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日月無得踰焉廟則燬而文未喪天地同其久也宮維新而德益崇地卜上流制稱祀典伏惟先聖大成至聖文宣王百王取法萬世爲師巍巍乎峻極于天聖道未有於今古洋洋乎周流如水精神無間於華夷苟尊崇之以誠應陟降之其右矧玆仁聖之所敎亦云夫子之欲居奠殷楹今數千年祀州序餘二百載父子君臣之倫叙爲棟樑於兩儀詩書禮樂之敎行揭日星於長夜何圖蠢爾海寇可忍焚我文坊傷心灰燼之已寒慘目腥穢之未歇葺宇樸桷殊失廟貌之孔嚴舊址隘湫實非聖靈之攸妥或値水潦之浸潤而致廡礎之圮傾爰思右地之用遷莫如南岡之思樂長用襟帶而混混方知逝者如斯喬嶽盤踞而巖巖可想卓爾所立旣筮旣景迺理迺基華棟隆而不撓脩樑翼其肇揭忠信以爲質繪事後於素工仁義以爲文英華發於外面取大壯待風雨遂成上下之規視泮水采藻芹畢擧前後之制輪奐得中於奢儉鑽仰愈見其高堅依俙數仞之墻髣髴八音之壁回鼓琴而點鼓瑟周旋堂室之中水宜智而山宜仁輸入几筵之下冕旒繡袞永無淫瀆之風簠簋豆籩式明靜嘉之禮厄於陳蔡者命雖傷鳳不至而麟不時賢於堯舜者功益驗來有開而往有繼道其將行矣文不在玆乎蓋由巡察相公興學之美意實本主上殿下右文之盛心北斗南金早作儒林之領袖陽捭陰闔首念風化之本原謀及一邑之人擬共三代之學役無勞於版籍功有光於閟宮立禮興詩豈惟振吾州九十子之儒雅樹彛扶道抑將贊我朝億萬年之鴻休敢效賀燕之音謹相抗龍之唱兒郞偉抛樑東維嶽扶輿峻半空千古尼山蒼翠色依然隱映杏壇中兒郞偉抛樑南一帶川流靑出藍六七冠童三月暮浴沂餘興許相參兒郞偉抛樑西鄕黨敦風一變齊聖道却存言行上如天休道不能梯兒郞偉抛樑北尊周大義扶宸極淸香一瓣自天來追琢其章遐不作兒郞偉抛樑上五雲太甲天文朗和風泰嶽範圍間看着一元之氣象兒郞偉抛樑下摳衣濟濟來游夏聖門爲學在明倫孝若曾參猶可也伏願上梁之後地靈保佑人文昭宣生此周之楨無非學而優者至於聖則一庶幾聞而知之萬曆三十二年甲辰八月日前縣監梁夢說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전매국 1910년 조선총독부소속으로 전매국을 설치하면서 개인의 담배경작과 판매를 전면 금지한다. 1921년 4월 1일 〈조선 담배 전매령(제령제5호)〉을 공포하여 7월 1일부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啓之以朝鮮旣爲服屬。而尙獨不變胡制爲未可。康熙乃言曰。此一線陽脈。陽脈不可盡滅。是一事餘可推也。此所以延祚之久且長。而與彼五胡之亂華促亡。不可同年而語也明矣。噫。今之時。果何世也。天下俱動。蠢蠢蠕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嗚呼故朝鮮烈士石田柳君子强甫之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歛退人好權勢而公則屣脫寧質之勝於文而不欲言有枝葉寧名之遜於實而必要行無奇衺表裏如一窮達不貳純粹之資澹泊之操不易於布素之始不跲於世道之變余於是益知公操守之固而行義之篤也今年夏初余以家禍先到洛下公以騎曺卽踵余而至馬首先到余寓握手道故閔余遘疚居常憂余之不能久視而余亦不虞公之溘先於吾也每相對公輒抆淚而語曰吾命薄才劣而旣已秉臺憲於吾足矣恨不得佩銅符爲慈母專城養也吾死而目不瞑矣居數日果佩長水符余馳尺書而賀曰平生所願今始見售獨無之痛曷有其極未幾以公病劇來報馳往視之公執余手而泣曰吾死矣夫吾行不愧幽明而至於是而死於是乎余寬譬之曰公何此言爲也卽胗其病問醫未返而幽聞至矣嗚呼痛哉理有互致敓脩短有數而命不可逃者耶造物者都不察記而任其死生壽天耶世之食饕險狼皆能且卿且耋而若公之不能壽且貴抑獨何哉是未可知也嗚呼公以寡家孺子生于偏荒力學種文立身揚名歷踐華膴則古所謂豪傑之士者非耶天資醇厚孰能如彬彬者乎孝友兼至孰能如彬彬者乎好義劫利孰能如彬彬者乎難進易退孰能如彬彬者乎心無町畦孰能如彬彬者乎組織之工墨池之竗乃公餘事而芝蘭之質金玉之相不復見於世矣嗚呼昔公戾洛秉筆西銓前呵後擁人謂之榮炎序未易旅櫬南面丹旐先路鄰笛聲哀鶴髮在堂穉幼滿前知舊摧肝行路掩淚人生世間孰無一死夫公之亡人而愈慟顧余險巇與世抹摋襟期之托惟余與公風斤無質斷絃難續面視人寰獨立踽踽嗚呼不晦者心相感者精尙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趙鍾豊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朝鮮時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權宇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朝鮮時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비서원은 조선 말기에 시종원(侍從院) 소속의 비서감(秘書監)에서 독립되어 나간 