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神道碑銘【竝序】 高麗恭愍王有輔相大臣曰高興柳公早以門蔭仕皇元宿衛精悍已有聲旣還拜監門衛大護軍時年二十七是至元三年丁丑四月也不數年三轉封高興君出鎭合浦又鎭楊廣歷相忠定忠穆二王及恭愍卽祚尤重委寄至正甲午帝遣丞相脫脫南征高郵徵兵于我公以亞卿將兵而赴功垂成丞相遇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國家之洽亂存亡係於任人賢邪蓋惟仁人節士之說行則亂臣賊子之謀塞二者之形有如水火南北不容竝立於世故自古權凶之擅政柄也倡俑界議以危宗社而一有爲國盡忠直言不諱者則敲撼斥逐之不足終至於斬艾殺伐蓋必如是然後可以立己之威箱人之口而得遂其所志也是則士之不幸立於其朝而爲壬人所深忌者雖欲無死於其手得乎余於壄隱田先生與我先祖潘南先生同禍之事未嘗不三復流涕粤在勝國之末姦臣李仁任乘玄陵被弑之後陰貳于北元至殺天子使欲以其罪惡嫁禍於國其危急必亡之形迫在目前於斯時也爲麗氏臣子者但當抵死辨斥極力扶持其濟則宗廟得血食不濟則以死隨之此先生與潘南先生之所以與受其敗雖至殺身而無所悔者也蓋據史之所言先生於李詹全伯英之獄與潘南先生俱爲其辭連遂不免於禍夫潘南先生首發大義上疏力爭前後凡四見而最後二疏之尙今流傳者其忠憤之氣上薄雲霄雖謂之與胡澹菴封事相伯仲可也所以觸犯乎凶焰者已不一而足則雖微辭連其死則宜至若先生則似不以但爲辭連之故而受禍若是之烈其間事實蓋有世遠而不可詳者矣竊嘗因是而推之先生在其時雖未有危言正議如我潘南先生之可考信於後世者而然而以文武全才爲時望所屬苟使先生登用者仁任賣國之罪在所必討故其見嫉之深蓋無異於潘南先生一朝因事擠之以致於幷命者然也不爾則以李全二公之爲獄本根而傳之輕科先生之但爲辭連而寘諸極典絶不成事理雖彼凶賊所爲鼻慝回譎不可方物而其顚倒失次亦不應至於若是之甚也或者有謂先生蓋亦有抗疏請誅仁任之事而史氏失而不傳此又事之或然而未有考焉者也第就其見於諸賢稱述者言之圃隱鄭文忠公追和之詩旣足以見其尊慕先生之深而若益齋所謂高節首陽牧隱所謂慷慨絶倫等語尤可卽之而想象先生氣象後來之見危授命成就大節實惟本之於此而況與我潘南先生同時被禍有若東京之李杜不可作差殊看則先生之所以爲先生者直躍如也傳曰不知其人觀其友其信矣夫嗚呼以先生忠義志節如彼其盛也而得展其所蘊則必能轉危爲安使麗祿不遂告訖而顧乃逢時不淑卒忤於姦凶以死尙論之士至今猶爲之於悒可勝痛哉可勝痛哉先生詞學甚高藝苑定論皆以爲文章鉅手今其遺稿所傳者只有律絶疏啓合爲若干篇出於後孫萬英之所裒拾附以遺事行實蓋於國史家乘之外凡有及於先生者則隻字片言一無所遺不避其重複誠以由乎累百載之下考乎累百載之上不如是詳備則無以爲相發互見之資故也其用心亦可謂勤矣間以弁卷之女屬於余余固不敢當而但以不能忘先祖之故而輒敢略書其平日所感於心者如右後有君子得以觀焉先生諱祿生字孟耕潭陽人壄隱其自號也仕止門下評理先生之弟典書公祖生卽圃隱遺集中記夢詩所謂耕隱先生者也夫以圃隱之爲百世師也而盛稱公大材至擬之於孔明霍光則卽此而可知公爲人惜乎其言論風旨他無所考也今以圃隱詩附諸卷末與先生可謂爲二難矣先生又有孫漢老以孝子見於三綱行實幷錄之後者以見夫忠臣之孫復有孝子其世類之賢有如此者云歲己酉復月潘南朴弼周謹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救靜庵諸賢卒同被禍兩世皆士類所推公文學之高謇諤之操固自有淵源也妣贈貞夫人海平尹氏察訪勞謙女公娶潭陽田氏受貞夫人眞誥其父世均公世居錦之居平終葬所居東松林山卯坐之兆夫人祔焉南士建祠其鄕俎豆之男長惕縣監仲協贈參議季悅參奉女適金景德金千秋府使柳夢井察訪李黃鍾贈參議柳濂德允德敏魯尚文察訪李洪鍾妻長房出贈參判德全仲房出縣監德元進士德基進