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其大。君子之於物。苟不能幷蓄洪纖而廣包荒汚。則其量淺且狹。知淺狹之不足以容物。則必思所以恢廓其量矣。夫以必至之志而加不息之功。以有本之學而兼無涯之量。則吾將見君業日進而德日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嗜學。自幼不煩程督。旣長博涉經史。尤致力於四子。遂就正于俛宇郭徵君門。益自勉勵。淨掃一室。手不停披。剖釋奧義。多人未見到處。有來學者。則必諄諄提誘。期欲因其材而成就之。敎子姪。懇懇言孝弟之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安氏東方著姓順興氏卽其一也以文成公晦軒爲鼻祖惟永平之安海山荒僻門戶寥冷席上瑾瑜誰肯問白珩而誦其連城之價哉鄧林枯枝滄海浮芥良可嘆也然而尊聖重祖之義非衣羅紈厭芻豢所可及哉以門議遂相居之南經始祠宇厥土燥剛厥位面西殿堂門廡黝堊丹漆擧以依法舍菜有日師生有舍庖廩有次因其曾有齋舍以孔夫子後二千四百七十五年夏五月湖南士林送鄭壽洪安哲魯自晉陽道統祠摹孔朱安三聖賢眞像浮南海下陸于木港晉陽士人梁文煥安定植從焉十五日中火于羅州榮浦等地列郡章甫會者數百光善亦在陪從之後旋發向永平之集成祠道路觀者如堵依俙若昔日矍相圃氣像也抵祠日旣曛矣遂權奉于玉振堂告曰百世景慕謹奉遺像廟貌未就權奉是告後石吳駿善顔其祠曰集成命光善顔其堂與門堂曰玉振神門曰三元外門曰道東蓋取大成玉振也軌躅可尋吾道東之義也嗚呼鳥獸不可與同群以今日而有此盛擧不但爲安氏顯晦有時抑將爲吾道重熙之兆眹歟玆敢書顚末如右云爾孔子二千四百七十五年甲子仲夏長澤高光善謹記玉兮次於金者也樂之爲道非金則無以始條理也非玉則無以終條理者八音之中金石爲重故也而始終條理者集群聲之小成而一大成者也嗚呼我孔夫子以天縱之姿集羣聖之小成而大成者則此孟子之十分形容聖人處而子貢所謂聞其樂而知其德者也厥後文公朱夫子集群賢之小成而大成者也至於東方安文成公晦軒先生集群儒之小成而亦一大成者也前後之大成其揆一而道之時中莫不具始終條理則雖在千載之後以儒爲名者皆服習其禮樂之敎孰不鼓舞而崇奉也哉噫此卽湖南士林與先生本孫景慕不已而建三聖賢集成祠于故永平之南鳳凰山下而堂曰玉振以影幀奉春秋釋菜習禮講學之所也多士之鞠躬趨蹌依若有聖賢當日之儀形而不以邪說搖惑焉豈非遺風餘韻之愈久不泯者而亦豈非安氏之血誠湖士之羹慕之力哉先生嘗自謂欲學孔子自朱子始此先生平日希賢希聖精力中語也惟吾後學欲學孔朱且以晦軒爲始不墜先生之心法則非但儒子凡人紀網之興振始終不替如金聲玉振云孔子二千四百八十四年癸酉孟春坡平尹璟赫謹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公素志天旣爲弭亂而命世何敢辭武職事君之道文武一也況才兼文武置身戎馬扶存社稷讓功身退不亦偉哉然而爲外勳所掩世莫知公聞道於健齋其節義之高由於學問於公雖無損其如後學所矜式何後孫洪烈袖其實記而請文於無文不得辭遂之銘曰龍蛇之亂天地翻覆忠臣義士應時而作孰任其責弄圃先生氣湧山河志切掃淸明將來援人難接抑薦公接伴見卽心服追擊屯倭殲彼讐仇豐功偉烈誰與爲儔志同金趙名齊李權及其凱還讓功諸賢還出弄月豈無所以如可得也思公復起遺墟隣近維梓與桑碑于玆陟降洋洋我銘斯刻用詔千億瞻彼念佛過者必式隆煕庚戌後丁亥二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於在城之日有來見者輒以玆事言之無一人有言不可者是則不可謂吾鄕之終無好風俗也今有出言可信之人建一言唱之則環數州之地其應而從之者想不下數百人其四家子孫之在京在鄕者豈待言而從乎各出斗斛之米一端之布其爲創立之資有餘裕矣所謂社者只爲鄕先生而立今玆數先