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贈左議政博雅通敏號爲才臣於公爲曾祖考祖考諱喜相英陵致太平在政府二十四載謹守朝宗成憲不喜紛更處事循理規模遠大論者穪我朝賢相必以公爲首而勳業德量比宋之王文正公韓忠獻公文宗時配享世宗廟庭諡曰翼成考諱致身官至戶曹判書逮事七朝位望隆重生九子公其第六也少登第選拜集賢殿正字遷兵曺正郎移吏曺進集賢殿校理議政府舍人轉直提學擢承政院同副承旨遷成均館大司成集賢殿副提學擢嘉善大夫平安道觀察使明年召還拜司憲府大司憲擢資憲大夫工曺判書以知中樞府事兼世子右賓客卒于京享年五十七葬于交河金蠅里公爲人淸秀好文學當世宗之盛際出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宣仁之際。國家存亡之機。生民命盡之秋也。公以眇然末官遇事卽奮。惟義所在。不計夷險。責李洸之逗遛。則南郵驛丞也。折朴曄之跋扈。則北營副倅也。佐權元師捷於幸州。則中興首功也。囚蘇鳴國以摧二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召還朝也。留一子在本州。卽判官公義孫也。自是簪組。雖遜於前。而名義不朁。當宣廟去豳之日。四勳一節。出於兄弟叔侄之間。或迎護車駕。或入衛堂陛。或經營四方。或横尸戰陣。功登勳府名載誓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官是乎旀至於嫡庶之誣說民以累世宗子嫡孫如縷微脉僅參衣冠之列而忽焉一朝爲附族汗之筆端所誣哉自漢佐至星奎祖子孫三世一踵惡習如是謀陷眞所謂借廳入房養虎遺患而世未聞如許變恠是如乎若未暴白於 明庭之下則非惟辱及祖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善述。牲石是具。律己淸儉。接人有度。蘊抱經濟。恨不施措。船泊後麓。樵採永護。嗚呼此惟遯齋奇公之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成廟二十年己酉登文科而與墨巖李先生同年矣八世祖通德郞公早世於先祖捐舘之前旁祖監察公以次子移居于咸陽先祖之文集及職帖輸去盡失於回祿之中而不傳其爲後昆之不幸倘如何先祖當時履歷往往現出於碩德名賢之筆下畧叙其次第則初爲翰林載於翰苑錄再爲副校理著於尹文孝公撰先祖妣之祖父崔谷城碑銘中其銘曰公之孫婿副校理崔某已著公行狀云以吏曺佐郞爲本道均田御史可徵於虛白亭成公之贈詩其詩曰湖南鞍馬仙佐郞漢北人物推賢良地分九等賦上下天高八月秋中央靑山多處露下白赤鴈飛邊葉飄黃南原本稱帶方府桑梓亦是鱸魚鄕云以左承旨載於大譜中以都承旨載於萬姓譜以判决事載於墓碣此外文獻更無可徵矣今於六從弟處權家篋笥中休紙之間得一墨跡盖於弘治十二年己未十一月六日先祖別給於七大祖宣務郞公生年之文字也獲此一張紙而有四喜事何者顧此孱孫生於数百載之下奉接先祖手澤之如昨此乃一喜也七世祖兒名因此而知之此乃二喜也且官爵之家其於遺腹孫別給之文無他許與之物只以良産當年生一口婢給之則淸白推此而尤可驗矣此乃三喜也以前庶尹着署則出宰平壤昔未聞而今始知此乃四喜也人家一喜之事尙且難得况此四喜之兼見者乎惟彼六從於流離失所之際守此遺墨而不墜先祖在天之靈其必曰有後乎余於今日不勝溢喜之情志其固陋聊以数行文一絶聯示之望須諸宗求和於某某人俾此荒詞無至塵棄之地幸甚繼之以詩曰九世遺痕一尺書前啣先諱撫摩餘傳來自是吾家寶何用金銀滿載車先祖捐簪問幾年筆痕何幸至今傳淋漓未覺追懷激披閱難禁感淚漣大慶孫生遺服後至淸財乏遞官邊君能不失流離日古篋深藏可謂賢崇禎紀元後三甲辰十二月四日九世孫處濂謹識次韻塵箱幸得舊遺書手澤尙新九代餘淸白傳家於此驗後孫孰不作南車貽厥孫謨幾百年先顔宛對尺書傳墨痕如昨心猶感稚諱垂今涕又漣無宅無田遺一婢至淸至白尹三邊嗚呼四喜油然發自此尤稱我祖賢十世孫得天再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鄙高祖子孫雖甚孱劣, 亦不下百餘人, 豈忍坐視祖先之羞辱, 而晏然無事乎? 其爲不幸大矣。 