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兵曹佐郎金震休【以侍衛戎服仍入侍】以次進伏訖秉鉉進榻前書御題【自上口授】頌江漢朝宗于海賤臣仍進前奉題【與讀券官立傳跪受】就步階外授懸題官【與泮官立傳跪受】畢上入小次出就侍衛班晡時與吏郎【朴在皞】進呈省記仍與諸對讀官齊進看考試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있는 외(受) 자(字) 논 7승락(2부 5속)을 14냥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교역해서 받고, 위 사람에게 본문기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자손 중에 잡담을 도모하는 일이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文田面) 가하평(加下坪)에 있는 수(受) 자(字) 논 7승락(2부)을 15냥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그 수대로 받고, 본문기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서로 어긋나는 일이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大喪亦如是可見其忠也盡誠於師門生則服勤死則心喪可見其義也平居必整冠端坐不設惰容古今格論書壁而自警大小各家通籬而同居敦睦之風行乎閨門忠信之言及於鄕黨年四十餘喪其耦或勸續巹則曰子已娶中饋有主勸卜姓則以伊川孀婦說拒之可見其制行之篤也目見世道極否縛陋室芝山之中携孫課誦與世相忘有時讀出師表詠北征詩輒潛然出涕其志氣之激昻又可見矣豈不誠莊士哉及周一甲風痺爲祟憫見家人往還之勞乙酉歸家竟以翌年二月十三日考終享年六十六墓在兼面叱狗峙上艮丑乾亥壬入首子坐配孺人咸陽朴在現女有壺儀卒於甲子墓合兆男基洪基萃基洛基宇女歸朴濟根孫男六人女五人公篤於奉先五世懿跡竝剞劂而布之己之述作散而不收厪厪掇拾者爲六卷方登梓云予讀公之狀無往非孝弟忠義之行此不可泯焉强病握管撮而爲序係以錄曰雪山儁良才志超群蚤從賢師襲其餘薰克珮要訣爲學不倦如金如壁是琢是鍊飮河充量坐春盎背以敬以義方外直內若無型範曷成其器乃揭言行貞珉在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古蹟 東陽尉申公翊聖與平山士林單子曰惟我鼻祖壯節公大功大節英爽靈跡千載之下凜凜有生氣而謹稽谷城書院所藏古蹟文字有曰公十三成文章十五儒科壯元十八爲大將與五太師統合三韓縣地有書堂基址尙傳公少時讀書藏修之所云則不但天賦之異其素所蓄可想已凡有血氣者聞公之風疏然感厲況其內外商孫乎況其鄕里子弟乎兵戈之餘廟貌蕭條香火不供反不如佛宇僧寮豈非子孫之責而鄕人之羞乎竊念執綱諸位或其遺泒或是鄕望其於追遠崇賢之擧必不恝然而至於如是者實由亂後不遑於俎豆之事也側聞明府閣下禮讓爲率治理一新至於壯節祠宇募僧守護卽此一事可見尙德之心其在瞻聆孰不感歎全羅谷城書院則一邑士子春秋釋菜用仲丁而籩豆牲醴官家供設則彼此儀式不宜異同伏願諸位以此事例善爲遵達而講品定式幸甚諸宗人謂翊聖忝在崇斑當初祠宇營建之役旣爲有司饗祀典式亦不可不講責之甚勤不敢以辭不得不造通文到日卽爲相議可否施行谷城寔我鼻祖壯節公岳降之地也杖屨之所歷歷皆可記也讀書堂馳馬臺申公井在於飛來山中道藏洞而砌礎猶存遺蹤宛然號其山曰申遊峯鐵甲巖在於華藏山而石壁中間人不敢攀援之際分明有闔門跡古老傳之曰壯節公衣甲藏於此云將軍嶝在於鳳頭山而泰安寺僧設壇祈福稱靈誦異千載若一日此可謂徵百世不惑噫鄕人尊公爲城隍之主士林侑公爲學宮之師實公之凜凜氣節惟久益彰洋洋盛德惟廣無替令人起敬起慕之深而然也豈不偉哉壯哉但書院無古蹟文字爲疑久矣今於玄石朴先生所編緝中得見與平山士林單子草末及奉李明府志感八韻俱是東淮所述也其單子曰謹稽谷城書院所藏古蹟文字有曰公十三成文章十五儒科壯元十八爲大將與五太師統合三韓縣地有書堂基址尙傳公少時讀書藏修之所云云其韻曰文魁詳籍記武德煥銘鐫籍記云者亦非指谷城古蹟耶雖非全書足可以徵也無乃院蹟古有而今無者耶嗚呼世之知公有神勇而不知有學問者未嘗不由於院蹟無傳故也若使人人觀東淮所述則孰不知公之從容就義坦然若無所礙滯者非但武德之異也是故命煕不揣僭越而記單子草本于此附志感八韻於後以備後學之徵信云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즉 