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霧沉沉中道失。筧泉潔潔末流淸。憂深㓒室同嫠婦。何以吾生負太平。人生戒懼怳如烽。夢覺關中見幾重。雲擁樹頭彈絮出。雨過庭角繡笞封。鷰窺古宇時時語。蜂立軍儲日日供。我界初移將爾界。四隣耒耟占登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遭先妣喪。痛隕罔極。而縷命苟延。年進業退。每中夜思惟。不覺愧汗。餘何盡溷。略此不備。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遭先妣喪。不能死滅。延過日月。免衰亦久。思慕罔極。復何逮及。近歲僑居于康津北。月出山中大明洞。身世益復棲屑。而雖或與村秀有所尋數。無異畫鏤。良可少也。道之云遠。邂逅難期。有時北望。只自悵缺而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通告道內文 惟我東土檀神舊疆箕聖遺黎忠良才智代不乏人典章文物世皆取法燦然史編垂至半萬年矣曁我朝鮮儒宗輩出忠賢繼作彬彬赫赫視古爲盛也不幸奸侫作孼島夷刼盟一朝竊柄呑嚙我疆土髠鉗我生靈當此時也紏義效忠者幾人從容取義者幾人丹心不渝熱血不冷悠悠四十年炳烺若昨日事及今天心悔禍頑彼驕酋慴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伏以情旣訴矣辭已竭矣冒煩狂叫罪添無狀然認之無狀不在於狂叫而在於蠢蠢冥頑少無人臣人子之誠不足以激感都台監仁慈明聽之下終不得早歸者也陽氣發處金石亦透至誠所激天地卽感認如有念君親忠孝之誠都台監豈不能感應而矜察也但轅門嚴肅如隔天上草芥俘賤因何控訴雖以都台監好察之明勢所難燭而未易回送者理之常也大抵認日夜哀泣者恐未及歸於霜雪之前尋見亡親白骨於草莽之間也朝鮮地勢山岳高峻自十月雪高三尺而正月始開若雪下之後則雖到故鄕豈能覓父母被害之處乎若未收拾又使冤魂慘慘於來冬雨雪之寒則人子情理寧欲萬死哀念及此不覺哽塞氣絶萬祝僉相國幸勿厭薄更加垂憐早議回送也自三月留滯歸心如矢日夜倍熾百病交侵殘命垂盡一死無惜而抑恐有不得聞君親之消息更此縷縷伏乞大君子惕然哀之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張都督駃雪齋書 朝鮮國高某再拜言伏念小生以三韓外一介書生受寡君之命將賀節之儀萬里滄溟一葦沆之免魚腹之葬履中華之土瞻天有日頓忘羈愁不圖頃者閤下專价慰問副之以盛貺閤下之待遠人至矣矧爾臺製雪齋集之貺尤是望表伏以讀之香生牙頰昔賢所謂誰信將壇嘉政外李陵章句右軍書之句嘗聞其語而未見其人何幸於閤下親見之當傳誇東國永傳大雅之音也不腆之物略具別錄惟閤下領其誠如何其中霽峰集乃先人之所撰也閤下一覽而賜跋語之奬使光生簡策何如且拙作詩文數度錄呈帳下不幾於觀海敢稱爲水而效顰於西子之前者乎可笑不自量也然匪曰能之願學焉惟閤下諒之趨謁面稟禮則然矣第於昨日已辭軍門今不可以再入城故書以陳之悚汗沾背赴京竣事之後歸期的在明春一承德輝何遠之有伏紙屛營言不盡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정애산(鄭艾山) 조선 후기와 개항기의 유학자인 정재규(鄭載圭, 1843~1911)로 애산은 그의 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先生年代夐邁然其根天孝友措泰勳業有若銅鍾磁鐵而共配於俎豆之筵者豈偶然耶及至撤院之後衆心齎鬱至己亥春設院于 院之舊址而將欲薦 享之翌年秋乃復循輿請建講堂於院前以爲鄕儒齋沐之所隷習之地則亦可爲士林之矜式而昭先啓後之志庶乎其不墜矣且忘牛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남계(南溪)라는 호로 잘 알려진 박세채는 조선후기의 문신이다. 그리고 산당집은 조선 전기의 학자 최충성(崔忠成)의 문집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鮮處士晉陽鄭公之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通諭事夫有姓之修譜亶出於昭系收族之原義而惟我 