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퇴계 으로 검색된 결과 1357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先生後孫。故殉義承宣響山公之胤也。蓋響山公之炳炳義理。與日月爭光。先生。夙已擊節歎尙。其胤之志節學問。從昨冬嶠行。已欽艶之。方抱其考之遺蹟。願得先生之筆。圖不朽於來百。血腳趨造。仰認南蘭北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高峯書院請額疏會儒生書 辱報書至如接僉儀坼緘三復披慰滿襟但來示以高峯先生書院請額疏草內只書故大司諫不書功臣贈職爲未妥焉無乃諸賢思之不深耶退溪先生遺誡只以退陶晩隱之號書於墓石蓋古之君子以官爵爲外物而道之所在位秩崇卑初無所輕重於其間故也疏草竊念之下但書先正臣某亦可也而揭出大司諫三字亦未免隨俗諸賢必欲盡書先生身後之爵號無乃贅乎僕近來託身辭鄕精力疲憊晝則應接人事卒卒無須臾之閑加之以女病殊重方寸憂撓念不遑及於他矣然搆疏草之時正衣冠明燭端坐靡敢有懈怠意何者上則爲告君之辭次則爲先賢之事豈容不敬夫如是故文字雖時或有蹇拙處若其大體則皆得其正頗明白而無遁辭矣願諸賢相信而再思幸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游軒先生以乙巳名賢爲後學所尊慕若其至親而爲高弟者有晩軒公之賢今數百載之下觀其咳唾之遺在簡編使人可無興感者深乎公當賢士憯禍之餘以士趨之乖方極加傷痛益自惕勵專意窮經甚見重於諸名碩如退溪文純公之所稱奬高峯玉溪眉巖之所推許盛矣哉儘可謂見木而識山也文章在公爲餘事而詩文若干篇實有以見其襟韻之淸灑辭義之精確矣素履雖自韜晦而遺蹟豈可湮沒哉今公雲仍之裒稡編摩以圖其繡梓而壽傳者不徒以格調體規之可諷玩也歟余嘗爲游軒集跋文而竊有欽歎於淵源之正矣今於公益信其邃學實踐有所受也噫晦翁所以序諸賢之文而必先序其爲人者斯可以爲準而顧非蕪拙之辭所能闡發人之覽斯集者一閱其附錄諸篇則其於實蹟始終可得瞭然而益復有味乎詩文云爾崇禎後三乙丑維夏德殷宋煥箕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摭錄 燕山朝寒暄堂金先生宏弼梅溪曺參判偉倶謫昇平西溪之畔聚石爲臺是曰臨淸梅溪名之而爲記今六十餘年矣擬摹入石石品頑缺不能刻只刻臨淸臺三大字于前面乃退溪李先生滉筆也書此文者進士鄭沼也蕫是役者進士裵璹也太守則東城後學龜巖李楨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뜻이 …… 것이다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권16 〈답기명언(答奇明彦)〉에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아들 위(渭)는 단성현감(丹城縣監)을 지냈으며 박학다식하고 재간과 도량이 뛰어나 당대의 학자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과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예를 들어 본서에 실린 "퇴계금강산운(退溪金剛山韻)", "송시인영차 의재허백련설(宋詩人詠茶 毅齋許百鍊說)", "한석봉금산시(韓石峯金剛詩)", "송우암금강시(宋尤庵金剛詩)", " 매월당한계사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集。已例證之。倘擇狂否。年譜與哀執。諸公會澹軒。商訂而未遂。故更加增刪。送松山請校待其來。當復上軒中取舍惟竢。共公確論矣刊文是斯文大役。如哀執與李玉山俱居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改議邦禮。而梧陰讚以邦禮改正。千載賴之。鄙之憤奮。固莫擬於退之德學。而執事交契。反出於鮑之情誼下乎。今亦非敢自疏。