지금은 방매자가 형편이 어려워 어쩔 수 없이 논을 팔기는 하지만, 나중에 금전의 여유가 생기면 되사겠다는 조항을 삽입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新文記)에 '영영방매(永永放賣)'라고 적어 영구히 소유권을 넘겨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이 문서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와 구문기를 합쳐 문기 6장을 매입자에게 건네 주었으며, 차후에 이 논에 대하여 문제가 생기면 이 문기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 본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일이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답주(畓主) 유학 김이홍이 이 명문을 직접 작성[自筆]하고 유학 신대옥(辛大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죽전주(竹田主) 유학 정현홍과 이 명문을 작성하고 증인(證人)으로 참여한 증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由 內外偕老, 老而康健, 多子多孫, 耕讀爲業, 泉石寓娛表 贈 刊冊后送呈爲料丙子二月十日武城書院內 發起人 金麟基金 澤 崔東根權寧謨 李熙元金煥一 金煥相安恒燮 裵暎錫金成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欲脩其身者 先正其心 欲正其心者 先誠其意]"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故有本然性氣質性之說。理是公共說。而其義較闊較泛。何必以氣質之理。偏立門類耶。以惡亦不可不謂之性。謂惡有歸屬則亦過矣。比如濁亦水也。而其所以致此濁者。何事。了此便是歸屬也。若如兄說。則以惡亦性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余出宰楚山時鄰邑士人有因事而過者見其狀脩然有士大夫儀容聽其言條然有讀書人口業未暇聞姓名余心語曰湖南古多聞人彼必賢祖之孫也不然遐土人物豈能如是乎自其後不復見其人惟以愆面爲恨矣譜冊始役後湖南宗人上來者可以千數而其中名性玉字德容者果是入平章之孫而與吾爲十七代同祖宗族也示其先祖蘆溪先生遺稿余奉讀未半不覺整襟而歎曰有是哉吾金之多賢輩也得姓後千屢百年王公于羅麗卿相于本朝宗匠斯文蓍龜朝廷與夫忠義孝烈之相繼輩出國史而載之口碑而傳之煥然照人耳目則無以尙矣求之幽潛之中亦將指不勝僂而至若先生早襲庭訓文章夙就二十登上庠俄而擢第又値安老元衡之嫁禍士林遯絶世事隱于山林築小亭扁之曰醉石以寓終身之樂所著性理言行諸篇及詩賦序記雜著不爲不多而盡燹於丁酉之亂若干餘存亦不免斷爛而得之於二百年之後異哉零金碎玉不害爲至寶則天欲使賢人遺墨不至於泯滅使後之人因其詩而得其性情之所存其曰終依雲竇肯屈玉門可見其尙志也其曰圖畵流民願達九重憂國之忠也乃若直到澄淸天下後男兒方是出人間之句何其志氣之壯而嚴於淑慝之別也夫所謂身江湖而志廊廟者若先生之道也歟至於負米圖一篇畵出自家心事見此而無孝親之心者禽獸幾希此所謂一人孝一國興孝者也惟其見知之高踐履之篤無非資之於孝悌之餘力則其學問可謂徹上徹下而愛君憂民之誠出於天性者往往見於吟詠之間若使先生出而當當世之任則圖畵澄淸之盛列可期指日拭目而移孝爲忠常茶飯耳惜乎以先生之賢適丁群壬之秉國深處山野齎志沒地身後尙闕褒揚之典又無立言之人平生言行不越乎零碎文字之間而其所崇報止於鄕祠而已則若先生者可謂一國之善士而所以俎豆不能於一國則可勝後人之發數也哉然遺風餘韻自家而鄕自鄕而國惟在後學觀感之如何若言其功化則鄕祠宇小乎哉書院多乎哉若資其哺啜而已則祠亦無益院亦無益苟使後孫讀書修身行誼著於士友聲譽聞於遠近而使人一見可知其爲先生之孫則保有家聲豈特祠院之觀美也已性玉甫留京累月與同周旋益知其人然後始信向來諛見之不忘而猥被請跋辭不獲書之歲玄豹仲秋旣望宗後學前縣監顯材謹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年廬墓哀毁之誠母病五月侍湯