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 半郭 有界 10行20字 註雙行 內向2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半郭 有界 12行29字 註雙行 白口 上下向2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半郭 有界 11行22字 註雙行 白口 上下向2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시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 半郭 有界 12行24字 註雙行 上下向白魚尾 미상 미상 조선후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9 半郭 有界 12行25字 註雙行 註雙行 미상 미상 조선시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半郭 有界 10行21字 註雙行 上下內向1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중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 半郭 有界 10行20字 註雙行 內向二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중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半郭 有界 10行17字 註雙行 上下內向2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남원 출신의 조선중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半郭 有界 10行22字 註雙行 花口 上2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半郭 有界 10行18字 註雙行 上下向2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중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取俎者皆 向其席)主人取俎還授弟子 (主人之弟子) 弟子以降自西階藏於東方 介取俎還授弟子弟子以降出授從者 遵取俎還授弟子弟子以降出授從者 (皆授從者 以送之) 賓主人介遵皆從降 (主人降自 自阼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重峯趙先生時爲亞使。以公明勸決。仍之行政。辛卯拜全羅水使。未幾移東萊水使。壬辰四月倭寇大至。沿海諸郡。俱爲陷沒。慶尙右水使敗走。公奮身討賊。遂貽書于全羅左水使李忠武。有剋日會戰之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此則先生之爲己卯人也嗚呼戊巳之禍實我朝陽九之運而先生或以儒素而免焉或以在外而不及然其懷愍含寃不畏强禦若是之堅貞而墓碣行錄不著見者何哉無乃斬伐之餘士氣摧沮猶有所戒懼而不敢發之耶噫當日之所諱今日之所榮而世道之汚隆可見矣如有知言之君子則其必大書特書以爲垂世之敎也明矣豈特爲先生地也竊惟佔畢靜庵二先生當路於世最爲群奸所仇及其禍作一喫呷湯者擧皆立碎而先生淸德文學旣有師友之契若非儒素外補其與諸賢騈首於三木無疑不但免與不及而已嘗見尤庵宋文正公撰畢靜二先生之碣曰當時之人雖免於刀鋸之慘但爲趙先生所與則幾矣又曰前輩有言當時德望高者受禍深此亦有未盡然者胡不觀於郭有道歟此足爲先生證佐矣但其遺風峻節旣若是昭著而墓道之文狀德之錄皆出於家庭之間又其樹立處亦皆鄭重隱諱故崇終隱卒之典獨不及於身後尙友論世者又皆眩於實德豈非雲仍之至憾而世道之不幸也哉謹此裒錄以俟博雅知德之君子有所裁探而追補於史之闕文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弱冠以己意刱造璿璣玉衡。其轉運低昂。進退疾徐。無少差。忠景公大奇之。丙子建虜大擧入寇。忠景公扈駕入南漢山城。公聞變挺身馳赴。路聞媾成。慷慨憤鬱。殆不欲自全。甲申聞皇城失守。感憤賦二絶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註雙行 上下向2葉花紋魚尾 나주 금호사 한국학호남진흥원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영평리에 있는 조선후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 半郭 有界 9行21字 註雙行 向混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중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최세기는 조선 후기 인물이다. 정읍(井邑) 덕천면(德川面)에 그의 묘가 있다. 본 묘갈명은, 수정 흔정이 있는 것으로 보아 초안(草案)으로 판단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積善館에서 발행하여 판매한 當用日記帳에 쓴 일기 *일기장 앞부분에 일본 皇族, 조선왕족 등이 인쇄 *일기장에는 每張에는 月, 日, 天氣, 寒暖, 來信, 發信, 豫定,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0字 註雙行 白口 上下向2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6권 3책으로 구성된 1935년 간행한 조선중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疏草錄在遺稿】萬竹徐公益疏曰邊士貞天下士救兩賢一章當萬世不朽云重峯趙先生憲疏亦稱其正重十二年甲申【宣祖大王十七年】先生五十六歲除典牲主簿不就【朝庭薦用遺逸之士先生亦與焉】十三年乙酉【宣祖大王十八年】先生五十七歲是年見朝著之不靖陳疏殆至千餘焉其疏略曰夫人君爲治之要莫如正心心一正則衆理具而萬事應焉大學所謂欲治其國者先正其心者也正心之後明善所謂明善者窮理之謂也明善之後誠身所謂誠身者修身之謂也又曰殿下仁明有餘威武不足臨御以來紀綱不立號令無嚴是非混淆邪正眩曜已十餘年矣非振之以雷霆之威無以逐出晝之鬼非暢之以陽春之化無以萠經冬之草又曰殿下察堯舜之所率言堯之所言正心明善窮理修身立紀綱正名分以公平之心恭己於上而摠攬之使宰輔勤愼於下而經理之以八域之廣兆民之衆咸得其正爲上行下效之實殿下安寢於積薪之上不知火之將至此殿下學問之工有所未盡而誠心窮理之效有所未極而然也云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