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僧 德仁房外小溪頭古甃苔封一逕幽依舊萬年松下石客來終日聽寒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大胤 霽後靑山夕照微濕雲猶滿綠蘿衣東歸爲有花源勝白石巖流帶竹扉原韻 大胤一蓑煙雨細霏微野稻花香上客衣驢背夢隨驢背興片時先到竹園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識(4) 記曰物本乎天人本乎祖人而無祖氣血相通脈絡相屬誰可傳之有然則先祖有實行實德而后孫又有繼述之道然後是可謂有是祖有是孫矣嗚呼恭惟我先祖守稼先生之圽粤在於成化癸卯則距今三百有餘禩而所遺警咳藏之巾衍久未刊行其在繼述之道烏能免不肖之責哉挽近門戶衰殘有志未遑族叔志洙氏實主此事未閱月而功告訖豈非先靈陰騭之助如是速成乎不肖雖人微學蔑忝在雲仍之列略敍如右歲甲子二月旣望十一代孫生圭謹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尙賓【十九】(3) 因宮材船附三書姜宣傳尹惟淳行亦寄書其皆得見耶炎潦始捲盾威比劇念汝何樣眠食父侍傍依昨大小各安田野有大有之象汝等若於今歲復有悅親之事其喜何量此豈寒門所望汝以聰明之質杜門勤做講經必無難矣而若使妻家釀酒浸浸於酗域寧復爲人乎汝若惕念吾家之福如何兩湖方伯皆至切之友先墓之石先筆之刊先集之行此其時也仲秋稍淸當自完山轉向公山能如計乎惟冀勤做應擧以副遐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尙賓【十九】(4) 臘寒比嚴想汝何樣眠食每切遠懷父奉親依舊大小皆無恙但聞汝入京後處家多顚錯至於別置物私用來奴輩皆以爲慙豈料眉巖及吾先君之孫有此可愧之行乎愚妄之人自以爲賢自以爲智而皆人之所笑所羞之事至於固執不改不納忠告善導之言寧不傷心歲前下來之言是何言耶愼勿遽動先送一奴安心過歲後審知科期之進退因留或下▦爲可汝弟之婚頃日楊君時冕來約其兄正郞子升之女此意可及則言之爲可惟願好在得賢妻如此而不以和順禮敬爲心則老父之懷如何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詞(東陽申翊聖) 華國高才惜辭官隱德加煙霞曾遯跡詞翰卽傳家萬事都歸幻浮生便有涯幽音自湖海擧世共咨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詞(南郭病友朴東說) 五十六年同甲子每憑樑月慰相思可憐無病先多病安得新知似舊知羲獻風流餘寶墨海山松竹鎖臨池茫茫天道胡寧忍朝夕門閭鶴髮垂孝子深知父執悲一封千里乞哀詞江南水竹今無主海上琴樽已斷詩內史家傳推妙筆襄陽自棄枉明時凄涼三十前年事二百人中幾箇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詞(幼學李元冑) 公年一歲少於吾迨老衰强略不殊社櫟殘春餘幾日文星明焰惜先枯芳傳謝樹聯雙寶哺反烏枝見獨雛吳下陳蹤詩句在夢魂從此阻松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詞(延安李明漢) 南極文星動紫垣大爺詞翰萬人喧驊騮墜地能千里鸞鶴昂霄已九原玉板金書懸日月落花飛雪滿乾坤休誇羲獻傳神妙爭似君家父子孫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식재집(植齋集) 植齋集 植齋集 植齋集 고서-집부-별집류 문집 표점영인 植齋集 奇宰 石版本 식재집(植齋集) 3 半郭 有界 10行22字 註雙行 上下向1葉花紋魚尾 미상 미상 조선후기 문인 기재(奇宰, 