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차후에 시비가 생기면 '표(票)'를 가지고 약속을 증빙하라고 하였다. 하지만 본 약속 문서를 누구에게 써 주었는지, 내용이 무엇인지는 알 수가 없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뒤에 이 논에 대하여 말썽이 생기면 이 문기를 가지고 증빙하라고 하였다. 증인(證人) 겸 필집(筆執)으로 임희복(任希福)이 답주(畓主) 김기하와 함께 거래에 참여하여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매입자에게 구문기와 신문기를 함께 건네 주었으며, 차후에 만일 이 논에 대하여 문제가 생기면 이 문기를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신문기와 구문기 등 모두 7장을 매입자에게 건네 주었으며, 차후 이 논에 대하여 분란이 생기면 이 문기를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죽전주(竹田主) 유학 정현만이 이 명문을 직접 작성하고 착명(着名)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밭 주인 유학 김수곤이 이 명문을 직접 작성하고 착명(着名)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城居幼學徐永修右謹陳所志寃痛事段本縣曳山面沿江十餘里有一帶柴塲壬子爲始自面中定爲巡山衆力守護每年發賣補用民役以其餘剩買置田土落只數石是加尼昨冬良中奸鄕鄭仁國張啓宇奸校呂善黙訐告官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술이 익을 무렵 쌀알만한 녹색 기포가 생기는데 그 모양이 마치 개미가 기어가는 것 같아 이를 '술개미'라 하고, 그러한 술을 '부의주(浮蟻酒)' 또는 '녹의주(綠蟻酒)'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說書晟曾孫】安晩遇 【字文卜 號 竹山人 文惠公元衡后】李重明 【字士晦 號 咸平人 正郎忠禮曾孫】陳大裕 【字沃汝 號 驪陽人 處仁子】鄭始桓 【字宗叔 號 晉州人 湖山慶得玄孫】鄭聖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天下之樓觀堂舍未知何限而山檻水榭之世遠而邱墟者風欄月軒之年深而頹圮者其間重修改建之役有能有不能有能者不足爲聲敎之幸有不能者亦不爲風化之不幸至如夫子廟側有堂明倫其命名之義非比與尋常樓觀汗漫堂舍而止矣今若以其頹圮者得以重修則豈非大有關於吾人之幸不幸乎何則倫常也明著也在天有五星在地有五行在人有五常天之爲天非五星無以象矣地之爲地非五行無以成矣人之爲人非五常無以立矣故五星失次則天道有咎五行不調則地道有愆五常不明則人道有蔑此固軒天地亘萬古不可渝之一理也爲堂之名顧不重且大歟然則此堂之存與天地同其極與吾人同其久吾人未泯之前此堂固不可廢矣必使隨毁而葺因創而重以至乎無窮期不其幸乎況我國文明之治郁郁乎彬彬乎自三韓以來莫之敢比隆者蓋益明其倫常而然矣乃玆本州沛鄕也校宮規模制度與國學相倣不幸頹圮傾側而事巨力線未遑重修之役爲一州之大欠典通判李侯一榮下車之後以是爲憂與州之章甫經營謀爲至及數年乃捐廩蠲俸殆千有餘金不大煩民力而先自是堂而始以至聖殿賢廡又至乎啓聖其祠不越年而功就完猗歟休哉夫子墻壁煥然改觀群哲位版乃得其安明倫其堂豁然一新吾人之幸莫大乎是矣顧何等曾比於泛泛樓觀堂舍重建之幸與不幸乎友