執事試思之, 始既以虛僞尊祖, 得罪於神明, 終又憚費而不免其罪, 豈非不思之甚者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反之于天屬之祖先。何所不可而若是之紛紛爲哉。此老見識卓越餘人。而乃以昭倫正俗之端。歸之于自絶父祖之科。其意未可知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況其祖先藏修游息。于以考終之地乎。況其肇基垂緖。使可爲後世之繼者乎。此而不敬。是曰棄基。此近世人家遺墟之役所由興也。若南原治北德古坊金巖之理。故成均進士金海金公諱有銓之謫居遺址也。子孫居守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有曰聖人之修道立敎者三綱五常而已 而所謂節義者 所以扶植此物也 後世義理不明 遂分道學與節義爲二 臣未見捨節義而爲道學者也其言明白痛快 可以訂頑而砭愚矣 維我東方道學節義之兼有而不偏者 在勝國 圃隱鄭先生在 本朝 重峯趙先生是已夫以兩先生之道嫡孔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기자는 은나라가 멸망한 후에 주(周)나라 무왕(武王)에게 천하를 다스리는 아홉 가지의 대법(大法)인 홍범구주(洪範九疇)를 가르쳐 주고 조선의 평양(平壤)으로 옮겨와 기자조선(箕子朝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요컨대 일제강점기 일본이 조선에서 세제를 정리하고 개편한 것은 전비(戰費)를 조달하고 식민지 수탈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뿐으로, 세제의 근대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요컨대 일제강점기 일본이 조선에서 세제를 정리하고 개편한 것은 전비(戰費)를 조달하고 식민지 수탈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뿐으로, 세제의 근대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요컨대 일제강점기 일본이 조선에서 세제를 정리하고 개편한 것은 전비(戰費)를 조달하고 식민지 수탈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뿐으로, 세제의 근대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요컨대 일제강점기 일본이 조선에서 세제를 정리하고 개편한 것은 전비(戰費)를 조달하고 식민지 수탈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뿐으로, 세제의 근대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요컨대 일제강점기 일본이 조선에서 세제를 정리하고 개편한 것은 전비(戰費)를 조달하고 식민지 수탈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뿐으로, 세제의 근대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요컨대 일제강점기 일본이 조선에서 세제를 정리하고 개편한 것은 전비(戰費)를 조달하고 식민지 수탈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뿐으로, 세제의 