士德立參奉德種德符郡守金忠秀主簿柳守敬妻季房出今至六七代内外曾玄多不能盡錄公孝於事親敦宗族信鄕里德成氣和一覿心醉爲文章根據經傳務去浮華雖尋常應擧文字門内書札必主義理眞淳如菽粟至其立朝事君忠與信參倚前衡爲一生用是以刀鉅鼎鑊若無覩也惟道是循再當蔑貞之時剛大正直之氣無少挫損丙申桁楊之酷聞者氣短而主知亦結於此矣中廟嘗眷眷焉語文定王后曰此人可以當國大事至乙巳禍爲元芑所惡竟不能害者以文定猶不忘先王遺意也當日君臣之契亦可見也後德全妻薛氏夫病夜輒露立禱天慮其意怠穿掌貫索晝則解索救病及夫死毀性卽滅其子逢緖父病割指灌血朝廷俱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내렸는데, 내가 또 사지(祠志)를 만들어 보관하게 하였네.원컨대 중화(김창협의 자)가 이 지역에 들어가거든 먼저 이 사원을 찾아가 제생들을 불러 보며, 서원에 폐지되거나 그만두는 일이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爲湖南之純鄕이라先生이自少로有志於斯文하야遊於權陽村近梅軒遇兩先生之門하야遂傳其學하야踐履篤實하고造詣精微라於兩先生未發之奧에亦多彰明而接千載旣墜之緒하야使學者로知所依據循序而進入於塗轍하니所謂迷途指南者舍先生其誰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한편 구문기는 다른 전답(田畓)과 붙어 있어서 부득이 줄 수 없기 때문에 나중에 같은 자손 중에서 만약 이것 때문에 논란이 생기면 이 문서를 증거로 관에 고하여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만일 나중에 이 거래를 둑 다른 말이 생기면 이 문서를 증거로 삼아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매매 당시 본문기 2장을 매입자에게 건네주어 나중에 이 논을 두고 논란이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매매 당시 구문서는 유실되었기 때문에 신문기 1장을 매입자에게 건네주면서, 나중에 이 물건을 두고 논란이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매매 당시 김공숙이 신구문기 2장을 이낙선에게 건네주면서 나중에 만약 이 논을 두고 다른 말이 생기면 이 문서로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나중에 혹시 이 논을 두고 문제가 생기면 이 문기를 관에 고하여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매도인(賣渡人) 정공인은 새로 작성한 문서에 '영영방도(永永放渡)'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支天柱新羅眞平王聞之曰此師殆欲得貴婦産賢子之謂矣國有大賢利莫大焉時瑞石宮有寡公主勅宮吏覓元曉已自南山來過蚊川稿遇之墮水中濕衣袴吏引於宮遞衣{目+良}〖㫰〗矖〖曬〗因留宿焉公主果有娠而生先生元曉旣失戒易俗服自號小性居士先生生而明銳旣長博學能以方言解九經訓導後生至今學者宗之又能屬文而世無傅南地或有所製碑銘剝落不可讀爲神文王所請作花王論高麗顯宗時贈弘儒候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만물이 이를 자뢰하여 생기나니, 이에 하늘을 순히 받들도다.