生豈止爲鄕先生而已哉宜別擇勝區一所建一精舍如三高亭之立於東吳斯可也已松湖乃四賢所遊之地有江山之美又不出吾鄕可於此先立三閒之室扁之曰棠岳四賢之堂題木牌以完其位爲東西廂使學徒居之又起小樓其南爲鄕人講會之所使百世下登斯樓者未嘗不俯仰歎息以爲吾鄕亦有如此人皆有所感發不亦美乎不亦盛乎及其居守則令四家子孫各出奴婢一田數畝又擇其子孫之可者或鄕人之善者使之遆守每遇春秋霜露敬薦蘋蘻以寓沒世永慕之思則其豈特巨源之祭於而已社也哉未知盛意以爲如何倘以爲可入洛之日幸稟于駱川亦與一二同志合議於鄕以聞于方伯更須相勉使無限美事及期成就於鄕幸甚於道幸甚餘竢別筵一一伏惟盛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可川村) 앞들에 있는 부(夫) 자(字) 논 1두락(4부 6속)을 35냥으로 가격을 작정하여 받고, 위 사람에게 본문기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자손 중에 만일 잡담이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문전면(文田面) 가천촌(可川村) 앞들에 있는 부(夫) 자(字) 논 1두락(6부)을 35냥 가격으로 그 수대로 받고, 본문기(本文記)와 함께 영영 방매(放賣)하니 이후로 만일 잡담이 생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執禮立於阼階上讀法立於西階上東向讀朱子白鹿洞規約次讀藍田呂氏鄕約乃升堂就講講長坐北壁下堂中南向【講長有故未參則虛其位】聽講坐西壁下與齋任相對【齋任卽直日執禮讀法】諸生皆南行北向西上以齒序立直日詣書案前抽栍示當講者當講者再拜講吃又再拜而出講畢講長與聽講之應抗禮者交相揖諸生向講長再拜講長答一拜又向聽講再拜聽講答一拜諸生交相揖乃退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特言誠其意。告子篇。人將曰訑訑。予旣已知之矣。以元文看之。則所謂予旣知之者。似人稱訑訑者。然而以輔氏註予旣知之之意。萌于中云云看。則有若訑訑者。自稱焉。訑訑註。輔氏說。自是一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所謂甚生氣質。必有以得之於此矣。示中春生之云。夫春者春之生也。夏則春之長也。秋則春之成也。冬則春之藏也。故春爲四時之首。仁爲四德之長者然也。且春夏秋冬之理。在天爲元亨利貞。在人爲仁義禮智。曉得此理。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如是遲滯遂有如是之患此非可愧之甚者乎赧然不弛平生最不喜問卜祈禱類絶不近雖苦極中妻媛若有其言聖勵色責之病極待母益苦一日其兄曰今夜夢見慈闈云云病中踊躍起坐展然開目歡然有色感動座人丙辰夏五月二十四日曉頭卒于京中少公主洞其兄家訃傳知與不知無不嗟措年二十五有子一人名聖夔五歲成服日母自古阜入來歿時無一言及家事臨絶但以右手捫鬚數度而已其平曰收歛之心如是歿後三日連有大雨夜有紫氣繞室隣里云放光頗異恠之議葬于楊州水落山曾祖基後已行開土祭母曰吾生旣不得執手永訣死又葬此而吾獨南歸乎其兄天翊從兄光翊與其妻父柳賢勇相議其年八月二十一日旋殯于靈巖其年十一月十一日葬于靈巖槎谷原震木山寅甲坐庚申向是其兄夢得之地也作詩賦不爲不多而作後每裂草棄之或問其故對曰最不關者名而況吾卑名孰能記以傳之作之亦勞又何重勞書乎所製澶淵却虜頌柳篋銘及五言古詩一首皆平日走筆而適沈諸篋笥中故不失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