근대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推公爲大將公辭不獲焉奮袂登壇以敵愾爲章標府使尹安性勸鄕兵助之體察使鄭公澈遣裨將副之公乃領兵向京行到公州體察貽書曰白首寒仗義北向爲國忠亮非等閑可匹第當此時不守湖嶺之間則湖南盡爲賊藪退處備禦云公卽馳到沃川分屯尙善等地以扼賊路斬獲甚多黃永士女之避亂者多賴而得全體察啓聞其切及聞晋城圍急使李潛先往曰晋州得失最關湖南之存亡急須赴援公自以數伍運餉雪涕奔馳自宜寧至三嘉督勸諸將合兵前進未幾晋城遽陷李潛與金千鎰黃進諸公皆力戰而死公痛哭憤悲恨不得同殉也聞賊將向湖南退守咸陽關防亦多斬獲而耻於徼賞皆不報乃陳疏曰當今紀綱板蕩號令不行賞罰無章亂起以來將義者前後捐生已非一二而將軍官者立視其死莫之敢救然而無一人被刑無一人受誅伏願殿下先誅臣以懲其餘則將皆觀感相救恢復之責庶可期也上賜忠憤激烈之批年近七十戎馬矢石之間勞悴病篤歸于龍城舊第卒於丙申十月二十三日乙卯享年六十八葬于府南冶理山艮坐之原丙午錄宣武原從勳贈司憲府掌令配淑人慶州金氏後公十二年卒祔葬于公墓左有一男誼直長生三男一女長尙益內資寺奉事次尙漸參奉尙節進士女適士人朴忠亮尙益生三男長瑋次瓊進士瑜護軍餘不盡錄公氣像正大風采軒豁早謝公車專意聖學就一代諸質疑辨感義理精微凡所論說多有前賢未發者若見四先生氣像對策及救牛栗兩先生疏則可知其尊賢扶正之義是以尤庵先生錄癸未疏章有曰激勵明直無此邊公置之卷首徐萬竹益疏曰邊士貞天下士救兩賢一章當萬世不朽重峯趙先生疏亦稱其正直至於癸巳疏公之堂堂忠義尤可見矣公最嚴於闢異端毁去鐵佛以破愚俗之惑嘗以扶正道抑邪論爲己任而剛大之氣忠直之言能感動天聰興起士林噫以公之篤學正直尙未施崇褒之典公議之抑鬱當何如哉湖南章甫建祠於雲峯公藏修之地可見士林尊慕之義也公之後孫海宗袖公家狀及遺稿跋涉千里要余墓碣辭不獲焉玆就狀碣略檃括叙次之如右系以銘曰早謝公車終老林泉扶正斯道嚴斥異端倭寇充斥首起倡義忠義堂堂日月昭昭疏救兩賢芳留百世崇秩未施公議嗟嘆方丈峨峨桃灘源源公之遺風山高水長有碣三尺是述我用崇政大夫原任行禮曺判書閔鎭厚謹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郡通文(12) 右文爲敬告事伏以我蘆沙老先生挻生東方倡明絶學時雨之化流被近遠時則有東塢曺先生親炙五十年德行已著紹述師道其衛翼於斯文嘉惠于後學當何如哉嗚呼老先生易簀已垂一周俎豆闕典實緣世降而澹對舊軒春草蕪沒淵源諸家之思所以葺治經理之方者卽其地而建築祠宇於是乎羹墻有寓絃誦維新實爲吾黨艱大事業也世敎指的之表準也院享有配係是舊章乃者發諸賢配腏之議議及于東塢先生曷非先生之道之德有孚于斯文者深乎鄙等重懷協贊之願謹取其實行大略而申之先生天資至孝幼能溫被服喪柴毁孚及走卒而早歲贄謁勇袪華飾始從事於內外賓主之訓至以舍已從人常知有已見許於師席其旨微矣先師將病微誦夢作歌謠先生聞而悲痛曰泰山其頹吾將安仰及易簀心喪三年治任而歸卜築東岡後生學者師而宗之庠舍不能容臨沒眷眷以孝弟忠恕勉于後人則其踐履之篤造詣之深有非末學之所可窺測其門墻而鄙等之在及門請敎及聞風私淑幸得與聞其學問大方庶不爲衆岐差跌則何莫非先生賜也遺集播布全邦讀之者可知其本末畢具而同門諸賢撰述備矣姑擧松沙先生之言祭文曰父視子視積五十年旣專且久惟公所獨又曰早謝名利以賁于身身賁德尊林下一人序遺集曰公在德行之科爲高足而尤傑然矣狀行曰公推明先生之道使西河之民不疑於夫子以此數言想像之老先生廟享之日其配食之位捨先生何以哉指論直截頗涉僭率然此非膚淺之言實是士林之公議非直一時公議松翁大筆已有前定者存敢擧梗槪而仰陳惟願僉君子參同於遴選之議躋配于俎豆之次士論幸甚世敎幸甚右敬通于澹對軒僉君子座下戊辰八月十日高敞鄕校內儒會多士幼學姜天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中廟明廟朝而俱載於三綱錄及輿地誌兄弟雙孝不讓於大小連矣克篤孝友博洽學問至於文章是公餘事耳與處士檢閱兩兄共中丁卯司馬克追五槐之先志也自是之後斷無赴擧之意占得新址于甕井靜僻之處搆草廬数間自號曰處庵蓋取其處士之處而欲體其固窮之固窮也此豈非善繼善述之道耶踐履篤實志氣安靜絶意於榮利芬華之地潛心於聖經賢傳之旨其中最樂者孔夫子家語及周易也常探諸子升堂之階深究八卦爻象之理反覆翫頤深得其竗從學於靜庵趙先生日以講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