1854~1921)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6권 3책으로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識(3) 夫先祖有仁知而不行者有之是未免於後孫不肖之責矣惟我十一代祖考守稼先生之純孝德行志操貞確烟村崔先生所述行錄三足堂金先生所撰碑銘諸賢之序跋纖悉揄揚不肖何敢贅說哉然所著遺編雲仍孱劣束之高閣迄今三百餘載而幾乎泯沒無傳矣若干鳩合繡梓頒行則吾祖在天之靈有若陟降庶或免后孫不肖之責哉不肖學文空疏識見茫昧豈敢泚毫於先祖之事不忍舍默以寓羹墻之慕焉歲甲子仲春初吉十一代孫相浩謹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金秋水【濟德】壽席韻 平生秋水軒瞻望。如雲端人卷中人。丙辰元月日。踏雪訪余於楓嶽山中。喜可知也。謹步其壽席韻。以爲送行之贐。聞君湯餠慶初晨。九五康寧一老人。爲問剡溪雪裡客。知應遼柱鶴前身。風塵逢別天將暮。湖海歸來歲又新。六十二年今始面。餘生會合幾秋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菴居。朴友而正見訪【三首】 石磴凌層路轉悠。感君見顧在山頭。當年我亦衆中客。此地誰憐方外流。只緣衰懒因成廦。一任風烟謾不收。多荷故人壺酒力。試將巾櫛更登樓。琴棋書畫㧾非好。無計能消夏日遲。隱几忘言僧是我。隔林人語客爲誰。一聲山鳥曛在戶。十里江烟暮上離。此地誠難有此夜。每同明月長追隨。迃拙如今世共知。一區雲物我衰遲。惟山無忤乃深入。與俗難諧不詭隨。庭爲盤旋原有石。屋便瞻眺本無籬。穹林自古多蹊逕。來者是吾去是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聾世亭【金敎俊】 澗陸歸來訪隱家。登登石逕自橫斜。金鰲山裡今宵月。晩翠亭前舊日花。有志多君恢地步。無聞老我飽聲華。楣題聾世眞先覺。到處逢人不敢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菴居自嘲 前身西域無量佛。今日東衆有腐儒。諸子覓糊因各地。病妻失樂忽中途。死生榮辱任蒼彼。山水烟雲始素吾。誰所挽歟誰所止。孤菴迢逓一長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文康公隱峰安先生附錄重刊所 竊惟文康公隱峰安先生全集刊行于世者悠且久矣而大碑文尙不入於附錄堪歎斯文之欠鈌也幸今儒論齊發而附錄重刊並續集編刊實爲後學之榮而斯文之幸也奚翹仰若山斗哉旣於邊兄時淵傳略悉而又承惠通文則斂袵向往者可擬於飢者於食渴者於水而顧此分薄者適拘私情難抽之境末由摳衣於斯文團圓之筵未得聞公正重大之論此心冲冲還切愧悚耳惟願永世保存不墜先賢遺蹟之萬一焉餘惟伏祝僉君子精一啇確俾完斯文重大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集聖祠儒會 崇仰綱紀之遺風者已久矣式遵鹿洞之院規不撤東魯之講聲實是金聲而玉振之也衰季吾儒賴而興起者亶在於此也顧此滅裂者猥蒙聽講之薦敬承來汝之敎是爲夙昔所願而適値生先考忌日有心未就感激之餘還切主巫恕此崇諒惟願彬彬多士利成祀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道峯祠儒會 方寒屋晴窓題本鄕筆巖書院春享祭官望帖矣際忽郵使叩門而傳一封書遂停筆奉閱則乃道峯祠享禮來汝將事之敎也感曾未入廟奉審而驚今不棄招敎也驚感交集罔知攸謝然而伊日丁亥與本鄕筆院同享日也顧此不敏忝在院任之末勢不赴敎心雖未安奈此何輒移筆上答惟幸僉尊十分諒下更定高明處爲要餘祝濟濟多士將事安享而俾扶一線綱常忽忽略此不備謝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