只願聞精義高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所詢退溪所謂本有之善。謂之本心。本然之善。謂之良心云云。竊意本心良心。同一地頭。恐不必異看。如何如何。靜中有動。晦翁有三說。一以理言。一以知覺言。一以敬工言。蓋三者。固皆同謂靜中之動。而以知覺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沈潛乎退溪學問。講明乎栗谷理氣。文之以沙溪禮說。確立乎尤菴義理。則亦可謂成人矣。但求之不敏。行之不力。踽踽乎尙未有進。伏願時賜藥石。終俾造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若趙月川之於退溪先生事。儒道全盛時。猶爲之難。況如今之日乎。人人知師道之爲重。事師如斯人則。斯道幸甚。世道幸甚。隆熙紀元七十二年戊午正月下澣。後學金鍾淵謹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若趙月川之於退溪先生事。儒道全盛時。猶爲之難。況如今之日乎。人人知師道之爲重。事師如斯人則。斯道幸甚。世道幸甚。隆熙紀元七十二年戊午正月下澣。後學金鍾淵謹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先生後孫也。字致穆。早登文科。累經淸宦。至於緋玉。風流儒雅。爲吾黨之望。年間寓居於大邱府。蓋隱市之意云。其次韻。五月間來此。而今玆付去。未知其果合於盛意歟。以愚見。意眞語新。似道得十分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先生之道學。得於殘編斷簡。不惟當時諸先生之言。昭載史冊。況聖墨遺在。烟若丹靑。則汾川氏獻玉之計。終未免刖足之歸。徒知其尊祖之爲榮。而不知其反陷於誣先之爲罪也。昔楊炯之麟楦。世皆唾之。王允之論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暄靜晦退諸先生之門當時豪俊之士齎質請業答問酬應如宋之伊洛關閩故事而梅谷先生裵公其一也公早遊晦齋先生門得聞爲學眞詮及升庠抗疏斥妖僧普雨退溪先生嘉之薦除昇乎敎授到府與李侯龜巖楨創修景賢堂臨淸臺以其金寒暄曺梅溪兩先生謫居遺址也旣懲乙巳酷禍不求聞知與鄭菁遊沼許江湖淹鄭圃堂思翊唱和講磨人稱昇平四隱郡道諸章甫薦狀次第聯翩公力止之竟不問當世事以終嗚呼公之藴抱虞玉溪所撰墓誌足徵百世復何加贅有遺集二卷藏于家間經回祿收拾爲一卷刊行于世寂寥數篇不足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蓮學舞寕將尋帳客聞琴直欲伴詩仙憑渠不問乗軒事却恐含羞傍侍筵附元韻 忍齋洪暹秋風直欲度長天誤落西清古沼邊便覺素翎勝白雪更將丹頂闕紅蓮未忘華表當時活曾化蘓耽舊日仙謫墮人間渠不俗蹁躚當傍草綸筵次韻 退溪李滉誰遣丈人墮九天絲寒縈足繞欄邊戱遊爽地寧同鶩驚報寒更欲替蓮閒裏好隨鑾殿客夢中眞見雪堂仙凌風一擧尋無跡遼海茫茫月滿筵又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前面)請褒崇啓 戊辰九月 退溪先生 啓趙光祖天禀秀出 早有志於性理 居家孝友 中庙求治如渴 將興三代之治 光祖亦以爲不世之愚 擧金淨金湜奇遵韓忠等 相與協力同心大有更張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必不合於尊門閨範矣 周切溸仰不任騂顔耳 弟蟄伏殘狀 無足奉溷崇聽 而惟幸各家粗遣棠底吉禮 業已過行 郞才與凡節極稱 以是爲近日滋况 但先兄之思 輒發於邀送之際也 斯文大擧近發於花府 普合之後 將以明禮刊出退溪先生書節要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병명(屛銘) ≪퇴계집≫ 권44에 실려 있는 〈제김사순병명(題金士純屛銘)〉을 가리킨다. ≪학봉선생문집(鶴峯先生文集)≫에도 보인다.

상세정보
1357
/6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