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高宗皇帝朝因享於肅慕殿廡崇報至矣 純祖戊寅十月望祭墓之時有雙薇生床石後至癸未凡六年乃已遠近儒林爲文以頌之 經筵官趙公璟鎭題諸文後曰忠感所致嗚呼彼草木豈有所知意上天以伯夷之節褒之也歟先生礪山人在麗朝代有顯官考諱良珍罔僕于我朝先生之忠節先生家法也今年壬戌僉後孫方議立石馬輪村西遺墟將以表示來世使彦燮千里請余文余曰先生之忠眞昭乎日月崒乎泰山矣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軍門又大會生員試之三場其初則文章七篇其中則策文五度其終則論賦啓頌判五度通三場竝十七篇俱入格者謂之擧人各省出榜轉送于京師會試三場亦如初試三場之規俱入格者謂之進士其數二百而武科則各省只以武才取之謂武科而武進士則與擧人竝會京師安邊策三場能製於燭刻俱入格者謂武進士而其數一百蓋武進士非徒燭刻其數倍減更貴於文進士矣公曰講經何不爲之秀才曰文章七篇能做入格已爲明經更何講爲此規乃王安石之作俑至今科士怨之又曰入場時書冊持入乎曰只持筆硯何敢持冊朝鮮則何以爲之公曰入門時錄名官搜挾官坐于兩邊使禁亂卒搜得擧子身如或現出冊子則卽掛榜停擧而冊子付丙故細書至密或入靴中或貯衣襟未知天朝亦無此等事否秀才曰我國亦或有之其爲重科天下同然左右拍手大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弱冠遭先考喪。三年不肉不見齒。人以爲難。事母夫人極其誠敬。隆冬思鰲。泣氷求進。患痢危劇。嘗糞血指。迨居憂毀幾滅性。及葬廬于墓側。哭泣不絕聲。兄弟五人友愛篤至。伯氏教官公振國從尤蒼先生遊。公亦嘗出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令人金氏墓碣銘【幷序】 朝鮮故贈童蒙敎官光山金公箕燦之配。曰令人金氏。系出商山。考某。曾祖縣監重泰。佐命功臣德生其顯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는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는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는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는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농촌진흥운동기의 조선농회는 농업단체라기 보다는 공동 구판사업을 통한 원료 농산물의 공급과 농업용품의 구매 알선단체로서 그 성격이 변질되어 한국 농민들을 수탈하고 일본 자본주의를 회생시키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昭先旨。 亦勉勵士民者。 而其或久未必無弊。 今可以增補而矯救者。令掌隷院。 參酌時宜成給節目。 刊模頒下南北道觀察府。 使之置諸列郡鄕校。 春秋講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중시는 조선시대 당하관(堂下官) 이하의 문무관에게 10년마다 한 번씩 보이는 과거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李鼎儀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朝鮮時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迨夫運移祚遷。無所於售。則回頭向寂寞濱。朝暮書床。仰而思俯而讀。不知老之將至。蓋其才諝氣節之卓犖拔群。固已藉藉於輿頌之口。而若其脫洪返眞。始以豪奇而卒歸于正。則非夫知出乎萬物之表。而勇足以斷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光勳臣世祿人誰說再拜千秋侑此觴 부조(不祧) 묘제(廟制)에 친진(親盡)이 되면 신주를 체천(遞遷)하는 것이 상례이지만, 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의 위패를 조천(祧遷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暢該貫藹然有愿厚愷悌之風足令人興慕而又得河西之詩於其間者豈不重歟於戱此乃古人數百年前遺蹟也時移世遠鳳去臺空而獨有存者塊然一蒼石耳然且慳禎秘祥寂無其音而今此諸公絶響遺什宛然復出於流傳幽滯之餘者豈偶然哉意者竹洞人物之盛將復如諸公之時而巖且爲之鳴也故是詩遂出而爲其兆乎蓋趙氏本出咸安而其先祖德谷先生有陶靖節之操至諸公亦皆有純德雅望知名縉垂凡範鄕社而平生述作散失不傳大爲子孫之恨亨之旣得此編而又收拾德谷以下諸公詩章及事蹟若于付于其末又偃於余曰世維之高祖進士公諱希顔字愚叟卽說書公之弟也嘗隱居求志而卽今事業無徵當其一家唱酬之間亦不見其一語之存世維於此不勝感歎以嘗所得紅梅一絶載錄于玆幷欲蒙公闡徽之力敢拜以請余竊惟其隱也蓋當仁明之際則無乃在家追德谷之訓而感河西之風者歟吁何其跡之泯泯也余睹其紅梅詩亦可少見其臭味而顧余旣非知言者則其情性之正興比之趣以俟君子而論焉可也然余又悲亨之有沒世之思於其先而懲證幽遠圖不朽於已朽也先賢有言曰先祖有善而子孫不知是不明也知而不能暴白以傳於世是不仁也然則亨之其旣知且傳而免於不明不仁之責者乎然余豈能堩是託者哉但願亨之以吾欲昭先德之心反思先祖之有望於吾身者亦不啻如此而繼其志業則庶乎盡其賢賢親親之道而於立揚顯親亦自有餘地矣亨之勉之哉拙次一詩詩云乎哉聊以副亨之之求云鳴非石性氣通靈一理林鳩報雨晴湛老有詩論寂感爲君題句續先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통훈대부는 조선시대 정3품 하계(下階)의 문관에게 주던 품계이며, 경모궁령은 경모궁의 종5품 관직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이러 이유로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토지나 노비를 거래할 때에 자주 사용되는 문서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선략장군은 조선시대 종4품의 무관 하계(下階) 무신의 품계이며, 훈련원은 조선시대 군사의 시재(試才), 무예의 훈련 및 병서(兵書)의 습독(習讀)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이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소위장군은 조선시대 정4품 하계(下階)의 무관 품계이며, 훈련원은 조선시대 군사의 시재(試才), 무예의 훈련 및 병서(兵書)의 습독(習讀)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이고, 첨정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정략장군은 조선시대 무신 종4품 상계(上階)의 품계이며, 훈련원은 조선시대 군사의 시재(試才), 무예의 훈련 및 병서(兵書)의 습독(習讀)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이며, 판관은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