提學公派辛亥之家乘譜頗多漏落之人甲子之大同譜未得家家有冊是誠諸族之所同慨歎而且歲紀已週三十滄桑屢回百六死者墓木已拱生者童已抱子矣修譜之期亦云且晩咸願續修維新得以家家有冊其於昭先敦族之義庶有考據之無弊幸甚云故今於寅會僉議齊發玆定任員與規例略列如左輪仰惟願僉族斯速收單今二月晦日內無漏納單于席洞齋爛議開板事丙戌正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通諭事夫有姓之修譜亶出於昭系收族之原義而惟我提學公派辛亥之家乘譜頗多漏落之人甲子之大同譜未得家家有冊是誠諸族之所同慨歎而且歲紀已週三十滄桑屢回百六死者墓木已拱生者童已抱子矣修譜之期亦云且晩咸願續修維新得以家家有冊其於昭先敦族之義庶有考據之無弊幸甚云故今於寅會僉議齊發玆定任員與規例略列如左輪仰惟願僉族斯速收單今二月晦日內無漏納單于席洞齋爛議開板事丙戌正月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通諭事夫有姓之修譜亶出於昭系收族之原義而惟我提學公派辛亥之家乘譜頗多漏落之人甲子之大同譜未得家家有冊是誠諸族之所同慨歎而且歲紀已週三十滄桑屢回百六死者墓木已拱生者童已抱子矣修譜亦云且晩咸願續修維新得以家家有冊其於昭先敦族之義庶有考據之無弊幸甚云故今於寅會僉議齊發玆定任員與規例略列如左輪仰惟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難一朝洗。久則其中化矣。故與其化於俗也。無寧剛方而忤世。潔不渝。其內守亦善矣。是其心不能忘潔。孰如從容中正無意而爲之。昔陳遵以酒箴難張竦法度之士。竦以爲學我者易持。寒暄金先生嘗自號蓑翁。後易以寒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惟朝鮮國竹山朴公諱周鉉號松谷文承旨親卜壽藏於頭流西麓玉女峯右侍郞里。後公沒。公之胤海昌。一依遺命以禮葬之。旋築齊明室于墓下。以爲春秋亭祀之所。如甄氏之思亭。王邦義之春雨亭。抑公之自誌如趙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遭單嗣慘景。世問顧有完福者幾希。但有三抱。一冠二幼。是之爲慰。哀尊旣相知。故及之耳。適留月松。因便以奉紙上之唁。越海赴唁。旣不敢議爲。而夏間月松駕住。未及晉慰。追思爲罪。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十二時分日平生刻刻思坐臥增追遠悲懷異廢詩彦升吾晩友也以孝世其家肯構之善人稱其美山於背水乎臨天作而地秘自先蓋啓之矣鉅公題板歷錄如昨日多少亭榭不知有此否地固勝人亦賢事又貴豈獨所謂畀閑而已哉子孫有繼之者東南十步强披松刱亭永思名也上有山人皆曰佳勝公之思不爲此也下有江人皆曰淸絶公之思不爲此也坐於斯立於斯眼望而心思者墓麓在北風樹有聲公之思爲此而亭之所以號也時有自遠之朋來則江月滿庭山風動竹盤堆細膾爐照仙茶此復此間之不可無者也亦先志矣往來於其下者只見亭之爲美而知公之思者幾何生嘗過此者數輩王程有限今始得焉目之所寓便與遠不同浮生勝會眞有數也況主翁君子人也蓋不必曾傾卽與之如舊高其世悅其人忘我朴不文輒步板上韻公識我有誠又索記嗚呼得斯亭遇斯人猶不克信而竊喜姓名之留托倚馬揮毫留一乘夷時乙未立春後一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者長言也長言之則有聲取而比之律被之管弦可以考謠俗占王風故有取也若人云扣羽增智聞啇寡欲詩之時用大矣哉末學安足以知之故勿喜雕刻詩在淺深之外勿滯典故詩幷在契象之表予每慮夫爲詩者喜雕刻滯典故簿其所藏嘗告我中夏不若勤政事美風俗事依于忠孝語出于和平無意爲詩而詩自成焉詩道盡矣玆見朝鮮高使君詩亟爲申此義其先人霽峯偕二子戰死如卞成陽與使君皆壯元之望無韓昶之愧秉禮守義家世顯融曼緖所垂遙遙未艾所稱事依于忠孝語生于和平者也故其詩不爲奇麗自有眞意不爲曠達自有遠思薊遼行通之作神廟昇遐之篇玉河立春之什忠愛藹然古道繇玆矣其益以忠孝和平者求之政事風俗以弘中夏禮敎毗中夏威德以後屬千八百國向不絶有所吐屬皆播揚仁風予中夏且胥鼓之遠過漢慕德之歌不其都歟惟使君胤忠烈而有文采予爲樂而題之崇禎辛未春禮部尙書兼翰林院學士吳淞徐光啓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외교문서류

李鴻章이 임오년(1882) 3월에 조선과 미국의 수호조약 체결을 위해 작성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宥固是次第事當初臣宗人臣{玉+禾}上言時事當同爲陳達而其時事體之惶悚尤有異於今日者在臣祖未雪之前而以其子若侄幷爲陳達有所不敢焉及其採詢本家之日而亦未免倉卒疎漏此莫非臣等不肖無狀愚迷孤陋以致孤 聖意而慢祖先也滿心慚恧何可容言哉臣旁祖之子修撰臣瀹當其禍作之際收繫獄中竟以同年八月栲死而其侄衛率臣澯初在昏朝聞其廢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