관청으로,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과 기록을 담당하던 승정원(承政院)의 역할을 계승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비서원은 조선 말기에 시종원(侍從院) 소속의 비서감(秘書監)에서 독립되어 나간 관청으로,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과 기록을 담당하던 승정원(承政院)의 역할을 계승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당시 조선에서는 자동차와 자전거를 만들 수 있는 기술 수준이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을 수입했다. 정부 당국은 이들 제품이 수입품이므로 세금을 매겨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여절교위(勵節校尉) 조선 시대 종육품(從六品) 서반(西班)의 무관(武官)에게 주던 품계(品階)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新平人號櫓隱執義自殷玄孫正郞遇子忠孝著世與牛山安邦俊爲道義交壬乱與金光運幷勢赴敵斬獲甚多傾私囷募義旋繼餉不絶天將比之蕭何事聞朝特除軍資監正丁酉又傾家財餽餉軍兵上嘉之超拜漢城判尹事載湖南節義錄】崔希亮【隨城人號逸翁承旨樂窮子崔栗亭鶴齡門人武縣監壬辰擧義赴忠武公幕助長造船戰輒樹功李公殉而賊退遂痛哭而歸屛世自靖友丙子變老不泄憒送子結扈從焉尋常吟詠皆以憂國慨世之意錄宣武原從勳贈兵判諡武肅賛善宋穉圭撰神道碑銘鄭相公元容撰諡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其左直從後面衝其前倭賊二十級遂得脫而去賊兵欲追之淸正曰窮其勿迫兵家之戒勿追也公身雖逢矢不至重傷行至本陣大將李公下堂迎入大加致謝曰壯哉君之竭忠盡誠所謂鐵中錚錚者也諸將皆謝明日城陷同日死者六萬餘人及元均敗閑山李億祺戰死朝野驚駭慶林君金命元兵曹判書李恒福從容 啓曰此元之罪惟當起李舜臣爲統制使耳上從之李公進住古令島患乏軍糧作海路通行帖令旬日得軍糧萬餘石又輸銅鐵鑄大砲伐木造船舟師復振賊將馬多時號善水軍率其衆二百餘艘欲犯西海相遇於珍島李公以十二船載大砲乘湖攻之公與主將同力奮戰大砲所發殺賊甚多李公大破賊兵於碧波亭下斬馬多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도제 실시에 따라 세원 확보가 필요해진 상태에서 일제는 삼림조합의 '산림녹화' 실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명분으로 이를 폐지하면서 동시에 임야세 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인들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도제 실시에 따라 세원 확보가 필요해진 상태에서 일제는 삼림조합의 '산림녹화' 실적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명분으로 이를 폐지하면서 동시에 임야세 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인들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왜란이 끝난 뒤에도 귀국하지 않고 조선에서 살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朝鮮文宗朝) 이후부터 1935년까지 500년을 대대로 이어 장례하고 수호하는 땅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政倫綱掃地社稷■■■■■■〔黍離〕■■(黍離)觸目悲愴自不禁血淚不沫又有削髮創氏是何政也恐喝脅迫擧世滔滔如草上之風斷髮文身無復前日之典型換貫易姓永絶祖宗之苗裔惟公其〔當〕於險亂之日壁立千仞胎髮完存姓貫依舊可謂祖先之肖孫先王之遺民歛跡息交若將終身悃愊無華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우리나라는 신라(新羅) 선덕왕(宣德王) 4년(783)에 처음으로 사직단을 세웠으며, 그 뒤 고려(高麗)는 성종(成宗) 10년(991)에, 조선(朝鮮)은 태조(太祖) 3년(1394)에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