人李煥周族姪李錫采時在齋任之列亦幹校事請余記重修顚末余不可以辭拙辭在昔校宮移建之時二樂堂李至道氏實主是事今又其後孫煥周繼有功於重修之役且念我先祖西歸先生粤在崇禎紀元後甲午之歲撰重修記是不偶然矣不肖余不避續貂之譏記之數行以爲人一笑之資噫夫何挽近來倫常斁晦罔念入孝出恭不能講明五常之德而徒歸於堂自堂倫自倫可勝歎哉今因落成而設鄕飮之禮使嗤嗤貿貿之俗覩髣髴於先聖遺儀者亦可幸矣自玆以往吾黨之士爰處是堂以明倫二字講之又講明之又明幸不負堂之名庶乎其可也歟崇禎後四己卯五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撰莊陵自靖之臣世皆稱生六臣朝家崇報後賢表揚一國誦之而惟遯壑宋公所誌所行實無異於生六臣而湮沒四百年褒典不行論撰不及慕公者恨之然亦何害於公求仁無怨之地也哉公諱慶元礪山人系出高麗進士樞密院府使惟翊侍中貞烈公松禮以忠勳顯公之七世祖也高祖諱之成中郞將曾祖諱嵩繕公監令祖諱得忠贊成考諱致善郡守妣延日鄭氏有懿行公幼時志氣已不凡及長敦于孝友篤於學問爲士友推重端廟癸酉文科官至全羅都事丁丑聞端廟遜于外也痛哭欲絶與從祖兄西齋忠剛公侃詣上王行在所終日大哭守卒欲收之有一老吏謂守者曰汝當守其所守而已柰何欲殺忠義人乎守卒乃止還礪山杜門不出及聞上王薨又與忠剛公入鷄龍山同梅月諸公奉御袍祭之終服方喪三年移居于任實西新安伯夷峯下或登山而哭或臨水而歌時人目之以狂叟以遯壑揭亭號自誓以生爲山中人死爲山中鬼與西齋及答佔畢秋江諸書公之所志槪可見矣公以中宗庚午卒距其生己亥享年九十二配江華魯氏掌令止仁女克配公淸德一男世長主簿世長三男處欽處明順陵參奉處文直長參議韓傅主簿女婿也處明男平贈參判女適參奉尹遇湯縣監金宗福次朴承成處文出允贈參議允之子奉事應秀餘不盡錄公之墓在任實縣東聖壽山明德峯下枕艮原士林妥侑于新安祠又追配于肅慕殿竊念君臣之義無所逃於天地之間爲人臣而當革命之際當死則死或不死則自靖而已死生雖不同其惻怛之心未嘗異也公之終身自廢遯其跡而泯其名者只求吾心之所安而已其淸風峻節足以廉頑立懦而又得忠剛公於同堂至親聯芳齊美吁可盛矣今後孫晚浩麟浩等謀樹顯刻送鎭南謁余以銘余之所遭尤有甚於公者乃慨然不辭而爲之銘曰旣歌而哭人謂之狂有薇可食我思其淸身則自廢寔扶綱常莫曰沈湮百世流芳公自不朽何待揄揚托名爲榮揭此銘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萬曆三十年壬寅冬知今書舍成學者五六人綿力僝功亦非偶然矣梯谷舊無書局子弟生而不知學者多焉李君景引居家晩年授職不仕有來者親屬數輩無館可接同爨而敎之者已有年矣經營之謀實由於此而有志竟成其亦幸矣自今以往只在學者立志之遠近用力之勤懈而堂之興廢係焉知今之扁正學者所宜致思焉抑嘗思之朱子在南康以唐人李渤之居爲流芳之地就建書院古人景賢好德之心於風聲所樹之地特爲之眷戀焉今於是乎爲藏修之所而不知曾有行誼之表著者始居於是可乎里乃古居寧地也麗末門下侍中李凌幹嘗致仕焉公麗之忠臣也忠宣王嘗以幸姬賜侍中公置之別室莫敢犯久從忠宣王在元爲盤纏別監同事者皆致富公獨淸苦自勵冬月破衫單袴不私一錢及王竄吐蕃公懷金潛附驛吏獻王王及從臣賴以不乏王薨奉柩東歸號呼跋涉勤苦備至入我朝我曾祖諱旱雨卽侍中之外玄孫也天性孝友監司以聞曰某孝友特至頒令前自設家廟制度一從朱子家禮當祭必哭泣盡哀事死如事生鄕里取其成法成俗之效現著忠臣出於孝子之門敍用何如特授承仕郞豊儲倉副丞其終也且以奉先厚倫之意嚴條訓以遺子孫累世遵奉人稱禮法梯谷後復有相繼以文顯者將大振家聲不幸皆早世如吾無行者墜失遺訓何以昭其光後生耳目之所未逮久矣玆敢錄而示之庶幾無悔於當初擇里之不暇也景引旣取晦菴規訓揭諸窓壁若予者老而無述不敢迂引聖謨不揆言耄爲自邇自卑之地爲諸生告焉世之學者專事科文猶未免困於場屋者亦是知見未到不中掌擧者之意也若要知見長進必讀經史子書淹貫體認世道汙隆人事得失了然於胸中然後爲文以應之則非但決科之利實乃遠到之需也不然剽掠裝綴以覬僥倖者擧子中最下者也