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용주(龍洲) 조 선생(趙先生) 조경(趙絅, 1586~1669)으로,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일장(日章), 호는 용주·주봉(柱峯)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豈非祖先之罪人乎。薄田數頃。勤力其中。儉身節用。則先代香火。可以奉之。且曰。惟爾四兒見在。而第二兒姿質儒雅。可守文業。他兒則可習弓馬。其事君則一。其後如其言。皆以韎韋出身。此可見公先見之明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 중기에는 오미장(梧美場)으로 불리거나 다른 지방보다 까마귀가 유난히 많다고 하여 오산(烏山)으로 불렸다고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도제 실시에 따라 세원 확보가 필요해진 상태에서 일제는 삼림조합의 '산림녹화' 실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명분으로 이를 폐지하면서 동시에 임야세 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인들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도제 실시에 따라 세원 확보가 필요해진 상태에서 일제는 삼림조합의 '산림녹화' 실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명분으로 이를 폐지하면서 동시에 임야세 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인들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도제 실시에 따라 세원 확보가 필요해진 상태에서 일제는 삼림조합의 '산림녹화' 실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명분으로 이를 폐지하면서 동시에 임야세 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인들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도제 실시에 따라 세원 확보가 필요해진 상태에서 일제는 삼림조합의 '산림녹화' 실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명분으로 이를 폐지하면서 동시에 임야세 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인들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의암서원(義岩書院) 조선 선조 때 전라도 담양에 건립한 서원이다. 1668년(현종 9)에 사액되었으며 유희춘(柳希春)을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주동(鑄洞) 서울특별시 중구 남학동・예장동・주자동・충무로2가・충무로3가・필동1가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이곳에 조선시대에 활자를 만들어 책을 찍어 내던 주자소(鑄字所)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명릉(明陵)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산30-1번지 서오릉 안에 있는 조선 제19대 왕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두 번째 계비 인원왕후의 무덤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墓表 朝鮮開國翊贊功臣顯祿大夫懷安大君 贈諡良僖公諱芳幹之墓金陵府夫人琴氏之墓袝下太祖高皇帝在王氏朝爲宰相聘密直副使韓卿女爲夫人當時貴遊有京外兩聘例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병하(崔炳夏)의 시가(詩歌)와 산문(散文)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 시대에는 역대 국왕의 초상화인 어진(御眞)과 《조선왕조실록》 등 각종 귀중한 기록들을 보관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惟我朝鮮。天地之寅方也。此是始生之人。方出之日。故其心純一少僞。其性仁厚有餘。其情上達天理。其道敬明人倫。其學術正大光明。其器物質儉淳村。若統而言之。其風氣之均。人才之盛。雖莫及乎中國。而亦一小華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鮮逸士。其子博士君。以在洪四十年受知於公。賚狀屬爲序。謹按。公諱承鶴。字子和。靑皐號也。太宗元子讓寧大君。其始祖。三傳秋城守諱緖。坐誣獄。謫昌平縣。仍家焉。世襲儒學。至諱世容。蘆沙奇先生銘其阡。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王會李雲巖興渤檄文來到與諸義士同赴於鄭畸菴弘溟陣軍威頗嚴而行到淸州聞和議已成痛哭罷兵而還鄕築于高巖精舍不勝憤激書揭大明日月四字以示尊攘之義絶意榮辱不求聞達高巖泉石之外不知有他世界世稱高巖處士今甲午公之諸後孫賁飾墓道十代孫在得氏袖其海石金載瓚狀行文謁余請公之阡銘漢相人微言淺不敢當是役義重宗親亦不敢辭按狀敍之公諱時泌字長源高巖其號也吾柳系出文化肇祖諱車達號鵝沙當麗祖南征辦車乘運糧餉功甚巨策二等勳六傳諱公權諡文簡筆蹟與詩文載海東筆苑及東文選諱澤大提學諱璥諡文正誅崔誼復政王室諱陞諡貞愼諱墩諡章敬其弟諱仁琦諡溫靖有四世五諡之典入朝鮮諱曼殊官左相其曾孫諱自湄文監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汲塚之簡非僞也屋煤之感非誣也況石渠天祿之藏當時珥筆之官所書信浮蓍龜故國滄桑七十年廣印而公於世爲人後者幸而得見佚於家傳之先祖遺蹟于其中則宜亟顯刻而賁餙幽宅徵諸百世也水使宋公之阡松沙奇先生大筆揄揚已八十餘載而今將改鑱者以是也石旣磨礱後孫永燮贊鍾謁銘吾友璟燮公之傍裔而亦以書屬不侫辭非其人而不得參考國朝寶鑑所鈔及諸家書國防部所編壬辰戰亂史補舊碣之闕略而爲之敍曰公諱希立字信仲號三規堂宋氏礪山人其先有貞烈公松禮文肅公琰爲麗朝名臣六傳而西齋先生忠剛公侃爲朝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으로十世連擢科第하고八世竝至淸顯하야以其紅牌로作爲屛障하야每於祀事之日에設於中堂하고敦勉子弟하야使無添祖先則其世蒙國恩하야思欲報效者至矣라但緣暗於知人하야爲賊所欺하야竟使忠孝之志로無路暴白而騈首就戮하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遊肅趙先生。【藍浦三溪】丙寅【三十一歲】四月。男壕生。○夏遊桐谷三溪之門。錦谷先生授性理要訣二冊。以勖之。○冬遊蘆沙奇先生。【長城下沙】丁卯【三十二歲】正月。遊桐谷先生。書與智齋。回遊德裕八公等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受業靜菴趙先生。已卯後隱德不仕。生諱應鍾號四梅堂。師事栗谷李先生。以上庠遊泮時。李潑有盛名。獨不與交。卽日南歸。壬辰倡義守城。事載守城錄。五世至諱相虎號竹齋。早遊尤齋宋先生門。已巳廢擧養親。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