極盡之力豈非出天之孝乎小學之灑掃應對大學之誠正修齊亦豈非超人之學乎明廟丙午中司馬居成均舘上疏斥妖僧普雨甲子以敎授官來到本府諄諄誘掖講究精微時李侯龜巖公創景賢堂與進士鄭沼主蕫是役而名載臨淸臺碑陰則其景賢之心推此可知是年秋仍卜居于府東濵海之地誅茅爲堂種梅爲號與邑之名士二三人琴書吟詠人稱江南四隱龜巖公頻頻往飮於艸堂序其文和其詩曰豫章之徐子武城之澹臺自非文章德行之盛其能如是乎不好爲師而人自好焉不求其蒙而人自求焉是以里仁俗美斐然海鄕之文物也生等將以一鄕公議第欲枚報者久矣去月良中自慶尚道星州士林通文夾到本府故上書于本官城主而將欲仰達于上營矣適因相國閤下廵察之際則果非際會之幸歟伏聞聖上新御之初逸於求賢渴於見善則其在臣鄰孰不感激而興起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文元凱 文元凱字舜隣號龍岑貫南平杏堂門人始祖多省新羅平章事諡武成其後有曰公裕高麗太學士諡敬靖曰克謙平章事諡忠肅曰益漸號三憂堂稼亭門人圃牧從遊右文館提學上八條疏諡忠宣於公爲十代祖至八代祖和號晩隱圃隱門人始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維己卯二月六日壬戌光山盧鍾龍使子軫永謹具菲薄之奠再拜哭告于故朝鮮崇祿大夫判敦寧海觀先生尹公之靈嗚呼哀哉公之壽耋而考終而八域之士不以爲公之福或有爲之恥焉者公其有知竊願無恠其恥之者焉蓋公家世喬木而生長於宮中既自髫髧荷龍之光早齡登庸歷敭清要三秉銓軸用作股肱風雲之盛黼黻之譽爀爀乎充溢朝野矣自經金狗之變公卿大夫士以至窮巷匹夫決然就義者指不可勝僂而公奉身高臥於藏位山中間費日月以享遐算三十年間八域人士屬耳目於公朝暮以等消息之至矣竟此從容捐館使積望苦待者敗興而落空曩所謂恥焉者亦不可謂之不可也然公之平日胸中含冤忍痛一鬱不得泄者沈秘而不得施者固非淺淺之腹所能揣得也假使今日九原可作以右所憾者質之公其甘心受恥而不必區區發明亦不必率爾而露其所蘊蓄矣鍾龍賞獲拜於山庄開義理之講又從以屢蒙手賜而無相渝志之教千年紙墨色尙新故己有所窺測其千百之一盍爲之一言以謝夫八域之士或爲公恥焉者耶公累握銓衡在昔昇平之日克保無咎而但朝著之間漸生紛競未必無相猜者宋璟之賦歸燕卽此時也所以恬然退臥燕寢清香墨卿爲伴五七之約公何以知之及大廈之傾一木難支宰相捐軀而未效士民沸騰而莫敢誰何竟使祖宗疆土任他欺弄與之受之有若苞苴之隱密當是時也巨室貴門莫崇莫厚之爵祿不召而自來郭開幾人楊雄幾人惟海觀先生視若塵芥色正辭嚴以拒之其孰能誘之其孰能脅之是所謂富貴不能淫威武不能屈者也以若貞剛當趙閔之位則其死也必不後矣亭亭若雪壑孤松凌寒傲冷不易其性守正以俟之者以吾君之子在焉遺民在焉國際公法在焉也其危也若履虎尾而能平澹不迫嘯傲於風月之間遠方韋布之士接踵而至求其書輒不靳而來者擧皆如鍾龍碌碌徒知柳公之筆足以致孝而一未聞文種吠顧滿腔子所懷如鍾未撞日復日遷延而終生其所懷云云者鍾龍亦不敢言也志事之成不成天也正己而俟天者何必自經於溝瀆而莫之知也之爲哉己焉哉玉色金聲不可復接而滄海以内更無一老成人奈何千古無窮之恨非拙辭可既而樗櫟之年亦己八十有四歲矣將朝暮入地追謁快論恐非晚也嗚呼慟哉尚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齊戒見上陳設前祭一日有司掃除壇之內外設諸祭官次又設饌幔皆於東門外隨地之宜設酺神座於壇上北方南向席以莞贊者設獻官位於壇下東南西向執事者位於其後稍南西向北上贊者謁者位於壇下近東西向設獻官以下門外位於東門外道南重行北向西上祭日未行事前掌饌者帥其屬入奠祝版於神位之右【有坫】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次設祭器如式【見陳設圖】設洗於壇下東南北向【盥洗在東爵洗在西】罍在洗東加勺篚在洗西南肆實以巾爵諸執事盥洗於獻官洗東南北向省牲器見釋奠行禮祭日丑前五刻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誠其意者。必先正其心。而必曰意誠而后心正。何也。大學之敎。始自格致上做工夫來。夫明善擇善。而誠於意然后。心可得以正。故其序如此。大學訓自慊。快足意多。孟子訓行有不慊於心。滿足意多。以其序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 龍岡先生奇兄景道氏。歿於戊戌至月日。而同門生趙性家。翼年仲春。始得承實。嗚呼。吾黨孤矣。斯文齾矣。契深斷金。悲切瘞玉。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