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君父安在爲臣子者豈忍安坐於家而食厚味邪與人言或恂恂如平日而夜寢必噓唏達曙是時本道官軍渙散公召募鄕隣欲以勤王會先君倡一道起義旅公卽爲其從事及錦溪之敗公與先君相失公躍馬以出賊追不及公駐馬問潰卒曰大將脫乎曰未也公愕然曰旋吾馬其奴堅轡不從公按釰叱之曰爾宜生還以我之死告家人遂策其馬冒圍而從先君於亂兵中先君顧謂曰吾必不免盍先馳出公不肯曰吾豈忍棄大將而苟活耶至以身捍蔽先君遂俱隕於賊鋒之下嗚呼若公之死尤人所難也部曲鳥散將卒相失則當其奴堅轡之際公雖生人孰非之而公乃捨其必生之勢蹈白刃而視死如歸古人所謂從容就死者非公也耶然則公之死不惟今世之所未聞而稽諸載籍亦罕有其比矣宜乎中朝之士亦皆嗟悼感嘆之辭至或形於文字間也公諱彭老字享叔玉果人係出文化高麗元勳柳車達卽其始祖入我 朝冠冕奕世至諱景顔是爲公考以某年月日生公公爲人純謹樂易喜慍不形於色勤於學業志甚篤襁褓喪先妣事父盡其孝於庶母待之如所生其處鄕黨則敬於長信於友自牧卑接物恭見之者無賢不肖皆知其爲善人己卯中司馬試戊子登式年第權知成均館學諭翌年丁父憂廬于墓側朝夕常就哭墓下不以雨雪廢雖隆寒盛暑必衰麻在身三年不出山口人以爲難吁由此觀之不惟公之偉節光振古今而其家行之卓爾亦足以垂砭末俗矣初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만일 뒤에 이 거래를 두고 논란이 생기면 이 문서를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매매 당시 구문기는 중간에 유실되었기 때문에 신문기 1장을 건네주면서 나중에 만약 다른 말썽이 생기면 이 문서를 증거로 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더구나 부조가 대대로 교분을 맺어 어릴 때부터 알아 성기(聲氣)를 함께하여 서로 익숙하고 친밀함은 누가 공보다 앞설 사람이 있겠는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寧人字允明號俉岡領敦寧遵后姿性純粹博涉經傳明於事理篤於德行勤於學業】申敬雨【高靈人字伸肅號春潭農隱喆休子孝友天成師事申農山田艮齋向道篤實深曉性理感化者多遺集行世】丁東烈【靈光人字日宣號栢軒不憂軒克仁后性氣聰慧文學淹博易學尤精多有所著田艮齋門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河鞏固奠城基。日月光明竪義旗。摘埴冥行神賜誠。我心無愧上天知。【時閔公夢冥行摘埴四字。故作此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玄士明答朴子善【煕元】卷之七書答族弟台漢答魏衡良答魏衡良答魏衡良答郭洪翊趙完九答魏琫植答族弟漢文答漢文答金永根答金永根別紙答金永根答吳成模答崔根完答崔根完答金世輔答白永昇與白永昇答金世鉉答黃明奎與天台山講會諸生寄長兒麟植卷之八書贈知止說書贈寒泉齋諸生書贈郭昌欽讀禮說書贈朴秉洙書贈吳成模學顔說書贈韓學淵陽復說書贈黃明奎讀論語說書贈崔采佑書贈羅有英書贈文忠烈雜著論天台講說寒泉齋夜講略辨寒泉齋約規寒泉精舍學規小學箚疑處己常則寶巖坊契約山齋志喜卷之九雜著經理管見卷之十雜著三極圖說形而上下圖辨說朞圖解說日月會朔圖辨說土圭地中圖辨說律呂相生圖辨說卦變改正圖說心統性情圖辨說人物性同異圖辨說費隱圖辨說明德圖辨說大學全圖後說聖賢闢邪圖說聖賢傳敬圖說卷之十一雜著一鑑問答卷之十二雜著山中燭話心說集解上心說集解下心者身之所王說儒釋心學不同辨衣制辨答衣制辨說卷之十三雜著寅字說闢邪說通貨辨答異端總辨農政新書序條辨警示賊徒文聿修齋遺稿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徐文忠公曰文章鉅手兼總戎兵其橫槊哦詩氣象大異於雕篆酸寒者之所爲也先生之武望又如此其於斯文又有萬世永賴之功當勝國將季文敎莫振之秋以潭府舊基屬之公家以建文廟故邑中父老至今稱鄕校爲先生舊址且賤來古文眞寶始刪增刊行故晉陽姜公淮仲曰壄隱田先生出鎭合浦募工刊行由是皆知