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퇴계 으로 검색된 결과 119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안동 임하(臨河) 출생이며, 퇴계 이황의 문인이다.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 1540~1603.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以其事로稟據倫紀하야申狀卞之나事久滯未決이러니金鶴峯誠一이荏州에燭其僞하고斷之曰世之爭頌이以利而君等所爭은爲天理하니君等眞義士也라하고心許之하야與爲之交하니라城西大谷洞에創書院하야俎豆寒暄一蠧靜菴晦齋退溪五先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於明廟之喪。 不待國葬而退歸。 文定王后之喪。 亦不赴哭。 至仁祖之喪。 前銜之官。 莫不赴哭。 或有不赴而獲譴者。 孝宗之喪。 一命以上。 雖在散班。 莫不奔赴。 仍成規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曰古書有長國家三字。而其正以長益解之。蓋長益云。則似貼下句。然未敢質言。他章略言之。而此章特詳且盡云云。明德新民不止於至善。則不足以語明新。故旣備言止至善之理。而又引二詩。分言明新之止至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둘 다 퇴계의 토인데, 한강(寒岡) 정구(鄭逑)는 후자가 뒤에 단 토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戊辰九月丁卯夕講啓曰光祖天禀秀出早有志於性理之學中廟求治如渴將興三代之治光祖亦以爲不世之遇與金淫奇遵韓忠等相與協力同心大有更張設立條法以小學爲敎人之方且欲擧行吕氏鄕約四方風動若久不廢治道不難行也舊臣之見擯者失職怏怏百計伺隙構成罔極之讒一時士類或竄或死餘禍蔓延至今士林之間有志學行者惡之者輒指爲已卯之類人心孰不畏禍士風大汚名儒不岀職此故也上日弘文舘議追削南衮等官爵此亦何如也啓曰己卯之禍正由南衮沈貞之奸而終爲中廟之累可謂罪通于天上意以先朝大臣追削爲未安意甚忠厚然衆論所啓乃彰善癉惡之事褒贈光祖追罪南衮則是非分明也命收議於大臣令弘文舘兩司政院各陳衮罪狀遂奪袞等官爵【出退溪年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우리나라가 고려 충렬왕(忠烈王) 이후로 본조에 이르기까지 오래도록 오랑캐 원나라를 섬겨 머리 깎는 풍속을 바꾸지 않았다면 정암, 퇴계, 율곡 이하의 여러 선생들도 또한 반드시 의심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萬一有虞, 其必有慷慨激昻爲國之光, 以追繼前人之風烈者, 諸章甫, 其各勉之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生理便息이라하야終日儼然하고造次必敬에令人起畏러라己卯後에道學이衰微而公獨収攬才賢하야孜孜講磨에斯道復明하니其及門最著者난金惕菴謹恭徐孤靑起朴退庵應南鄭南峯芝衍尹梧陰斗壽李坡谷誠中李鷺渚陽元奇高峰大升也라退溪先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星州李氏德編序, 黙菴遺稿序 卷 4 記 : 省泉講堂重建記, 道峰祠重建記, 松山精舍記, 鄭氏永慕齋重修記, 李氏聿修齋記, 羅氏如在閣記, 崇陽祠記, 永思齋記, 晩香亭記, 追繼齋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을 계승한 스승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의 학설을 이어받아 주리(主理)에 입각한 이기설(理氣說)을 