諸生年富力强不爲則已爲則必要其成毋負父師上帝臨汝旣作長句一律因爲之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恭惟聖上使閤下暫撤論思觀兵于領南者其意切矣南方兵勢及生民消息曲折閤下詳得聞否閤下今日此行實關恢復伏願垂察以達于殿陛何如嶺南則已矣一望空虛無復着手處所恃者湖南而亦自變生以耒困於兵粮加之以殘酷之輩以辨事爲能必用軍律如南原全州雄富之地亦皆蕩然無餘十室九空言之於悒此則聖人未如之何矣請以兵勢言之老生起兵從征歲已經矣慣見兵勢則軍律不嚴嗚呼古之帝王及良將視民如傷至於軍政則莫不嚴明而少不容貸故軍勢聳動將有殉國之節卒有敢死之心重寡不足道也田單之復齊城我太祖端川之戰亦可見也兇賊經年不還又有不測云云者知我國無可畏之將亦無可畏之卒謂我國如無人焉耳噫如是而邈未聞軍律之改紀歲月逾邁因循依舊爲將者不肯爲戰爲卒者必以逃潰爲能事元帥每添兵於諸將而逃潰者居五分之四諸將只有虛簿將亦百般稱病必有安享之計況巡邊使李薲左體不仁運動非便全羅兵使宣居怡逢丸重傷不能行步以此諸將有索莫之氣士卒無鼓動之勢此將奈何伏惟閤下星火馳啓退兵之將必用連坐之法潰散之卒必用收孥之律令將卒皆知必死使之齊力合勢知進而不知退精兵落漏不抄守令早晩現出者及精兵代身者亦以重律治之且軍令必出於一而無節制紛擾之弊而後軍勢振動而國讐可復掃蕩可期矣且聞癸未以後出身武士皆一國精兵也而厭其赴戰皆圖閑歇之地朝廷不知去處備邊使亦不知去處各陣精兵無一人可稱此亦何事也不過苟且之習盛行而嚴明之政不行將相不致力於國事故也老生仰陳狂妄必以爲迂闊而提殘卒在諸將之後目見軍勢不勝痛憤敢冒嚴威幸勿以狂疏而斥之我太祖大王隨州之戰蒙兵七萬我國兵三千諸將皆以爲衆寡不同不如退陣賴手下老將二人敢死之勸終能大捷蒙軍僅以五十騎遁還老將今日之請安知不爲萬一之補乎伏願閤下諒採並爲轉啓千萬幸甚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萬殊一本賦 堪輿廓而無垠兮化欛流而莫測圖書出於河洛兮聖人觀而取則奇耦錯於經緯兮數互衍於五十一陰陽而謂道兮善與性其相緝究物理於厥初兮觀萬殊之一本一理分於品類兮爰極大而極遠彌六合而藏密兮誕無外而無內以一元之沖漠兮育萬物而不背因其材而必篤兮或傾覆而培栽縱曰齊賦於一氣兮有人物之不同旣有氣質之通塞兮察化之不窮克觀夫保合兮又可覧夫林叢羌察鱗介之絶殊兮有祼甲之相合儘吾家之類與兮莫不二氣之縕絪兩體分於理氣兮萬類生於二儀互根柢於無睽兮乃無形而無爲元氣之升降飛揚兮竗合二五之精欲察主宰之撰兮浩浩而無臭聲通血氣於玄黄兮爲同胞於八紘噫取譬於一木兮衆枝葉而同根百波通於江漢兮萬巒宗於崑崙近取觀乎吾身兮萬事出於一心建三極而參贊兮泰然天君之儼臨戒懼約於靜中兮謹獨精於動時無偏倚而致中兮感應通於所隨感若父而忠孝兮應長上而悌敬恩愛推於一家兮仁慈及於百姓雖曰名目之不同兮蓋是出於吾性惟至誠而盡性兮莫如循其天命彼墨氏之二本兮遁繩墨而背馳惟桀紂之亡心兮嗜朋淫而自恣彼老莊之荒誕兮以仁義而謂邪歎跖蹻之鄙吝兮捨丹田而不治背其德而乖錯兮頓然負帝裏而不嗟夫道德之大兮峻洋洋而極乎天曰禮儀與威儀兮有三百而三千好諸心而致知兮窮萬理而推源旣知大本立於物初兮信千兒與萬孫成圓方於上下兮爲品物之父母沿流而溯原兮一以貫乎九有極微竗而幽賾兮準象數而下手洞無毫累而守一兮恐此說之謂荒爰敷陳而作歌兮庶有補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云云三綱之中苟有一焉士林薦之朝家褒之況一門之內夫孝婦烈者乎卽聞道內高敞郡雅山面上甲里故士人姜隨欽晉州人卽大提學通溪諱淮仲后壽陞嘉善海重子也自幼孝友根天甫八歲就學不以世俗雜戲寓其目動止有常喜怒不形隱惡揚善爲心法養志養體一無違禮慈疾數歲心憂色沮只以問醫劑藥爲事晝宵待側大小便褻衣痰涎汚器等物躬親澣濯不委婢僕疾甚大便不通吮以管嘗以驗三個月如一日臨終裂指垂血回甦數日及喪哀毁隕絶柴毁骨立晨夕省墳