[至哉坤元, 萬物資生, 乃順承天.]"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栗谷李珥正德己卯冬十二月二十日靜菴先生趙公卒于綾城謫所明年歸葬龍仁深谷里從先兆嘉靖丁巳十二月二十四日改卜其西數百步許以夫人李氏祔萬曆庚辰太學諸生一口揚言曰惟先生澤不斬士于今受其賜崇德報功宜極盛典今玆神道無碑幽堂不誌無以昭虔揭烈以耀無窮乃相與裒財俶役募工礱石朝紳上自廟堂下至一命以及窮閻之士苟聞先生之風擧競相助不勞而事集使求誌銘于德水李珥珥謝非其人不獲辭仰惟先生道德事業焯載國乘退溪李先生狀其行蘇齋盧相公銘其碑豈有餘辭可贄顧旣應撰不可無言乃略敍世系踐歷資質學行設施嗣息並論善惡禍福天命否泰而足以銘其敍曰嗚呼先生諱光祖字孝直靜菴是自號也趙氏爲漢陽著姓高麗摠管良琪以軍功受元袍帶之賜是先生七代祖也摠管曾孫諱溫我太祖錄開國勳封漢川府院君諡良節於先生爲高祖良節生義盈庫使諱育贈吏曹參判參判生成均館司藝諱衷孫贈吏曹判書判書生諱元綱官至司憲府監察贈吏曹參判是爲先生顯考妣驪興閔氏縣監誼之女以成化壬寅八月十日生先生嗚呼先生年十九而孤正德庚午試進士冠其榜辛未丁內艱乙亥擧孝廉拜造紙署司紙是年秋中廟拜先聖試士先生應其科擢乙科第一人授成均館典籍俄遷司憲府監察司諫院正言丙子歷戶禮工三曹佐郞選入弘文館爲副修撰丁丑以副校理賜暇讀書超資拜應敎陞典翰直提學戊寅陞秩通政大夫拜副提學遷承政院同副承旨以先生宜養君德還長玉堂未幾進秩嘉善兼同知成均館事俄遷司憲府大司憲例兼成均己卯春拜副提學夏拜大司憲冬用告密者言下禁府事叵測領議政鄭公光弼力救用次律被竄竟賜自盡年三十八嗚呼先生禀受絶人玉潤金精相表淸秀蘭滋月郞容止可觀鳳儀鸞翔孝友忠直英睿剛果不好弄已具成人模範慷慨有大志興慕聖賢必欲追踵絶軌世俗所屑雖千駟萬鍾一不以介意樂善疾惡見人非違若將浼焉嗚呼先生少時參判公作察訪魚川寒暄先生金文敬公得譴燕山謫比邑熙川先生素聞文敬學有淵源因趨庭得往受業時師道廢久人多指笑先生不較不沮始聞爲學之大方自是益自刻厲課程嚴苦篤信小學及近思錄四子六經平居夙夜整飭高拱危坐齊明儼恪威儀折中進退翼如嘗入天磨龍門兩山講習之暇潛心對越或竟晷兀然淵黙夜分乃寢五更必起山人習禪者皆歎其不可及其在家事親色養極其誠愼終追遠情文備至家廟在別所日必一往雖公務鞅掌大風雨雪祈寒溽暑不少廢謹守法度以閑有家內外斬斬正倫理篤恩義遠聲色戒麯蘗獎進後生各因其材黜俗論排異端凡持身處家應事接人一稽古訓惟書禮爲則若涉毫髮非禮其心不安若冠冕珮玉坐于泥塗也天分旣異充養有道英華發外聳服一世望之者咸咨嗟歎息以至市里蚩氓每値其出羅拜馬前仰首歆讚噫此先生柔嘉令儀所致豈知反以此胎禍哉嗚呼先生受命世之才抱適用之學格君安民此固素心恥於衒玉潛居若無意者聲譽藹鬱朝臣爭薦其除司紙也先生不樂曰用虛譽得官不如應擧以通行道之路旣除之後被知于中廟月薦歲陞不數年長論思主風憲上雅尙儒術銳意文治倚先生甚重先生感不世之遇便以堯舜君民興起斯文爲己任每將入對必宿齋戒積誠敬其進待也一心肅慮如對神明知無不言言無不讜其言若曰人之一心天理本全其大無外其運不息良由氣局欲蔽大者或小運者或間在常人其害猶難救況人君勢位高亢驕溢易生聲色媚悅之功非匹夫比心一不正氣一不順則生於事害於政傷和召沴彛倫斁而萬物不遂矣主上所以存心事天以致中和極功者其可小忽乎至於義理王覇之辨古今治亂之幾君子小人進退消長之象無不罄蘊極論或至日昃上必虛心傾聽朝議將潛師襲野人速古乃臨遣將相環侍詢謀已同先生自外進曰此事類狙譎非王者禦戎之道堂堂國家行盜賊之術臣竊恥之上乃却衆議從先生言將相群爭竟不入先生之得君其可謂不至乎肆與幷時名流協力贊襄奮用熙載設薦科擧以籲俊義罷昭格署以正祀典訓小學以育英才宿弊漸革古制漸興百僚悚厲四方風動第士論或失於欲速太露鋒潁建白不度時宜間有喜事者未