주장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正三十日拜議政府檢詳陞舎人兼春秋舘編修官二十年宰丑中宗大王三十六年先生四十四歲三月二十一日拜司憲府掌令○四月二十五日拜弘文館校理兼如故○賜暇湖堂堂在東湖乃國家儲養人才之地極選文學之士以充之輪番讀書與其選者榮比登瀛先生與退溪李先生河西金先生及林錦湖亨秀鄭林塘惟吉諸公修稧讀書討論性理之學有湖堂修稧錄及失鶴唱酬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証第八右完文事段扶安士人崔鳳煥十三世以下繼葬數百墓之地在於本縣席洞山西一麓無弊守護爲四百餘年而昭載於金譜及邑案矣粵在百餘年前縣人金達壽等以崔山局內自古諺傳一大竹墳謂渠遠祖少尹失傳之墓而始自尋護此雖未能的知其墓之眞贋而渠旣稱渠祖之墓則祗守其墓於理當然不意去庚申年冬達壽之後孫金邦濟弘濟等敢生壑慾暗圖京兆關文欺瞞營門而發賣松楸奪燒文蹟酷刑四人兼奪山地潛掘年久七塚則崔民兩次鳴金至蒙截嚴之判敎被掘之塚還爲封築山地松楸始得還推啓下一律罪人金邦濟止爲久囚弘濟等皆爲定配而見斫松楸姑未推価囚竄諸金族卽蒙放可謂於渠則幸矣而至於崔民被掘之寃尙未快伸況此四百年禁護之地及屢萬株連抱之松一朝見失於讎人之手其所血寃容有極乎凶彼弘濟等素以蔑法流甚至於天聽文字亦皆誣罔以私掘七塚一曰崔塚六曰古塚云究厥所爲死有餘罪而不遵啓敎之嚴重不有營邑之査決藉渠吏族之權恃渠賂囑之勢而以啓下還封之塚謂之以私封更欲謀掘以啓下還推之地稱之以渠山而渠亦有完文云此是前前官見欺暗造者也且其後以爲道査至於上徹始爲歸正則此文將焉用之乎每率無賴更斫餘木甚至於旌閭前各種屢百年古木近又亂斫謀毁旌閭墓幕內懷都占之計外做定界之言果欲定界則所謂少尹墓前後左右皆是崔塚則何以定界乎强欲定界則此亦法外之悖類抑亦化外之亂氓大抵累百年守護之地忽於一朝圖奪凶習旣至此極而亦將越視則民何保其先塋國安用乎定法蔽一言旣有啓敎之鄭重且有營邑之斷案則山地松楸專屬崔民所謂少尹墓則使金守護事合穩當矣自今以往山地松楸永屬崔民雖一片土一箇木莫非崔民之有則金民更不得犯着之意成給完文日後諸金中不悛前習若更起鬧則非徒荷杖且係不法以此文永久遵行宜當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도산에 있는 퇴계의 암서헌(巖棲軒)과 화양동에 있는 우암 송시열의 암서재(巖棲齋)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所謂。非歇后看。則非歇后。正在此等處。今人眼目。滯於辭句。不知辭句上面。有一段冲融意思。故有此云云。且猗猗之竹。何關於止至善之義也。詩云於戱。前王不忘。君子。賢其賢而親其親。小人。樂其樂而利其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始於退溪栗谷諸先生之世。而一宗朱子。異說不得間焉。一言一行有違朱子者。則駁斥之之不容。遂爲儒者世守法。後賢輩起。仁知異見。各立門戶。互相排擯。至于近世而益甚。蓋其始之主理者。一轉而兼理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沙溪。皆以祭奠爲言。而曰不得。不服其服而行其禮也。愚所謂恐合於退溪之意者。以此耳。若常居。則己行己事時也。恐不可曰代父而常居也。更以見喩也。大抵兄我所聞。不同如此。必有一誤。而今稟質無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集 卷19 答黃仲擧 別紙》 화학산(華鶴山)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우치리와 청풍면 청룡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산세가 학이 날개를 펼쳐놓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衍泮中至今賴之其爲敎必以孝悌忠信精思力踐以至高明正大之域階級不紊本末備具訓迪後生寬而有制人有過輒諄諄譬曉改之乃巳士以此益附之其在相府能謀善斷且有鑑識奬拔尤多文章淸勁可觀不以是自名焉晩年常掛晦庵眞晦軒之號所以寓慕也蓄古琴一張遇士之可敎者輒令操之以都僉中贊致仕忠烈三一二年丙午九月十二日易簣年六十四諡文成道德博聞曰文安民立政曰成及葬七管十二徒諸生皆腹▣王命寫眞置文廟中忠肅王六年己未從祀東廡入本朝太宗大王下敎曰安某子孫永勿屬軍役以表乃祖之功周愼齋世鵬守豐基卽先生講學之地創書院退溪先生增定學式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퇴계고봉왕복서, 최상중의 대책문, 성학십도 등이 많은 양을 차지한다.

상세정보
1198
/6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