是編有益於學者又曰頗有壄隱先生所刪所增佔畢齋金文簡公崇直亦曰壄隱田先生首刊于合浦其淸貧則麗史先生傳云某與姜璜寶父昌富爲鄰家貧受昌富惠多及璜寶爲儕輩所斥不錄禁中題名記先生請同僚錄名同僚不從先生竟書之然則其不負人又可知也其取士則當出莅雄鎭也一時名士多從辟八幕而張中顯衡叔之還西都也陶隱李公曰參謀今俊逸遁村李公集之赴合浦也陽村權文忠公曰八幕嘉賓亦偉奇陶隱李公曰況得田先生爲之主乎鄭公道傳曰從容談笑一書生其歎美佐幕之榮可見矣自餘言行之散出於諸公贊詠者難以委記然顧此所編掇拾於斷爛之書則亦非所以盡先生之平生也先生娶某氏擧三男長和利仁道丞次恒禮賓寺正次沃長沙監務曰漢老長孫以孝子朝廷授官旌閭事在三綱行實曰藝正之子建文己卯先生之從曾孫贈領議政可植榜下登科官至監司曰壤監務之子官至左通禮孝子副尉公之男生員奮富畬監司之男永元永亨永利永貞永成通禮之男主簿雨泰自玆以降子孫甚不振至永利七代孫松潭公有秋有儒行鄕祀先生墓山今去古已遠莫的其地豈非子孫無窮之痛耶其行狀等文未知初果撰否而今旣無見在者惟先生詩文若干篇在於東文選輿地勝覽及雜記雜錄又見於諸家文集師友名行錄及地志等書又播於詩話筆譚及大東韻玉等編若其遺事之載於公私諸書者則互見錯出詳略不齊猝難參考故今敢區區蒐輯編爲家狀如右後之尙論者庶幾可考而信也哉時崇禎再甲午秋後孫萬英謹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省其所爲。 未嘗不汗流浹背。 面發赤色。 雖中夜思至于此。 不覺發憤起坐。 以至達曙。 或値春晴秋霽。 天氣昭朗。 或値月明夜靜。 羣動俱寂。 或値名山麗水。 爽塏境上。 便覺心氣和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慶州金濬喜孺人姓金氏慶州胃於新羅大角干諱閼智爲鼻祖臣建國君民至諱義珍平章事諡良愼有文學後四傳諱仁鏡侍郞平章事諡貞肅尙書左僕射翰林文學平章事三傳諱沖漢禮儀判書大提學道學節義幷稱圃冶諡文敏是爲樹隱先生也生諱滋縣令生諱有澗通政潭陽府使號玄石生諱玖號雙香通政僉樞生諱克修有學行擧國子生員實爲孺人十世祖高祖諱宗錫當世以文學人傑稱曾祖諱台賢祖諱麗海早世考諱熙豊望重鄕隣妣泰仁許氏莞其考孺人自幼貌端秀而性貞靜聲氣順剛志操純潔針線組織極其精敏於父母有至愛處伯中怡悅能有幹局達事理聰明非常至於女訓禮文一經耳聞便成誦觀於祭祀納酒醬籩豆葅醢助奠甚習以故父母鍾愛之撫頂惜之曰假爲男子子可以振起吾門戶也及歸于龍湖處士提甕出汲修行婦道躬執爨以養舅姑如事父母事無大小必請命而行一言一行恐或有違彈其誠敬如其膳羞務潔稱口雖是餕餘不私於幼稚恒得舅姑歡心嘗稱之曰恒時新婦孝敬以永厥世則吾之門安得不昌大乎遭舅姑嘗襲斂祭奠之具皆手自爲之事夫子以敬未嘗幷席而坐夫子族大食衆菽粟僅繼而年値大侵有求者塡門輔佐其酬應之策不至稽緩常自左右拮据凡承祭接賓之需無或臨時窘給雖憂患急遽之時必雍容措置事有難處亦以理遣必持大體見人不是正言規之治家井井有法度又不喜巫人祈禱恒居言不妄出辭受必謹敎子義方一一中規皆足以有裨於世程雖讀書史識道理之丈夫人無以過之二幼俱夭痛割之至未嘗見於辭色以爲慰釋夫子亦恐有傷於舅姑之志及夫子有疾迎醫合藥口不食眼不睫焦心捄治終至晝哭雖甚哀毁亦哭有常度以慰存孤子且語于子曰吾少時而父讀書于外傳吾執績于內至鷄鳴聲相不寢爲約汝嚴父之勤學而止於此此吾所大恨也汝須讀書勅躬無忝爾父則吾雖今死而目可暝心無憾平日之望如此倚重而不克充闡其志業遽至早命其痛割之情孰堪寬比每自傷曰滄桑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重修記 麗祖之一三韓也我先祖壯節公實左右之以成其業終以身解主危及其身後靈異益著班班在乘牒間可考也麗祖臨御追封公壁上虎騎衛太師開國公贈謚壯節公錫以三重大匡毅景翊戴匡衛怡輔砥節底定功臣之號麗祖歿與太師武烈公裴玄慶太師忠烈公洪儒太師武恭公卜智謙太師忠節公庾黔弼太師煕愷公崔凝俱躋廟庭配享爲麗代元勳世號六太師曁睿宗西巡訪公後官之賜御製詩歌各一章以奬之入我朝文宗大王特擧公六人配享于麻田崇議殿迄今俎豆不絶乃異數也公之存賜姓于平山公之死賜葬于春川而全羅之谷城寔公之所自出也顧地界荒憬文獻莫懲無有能追誦遺烈記公之姓名者噫公之精忠大節足以貫金石而昭日月公之宏勳巍積足以焯耳目而光簡策苟有志