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관(官)에 고하여 바로잡으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답주(畓主) 유학 조환덕, 이 명문을 작성한 필집(筆執) 유학 김현택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밭 주인 유학 정영조와 이 명문을 작성하고 증인(證人)으로 참여한 양상욱(梁相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밭 주인 유학 정영조가 이 명문을 직접 작성하고 착명(着名)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답주(畓主) 유학 진정언과 이 명문을 작성하고 증인(證人)으로 참여한 증필(證筆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농상(農桑)을 독려하며 삼태기와 삽을 들고 일하는 중에도 걱정거리가 종종 생기니 얻는 것이라고는 다만 흰머리카락 뿐이라고 한탄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余自幼無所慕於世願得奇絶處置一草堂終老於其間而久未克就一日對鄭可行綴綴道此不解可行拊掌喜曰吾嘗得一佳處不鶩遠不凌危只在村店數里許其淸爽幽穩庶與子合盍往觀諸余乃携可行及他冠者五六人步山逕而尋焉行到洞門有峭巖雙立路左右宛然成門戶之狀水掠其左傍而去石門之內咫尺之間頓覺物態之改形水益淸石益瘦或濺瀉於亂巖之閒或停貯於缺岸之下深者蓄黛激者沸白率一十步許有小潭焉自石門行至數百步水皆一狀而望大山益近去村烟益遠漸覺㵎壑之幽寂而塵紛之隔限矣泝流而上得一小潭比前所經者稍可深廣其上大石削立水中截岸兩傍高可十許尺水瀉其上卽于小潭時方久旱水蹙不成瀑沛薄被石面散射巖隙冷然潨然作環佩聲其傍廣石盤陀可羅胡床七八九蓋削立水中者之橫盤出岸者也可行輒住杖而立曰此其處也余見之大悅不復窮源乃藉草而休焉其上巖壑尤邃睨若無窮焉有大峯卓然臨立崗巒阻峭崖壁突怒其中多當歸石蓴可食之草其上多松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惜之公美質夙成溫醇慈恕得於天稟見之可愛嘗從柳眉巖考業先生亟稱其愷悌雖坦夷任率無事矜持亦未嘗蕩佚踰閑雖接物和易不爲厓異是非好惡不失其正時汝立方負重名公聲言斥其反覆而及於其耳有士友抱屈守常者公每逢達官必稱道欲其收錄所謂於人必有所濟者近歲以來時望不歸南士以公才質失其初程由庶司取道暫試郡縣若使若尼勞多而譴隨之不使久於其職天之玉成似亦有意而奪之又速豈非命耶公配朔寧崔氏忠義衛穎之女也先公幾年歿祔葬先壠卽其王考正言公諱彦粹之松楸也將以某月日同其塋而左右男三時晉時冕時邁女三適鄭弘緖曹應伏申尙浚公以我爲風老謬相推許孤之託以此其得辭銘曰才非不試志非不宣兆而未究又何不年其猶不死有此兒焉豈曰非所孟光同阡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匀蕩玄機一氣相戰薄物生浩萬形毛羽而鱗甲含珠是老蚌蘊玉爲荊璞鸚鵡巧語言文豹美胸臆所貴雜外內利害同平側人生抱至悳有道如山屼聖賢得之心不求虛名立吾儒佩遺訓不可徒食粟何煩心自非漫欲撾其脚確然守內美我心元非席不誠豈悠久利欲紛來食兢兢不暫弛擇地投吾足孜孜力駑蹄此心要不失紛紛貴與賤天也容何術不須鵬萬里一枝鷯可息暗投只驚人何用珠明月蝨甘血食飽湯沸禍不測春蚕苦纏裹家成身已屈禍福迭相侵物理難推詘昔君志騰蹇何知此蕭索有翼大垂天一擧何空碧篋箱儲萬言君門來射策竽庭孰瑟知撫卷空於悒萱堂設藿藜對之意慘惻苟得悅親心吾名不足惜所在有薄俸不必公侯爵大小等王事抱關不是辱拂衣戴破帽故子頻西役烏山與順城彼此何者樂不樂是眞樂用喜君居獨我亦受天賦獨此愚陋質癡蠅觸窓多狸虎何曾別狂奔不自知好博爭雉犢優游費羲娥未逃鄕人噱浮藻眩人目賤名收紫極馳揚帶非分十載紅塵沒何曾大馬力有補堯舜德隨行濟濟朝尸素終何益辱器自速辜宜乎天所奪將身寄沈沒不厭黃流濁瑞宜駕鹿車桑戶歸寂寞東華夢想絶北山雲林塞何知古箕都五馬榮還得民多受事繁豈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거래 당시 신구문기(新舊文記) 3장을 첨부하여 넘겨주면서 차후에 말썽이 생기면 관에 증거로 삼으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守玄公性嗜酒。未嘗乏絶。志體兼養。四十八庚寅。守玄公遘疾。百方救療。露禱星斗。竟莫能回。奄至皐復。攀擗靡逮。含襚襄奉。一遵禮制。晨夕哭奠。朔望拜墓。與弟敦齋必偕。膝處成坎。啜粥三年。腥羶不入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旣以充天之生。小子之知先生。何以答先生之知。但小子有子。子子及孫。百世淸議。當遞小子。而觀之爾至於哭。私之悲有淚如傾然。而有淚者皆是淚。則此非哭私也。哭世道也。無限此懷淚。且何洩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嗜若渴。已亦不自知其然而然。豈肯慕彼眼前之嗟譽。與夫身後冥邈不可及見之事。而弊弊然窮其一生哉。足下誠亦好此。惟無以區區自外至者爲念。並日用治生。一切不留心。閉戶覃思。讀書必審其旨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其當之。此吾門弟子之所相執酌以慶。而若乃富貴區區衆人之所慕以爲福者。不暇爲先生禱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性氣剛直。不混於側媚之態。識見高明。不溺於浸潤之訛。擩染庭訓。不求聞達。自庚戌屋社後。杜門謝跡。築一小舍於極樂江野之畔。蒔菊東籬。每詠陶靖節採菊東籬之句。與二三同志逍遙於其間。自處遺氓。戒子孫以忠孝。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其眞。身後崇褒。 聖恩優渥。錦谷之麓。過者載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其家。宜其孝子。不學而能。賦性終始。優爲人師。永傳百祀。凡厥後裔。先德是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奇絶之觀境。轉而路回。可作幽勝之遊。一掬玉瀑。坐潭頭而嗽。玉潭之稱果不虛矣。世間樂好水石。如梅月之淸流。嘗至乎此。以潭之淸。得梅月之題。未可謂不遇。然名不顯而晦者久矣。顯晦無乃數存者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居遐南。素無讀書修業之自力。而且氣質濁駁。視聽昧劣。年今三十。萬不成一。非徒抛棄。了好歲月。其奈皇穹所賦與性命何哉。或於靜坐之中。責躬奮發曰。天生烝民。性理之善。非厚於古薄於今。實於彼虛於我。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蓋子賤尊賢親友以成其德者也。今余讀許氏五賢實紀。益信聖人之言有以也。蓋雪巖先生諱紹道峯先生諱繼。兄弟師事河西先生。心悅誠服。有同七十子之服孔子。而如松江鄭文淸公鼓巖梁公錦江奇公壺巖卡公。乃其同門契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凜凜有生氣。迨晩歲。一命郞銜。有隕于天。而謂匪據。竟不就。以萬曆三十九年辛亥卒。距生嘉靖丁酉。享年七十五。府東海龍面美嶝坐酉原其永宅也。夫人坡平尹氏華擧女。育二男。長世榮次世國。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