰根也。噫。彼凶輩不知從頭至尾。反以聲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論當今之弊曰指鹿之姦豈獨在二世之朝廷乎盖指斥安老也安老大恚誣公傾陷朝廷酷施栲掠骨髓並碎公拾碎骨人囊子曰父母遺軆也不可棄遂裂衣以血書數行䟽云爲國丹忱白日照臨及進御中廟則然特宥公棘于固城公座隅書忠信二字手中不釋心近諸書愛君憂國之意自發於歌詞有時吟罷北望揮涕上使人覘知之始感悟丁酉安老敗死以前任奉教召還引對便殿賜御醖示悔意乙巳兩聖繼陟嗣王幼冲母后垂簾后弟元衡與朋芑等造危言嫁士禍公入對簾前救解善類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我宣廟己丑賊臣汝立以大逆伏法黨與株連奸凶網漏湖南進士丁公巖壽因上求言倡率同志朴天挺等五十餘人上疏極論不畏強禦不饒權貴反覆累百言言甚切直上以爲搆陷朝紳命拿鞫公未及就鞫兩司伸救不報館儒崔起南等上章言士氣之不可摧沮言路之不可杜絶上嘉納而下批曰予二十年恭位待儒士未嘗以惡言一加之況欲致之王府戮辱於桁楊之下使章甫與獄吏相對此豈予意哉其必有不得已者存乎其中爾等豈能盡測今觀上疏良庸嘉焉予過矣當爲爾等從之公在道宥還逮夫辛卯一種兇孼陰售爲建德報仇之計大肆誣悖松江鄭文淸公澈竟竄極邊以公前疏爲受其指嗾又謂公之拿來時鄭公爲營救解匿置遲留而又囑臺諫疏救追劾向日言官之救公者當是時小人之擁蔽聖明戕害忠良極矣而公亦幾不免危禍矣天道必復公議竟伸是非不待百年而定松翁之誣昭洗而公亦著顯於世嗚呼觀公屈伸可以驗賢邪進退消長之機也公性質正直器局魁偉文藝夙就有志學問讀書必以踐履爲主著述亦非蹈襲時文者比十四魁陞補二十八中進士公自少篤孝承順無違衣服飮食之奉定省溫凊之節靡不盡心每當佳辰或親癠復常必設讌樂而悅志母夫人十年宿晝夜侍側扶護及喪歠粥居廬不脫衰絰推之友愛至及妹婿寒岡鄭先生述以知縣擧公行報營道伯金夢熊爲行養賢禮以敬重焉壬辰島夷之亂公從霽峯高公敬命于錦山高軍敗殉義公以病滯外而得全賊兵退後公相其肂殮而歸常以不得同死深致恨歎公自疏擧以後絶意榮道斂迹鄕里搆小亭於所居之傍名以滄浪因取自號蓋淸濁自取之意也松江有詩曰濯纓懼足是誰子水濁水淸君是君料得至人難狀處一輪明月掩衡門是乃眞境語也寒崗爲宰時對亭起太守臺以修習池之好後三山李公台重感以題詩曰太守臺中有古松古松落落似夫公夫公高節同松樹松樹蒼蒼帶雪風百世之下諷詠二詩尙有以想像高標也公字應龍昌原人其先唐宣宗時被謫于東子孫因爲東國人至麗朝寬侍中封昌原君其子元景尙書封昌陵君是生仁禮我朝文科判決事愛龜城山水築月延亭兄弟四人同居湛樂焉自是世襲簪纓曾祖汝舟武科副正祖世遠考璡兩世不仕妣光山金氏沃命女公以嘉靖甲午生配江華奉氏鵾女祔葬公墓生一男二女男有成壬辰亂調度使楊士衡薦爲軍資主簿後贈工曺參議女適李夢龜魏洪源孫之雋之彦之傑之雋丙子亂倡義有五子琳琥瑛璋瑾之彦無后之傑隨伯兄倡義贈通政有三子璹璘璜嗚呼公早年蜚英若將有爲而中罹禍網竟沈晦以沒世可勝惜哉然公以渺然一儒巾當國家討逆之時尺疏呌閽以效忠義其平日所學之正所養之深亦可見矣昔宋之陳東以太學生伏闕上書請斬蔡京以下六賊以謝天下公之歷數奸臣盡言無隱其亦聞陳柬之風者歟鄕人請褒公孝行累呈營邑孝宗六年乙未命旌其門公之事行久將湮滅令其九世孫南豐來示斷爛文蹟請加撰次蓋其生卒年月亦未可詳矣略綴可徵如右因戒樵童牧竪曰惟此同福縣北中山亥坐之原爾無或躑躅歌呼於其上乃故名進士丁公之墓也銘曰滄浪之水兮激濁揚淸濁斯濯足兮淸斯纓逝不息兮悟有本主翁與流芳名崇禎四乙卯孟冬恩津宋達洙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隋城崔潤聖珍山淑氣正明■澗陸窈窕自古傳結社衣冠來後學講論緖業續前賢巋然精舍詩書積爽矣林泉杖屨牽滿世風塵長夜似線陽猶在洞中天 樵隱李章憲遜尤當日我朝鮮再使湧珍晩德傳風物猶存酬唱地詩篇須覺續修賢今來古往心相照秋九春三手共牽一揆推看道不墜衣冠白戴華陽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조선 시대에는 토지의 면적을 표기할 때 수확량, 파종량, 경작시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황헌주는 조선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諱日。必齊沐致誠曰。有其誠則有其身。無其誠則無其神。著存敢忘于心。與諸弟友愛甚摯。遇美味不集不獨。嘗析箸之日。雖一器之微。互相推讓。無有爾我之私。塤唱箎和。和氣沖融。鄕邦多之。居平早起盥櫛。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당시 조선총독부에서 진행했던 전국적인 임야조사사업과 관련이 있는 문서들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월당선생(月塘先生)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운 최담(崔霮)을 말한다. 전주 한벽당을 지은 사람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송치규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6세손으로 조선 후기의 학자였다. 그리고 상지재(尙志齋)는 전남 화순에 있는 구강서원(鷗江書院) 내의 건물 이름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최계성은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였다. 부안 옹정서원(甕井書院) 그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字 한자 上下向2葉花紋魚尾 남평 도래 풍산홍씨 석애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조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정동(貞洞) 조선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정릉이 현재 정동 4번지에 있던 데서 '정릉동'이라 하였던 것을 줄여 정동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漢陽人 忠靖公仁沃后】張孝錫 【字 號 人】鄭志回 【字 號 人】辛翼瑞 【字 號 靈山人 判書克敬后】李之白 【字 號 咸平人】曹善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