於世道者莫不聳稱而爭傳而其鄕人子弟迺反昧昧無所矜式其可乎哉萬曆己丑年間申侯沃氏佩符玆邑與其時觀察使李公洸皆其裔也合謀而起卽城之地立祠以享公縣多土姓俾掌春秋粢盛贍以土田藏獲且聚境內髦士藏修於此要以風厲土俗於是乎此邦之士始知壯節公之爲鄕人焉越四年壬辰倭寇卒至至丁酉湖區爲賊藪兵火蕩析所在丘墟而公之祠宇位版獨全其舊今觀察使韓公亦公之後也仗鉞來巡聞而異之遂重修其廟而一新之其所以揭虔妥靈者無所不用其極刻公行狀陷之壁間飭諸縣吏母廢故式詔諸鄕氓庶知依歸走人於累百里外抵欽書要記其顚末蓋以公於欽爲鼻祖也欽謹再拜擎跪而曰天下之義莫大於君臣其所以纏綿固結而不可解者固是生於人心之本然而非有待於外也然世道衰薄彝倫蠧蝕則其中心之所固有亦且倫胥陷溺而爲全軀保妻子之計以後其君者往往接跡於世其有能奮發挺立於其間知有君父而不知有其身知國家之安危而不知其身之有禍福甘心於折首而卒乃保主立名興王定覇如公之爲者其亦一世之偉人矣況我東方雖檀君箕子所敎化之地中更幅裂戰伐相尋者近千載羅代僅能統合於中葉而終値甄萱弓裔之亂割據分峙又幾四五十年非公輔佑麗祖以基五百之祚則其聲明文物之盛禮樂衣冠懿進於中國者何自而致之哉因是以論則公非獨有功於麗代雖謂之有功於大東可也六太師咸有大造於東土而唯公之世繼有子姓聞人達士代不絶書殆七百祀他則無傳焉豈公不食之報而福善之天有常而不忒耶觀察韓公以宅相之賢乃克原念本始追崇遺躅使之表著於時其用心之勤可謂曰至而承流宣化亦可謂知所先務矣谷之人興於義篤於忠爲國家宣力不墜公風烈者吾知其爲韓觀察之功而觀察公之名與公之祠宇竝傳於無窮無疑矣欽辱與觀察公爲同年及第又同爲公後故樂推言之以告來者皇明萬曆三十一年歲在癸卯仲秋上浣十八代孫嘉善大夫行龍驤衛上護軍兼藝文館提學欽謹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사람, 각 촌의 두민(頭民), 면내(面內)에서 이력(履歷)이 있고 일을 잘 아는 사람을 각 면 집임이 하나하나 담당하여 23일 오전에 모두 거느리고 와서 향사당에서 모여 불화가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계원(稧員)에게 연고가 생기면 5냥씩 부의(賻儀)한다. 6. 계원 중에 과거에 급제하는 사람이 있으면 계에서 부족분을 도와준다. 7.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있겠느냐는 내용, 상 중에 건강은 어떤지 안부를 묻는 내용, 부고 편지에 장례 일자가 적혀 있지 않은데 이미 지났는지 아니면 목전에 있는지를 묻고, 이 무슨 일이길래 부고가 달을 이어서 생기는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강리(江蘺)의 잎 생기 잃어 시인이 원망하고, 물여뀌 꽃 시들어 잠자는 해오라기도 추워하네. 백발 머리에 또 한강의 객이 되어, 서리 이슬 잔뜩 맞고 거센 여울 거슬러 올라가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그저 한 자(字)를 읽으면 한 자만큼의 유익함이 있고 하루 동안 책을 읽으면 하루 몫의 식견이 생기니 세상에서 헛된 사람이 되지 않기만 바랄 뿐입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程子所謂人生氣稟。理有善惡。然不是性中元不此兩物相對而生者。恐是說破此義也。如何。且朱子所云本然氣質萬殊一本之說。賢說亦恐未然。此氣質之性。若作本然分數而看。則未發時。有氣質之性。固也。而賢其疑之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勉庵先生棄後學久矣。其門人文斯文世元。築場侍筵積年而歸。因過敝廬。其相對悲慰之情。有不可言。嗚呼。山頹梁折。吾儕安倣。願斯文自此以往。謝絶交游。社門下帷。溫理舊業。開發新趣。潛光含輝。如韞櫝之玉。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