不避雨雪或有雜草汚穢等物必手自掃除用刀芟夷過哀成疾其妻密陽朴氏淸齋審問后都正淵浩女年十六而嫁仁孝淑哲有女士風善事舅姑年二十六夫有貞疾百方治療竟至不救臨終遺戒曰老舅在堂二孩在褓吾歿之下須勿下從如吾在世云云而逝哀極氣絶決欲下從以夫遺托幾死更甦是夫是婦孝烈雙全曾有面鄕薦狀而不幸於回祿之災云則是孝是烈不可泯滅故玆以仰告幸須同聲樹風之地幸甚千萬右敬告于京城府經學院僉座下丁卯九月日全羅南北道儒會所多士前參奉金容洵朴熏陽李喜鳳進士閔泳碩朴魯楨進士朴海龍鄭雲集吳學根全州朴源奎黃義贊南原安秉鎬尹柄直任實金聲基韓喆敎泰仁金廷述權寧謨井邑柳厚相在敎宰古阜金煥鳳柳仁澤興德李棕九高舜鎭茂長鄭謙洙金箕現扶安崔匡煥金昌吉金溝崔世鉉金堤趙漢鍾萬頃李周衡沃溝申彦德臨陂李權濟龍安林泳鎬咸悅林魯一益山蘇晟奎礪山尹和重高山具然彰珍山趙炳淳錦山吉相睦長水金淑權龍潭黃大炫茂朱金永祚鎭安金永鍾雲峯吳南在淳昌楊炳俊光州高維相羅州林世奎長城金堯益昌平鄭弘源潭陽金永稷玉果尹漢燮谷城吳基俊求禮李炳浩和順曺基煉同福金胄洙綾州梁會奎寶城安極樂安裵永柱高興申瑞求順天趙永薰長興白珂寅康津趙昌九海南李奭鎭靈巖愼宗鳳南平任漹宰務安高誠柱咸平尹鎔炳靈光姜永寬光陽徐詳欽麗水閔泳輔高敞曺錫儀柳殷圭金喜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伏以臣以無似賤品濫叨異數首尾四載一例違傲非敢苟爲飾讓也誠以分不敢當耳宮銜幸蒙鞶褫而兩筵職名尙縻身上不進不退無義無倫臣之罪戾於斯尤大揆以常憲終難倖逭而聖度包容反加收用意外特除已極悚蹙而又未幾何臺憲新命忽下於田廬之中十行聖諭丁寧懇惻以其義則丘山猶輕語其恩則河海亦淺臣雖至愚亦具彝性豈不欲感激圖報而反而求之實無寸長顧其玷名器累聖簡誠如從前所陳矣臣何敢徒懷榮寵不自量度而冒承非分之洪私也噫自古人君欲致在野不仕之臣勤勤招徠者此必望實俱隆足以扶顚持危爲國家世道重爾今臣之才之學萬無近似於此雖方立朝從仕固當亟行退黜以懲尸素而必欲召致朝端若將有補於聖治者誠不可使聞於後世矧玆臺閣之職卽淸朝耳目之任也拔之格外其簡尤嚴歷數往哲之膺是選者果皆何等地望而今乃擬之於臣身聞命惝怳誠不知我殿下奚爲而有此擧也臣每奉恩諭輒以臣爲先正之後而責勉不已此殆殿下以臣爲或有得於家庭緖餘而臣實庸陋上欺君父下忝先故益不覺顔騂而背汗苟使臣欲追先臣之志固不外於明天理正人心而已見今天理之晦塞人心之陷溺果何如而臣是何人敢有一分擔夯之望乎臣進無可行之道退有自守之分區區迷執竊自附於虞人不往之義冒死仰籲于宸嚴之下伏乞聖慈俯垂諒察亟將臣前後所叨濫職盡行鐫改仍命銓曹勿復撿擬俾得以廛氓優游田間歌詠聖澤實覆載生成之賜也抑臣又有萬萬惶縮者月前以春宮痘候康復匪頒之典猥及賤臣夫賞者所以酬勞也臣跧伏草野初無微勞之可言豈敢與夙夜保護之臣混被分外之恩哉臣久叨宮僚莫効涓埃慶賀之班亦不能伸懽抃之忱罪固深矣賞於何有義所難冒故敢因縣道轉達情實而承此安心領受之敎滿心慚悚益無所措伏願聖明更賜財處以重朝體千萬幸甚臣無任瞻望祈懇之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만약 이론(異論)이 생기면 이 영수증으로 증명하면 좋을 것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거래에 관련된 본문기(本文記) 1장을 첨부하여 나중에 만약 자손들 가운데 말썽이 생기면 증거로 관에 제시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顧此鯫生氣偏質駁。縱加已十已百。猶不可俯就冀及。矧復投在窮山樵牧。見聞儱侗。不克負荷。終違庭訓。繼以十寒。迄負師敎。皓首發歎。似爭十年氣息。然而懶散固其習氣。安有勇革猛進。俾有掌摑棒條之痕血哉。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