免時合投好先生以爲憂而舊臣拂淸議因事見擠者怨入骨髓磨牙伺隙先生喟然知王道不可遽行大猷不可遽升於是稍調劑秉中以鎭浮躁而矯激之論反詆先生爲色莊至欲彈劾先生料時事必敗救退不得命適廷論欲追削靖國勳籍之濫者先生旣不能退則把綱紀塞利源職耳不得不同其議伏閤爭累月得允群臣入侍榻前將功券定與奪時己卯十一月十五日也兪咈甫已駭機發於其夜南袞沈貞洪景舟等潛開闕門入便殿語秘不傳先生之下吏也館學諸生坌哭闕庭爭詣獄請囚其謫也上使近侍諭以非私罪姑從廷論示譴之意先生拜謝以辭其受後命也先生沐浴更衣請聞罪名使者無應先生臨終結纓貽親舊書曰愛君如愛父天日照丹衷聞者慟之嗚呼先生內子僉使李允洞之女生二男定娶縣監權恰女無後早歿曰容以蔭補官至文川郡守娶大護軍李鏡女只生二女無嗣取堂弟希顔子舜男爲後尙幼女長適佐郞許鑑生一男曰昀次適進士洪遠生二女皆幼夫人後先生三十八年而卒嗚呼上天陰騭於善必培栽於惡必傾覆禍福固昭昭也今先生以謇謇之絶揚于王廷啓赤心批逆鱗知有君父不知有其身律已淸苦關節不通騶直不納公退不問家事早夜所思慮惟在政疹民隱惓惓無須臾寧卒之身觸譖鋒不能考終福善之理安在泄泄沓沓者重人爵輕天舒偸時射利屋潤身肥國家安危邈如胡視越病不拔一毛雍容顧眄自擬聖於涉世反笑先生斥以少不解事排生厲階甚者或至戕賢賊能以植固其勢此輩類得於君安享祿位老死牖下所謂禍淫者亦昧矣是故人之言曰謀身密者其轂朱謀國忠者其族赤父戒其子兄勗其弟以模稜爲明哲以匪躬爲浮薄士習以偸世道以汙悲夫雖然人心本公天定靡忒陰翳纔消太陽回光中廟晩年德音每稱無罪固有深思之漸仁廟繼明因廟堂申論館學籲天聿追先志命復先生職秩逮今上初服淸論益張乾心洞契命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是隆慶戊辰也越明年己巳賜諡文正於是先生耿光彰徹上下多士若仰喬嶽北斗立廟明禋非一所式至今日甲子已周追慕如昨達國儒林齊心一力竪外瘞中以賁飾墓道此誠古今所未聞覩元祀之尊將亘萬世矣顧視富貴蔑聞者一時寵樂六驥過隙骨肉與草卉同朽無異蛟蝱起滅穢壤間若其開毒喙芟良善以斷國脈者則罔之生幸逋斧鉞而鬼誅人戮愈久益嚴三尺童子亦知唾罵九天之刑窮天地而罔赦矣此固不足比論榮辱惟後人其知所以勸戒哉嗚呼天篤生賢必使有爲進則濟斯民退則立其言今先生進不克卒行其道退未及垂訓于後日彰之學未就大成微言之緖罔由尋考況我東箕子以後未聞以仁義治世者周經孔謨只資空言先生一倡庶幾復古先生旋敗士林瓦裂王道之說爲世大諱皆諉以非其時夫如是則古道終不可復歟天生賢者而中折之其命終不可諶歟其然豈其然乎時者在上者所造也只是無人豈云無時思皇我王獎美先生旣崇極而尊儒尙道以明一統學者仰恃發舒無遜言先生明天理淑人心之功於玆普發使斯人擧曉王醇覇疵敬爲主禮爲防安宅不可曠正路不可舍則先生之道否短泰長綽乎爲後王開太平而天不虛生命乃可諶矣後先生而作者其毋患莫已庸思自盡乎所以致用哉其銘曰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字成彩號五松昌寧人牧使繼虞後早遭外艱孝養偏母告觀定省所嗜所樂莫不備臻每於春秋景明之日以七旬遐齡負母行田間徑左指右指曰此某人稻彼某人綿一一告悉習以爲常何其孝哉及丁憂哀戚形狀不須枚擧宜有天褒之賞而世未可惜】崔炳淳 【草溪人字有根號松隱新齋山斗後天性至孝家素淸寒晝樵夜織魚樵資生志體供養父性嗜酒家醆無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二先生豈無所見而云云哉。蘆翁有見於此。故特就先賢之偶失照管者。反覆辨論。以救今人主氣之末弊。而恨不得奉質於先賢。志在明理。言之不得不切也。今乃以斥今人之失。移之於先賢。勤定罪目。竭心攻斥。不遺餘力。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