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沙生奇宇萬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慶尙道儒生臣某等誠惶誠恐頓首頓首謹百拜上言于主上殿下伏以闡學明道聖王之治化也崇德報功昭代之令典也至於我列聖朝以來一有明聖學闡斯文之賢則或躋廟而腏享之或建院而妥侑之又從而賜額賜諡之凡繫倡學扶敎之士輔世立節之賢擧皆闡揚之褒美之以啓我億萬年無疆之基猗歟盛矣曷不休哉恭惟我主上殿下以睿聖之姿承傳授之心繼述先志扶持聖敎其於崇儒重道褒忠奬節之士靡不用極俎豆之禮綽楔之典莫不畢擧而日月之明或有未燭天地之大猶有所憾玆敢千里裹足齊聲呼籲於黈纊之下伏乞天地父母少垂察焉於戱謹稽麗朝贊成事文元公田祖生生於麗季天性純粹學問精深七齡讀中庸題詩壁上曰惟我天君謹奉立百體從令法嚴肅竭誠輔佐致中和天地位焉萬物育其弱冠登第之後以闡明吾道爲已任與典書洪載文正公朴尙衷文忠公鄭夢周文靖公李穡等一代諸賢友善刮磨嘗作文以警後學其略曰要學問須存心要存心須主敬主乎敬則心存理得學無不成而敬是兼動靜包始終者也惺起此心使不昏昧者靜時敬也精辨是理遵不差謬者動時敬也忠信進德始之敬也立誠居業終之敬也又作詩以誡子其略曰家世相傳何物業孝仁忠義禮廉節人間至寶孰如是宣用天下常不竭主敬存心斯學道終身服膺不須失爾受吾誡傳不極保安萬世如今曰常與二兄門下評理右文館大提學祿生三司左尹貴生孝友篤至以德行文章爲時名宰公退便講論道學仕於忠惠王朝官至贊成事特受託孤之命至以霍光諸葛亮爲期及忠定遜位江華之日與大提學韓脩等扈駕以從焉此其自幼抱負立朝言行之大略也其時朴尙衷爲眞影贊其略曰先生德容蓋有來矣旣因天姿之明睿又襲家敎之薰陶自幼奉立天君竭誠輔佑中和之德已根於中矣其粹然見於面盎於背者不亦宜乎精一執中之學惟玆爲耳是知虞聖璿源流於齊而吾東矣鄭夢周又爲贊曰寬和其容整肅厥儀望嚴就溫大德可知主敬浹義精硏聖學眞儒淵泉冢宰器局特蒙付託忠貫日月遭時不祥仁澤未溢有德無壽難測者天稽諸顔子加享六年託隱于耕前王不忘一片江華千秋遺芳昔時座下如入春臺今拜遺象只增感款其後又夢見而記詩其略曰有美一人不可忘飄然馭風遊何鄕天生大材如豫章時人有望扶明堂況蒙付託自先王期以孔明與霍光嗚呼奄遭時不祥顔夭跖壽理沓茫忽於昨夢覩儀形宛爾玉色與金聲故右議政臣李宜顯序之曰壄隱之弟耕隱而圃翁記夢以感其德容焉故判書臣朴弼周又序之曰夫以圃隱之爲百世師也而盛稱則卽此而可知公之爲人也其他我朝名臣之贊揚其德行者指不勝屈矣蓋其七歲題壁之詩早悟思聖之大道而警學之文誡子之詩莫不以主敬勤學爲修身之工則比諸顔氏之訓范公之誡尤爲切近而精一執中之學出於朴文正之贊精硏聖學之工著於鄭文忠之撰夫朴鄭兩賢實爲我東儒賢之師而祖生又爲兩賢之所推宗則其道德之高明學問之精深可謂俟百世而不惑矣是以宿德之輝光久而冞彰後學之景仰去而益深嶺湖多士相繼發論建祠于宜寧縣扁之曰泰巖以寓其尊仰藏修之誠者厥惟久矣第伏念麗李名賢雖一節義之士靡不蒙我朝恩額之典而道德如祖生學問如祖生者只有鄕社俎豆之薦尙未蒙朝家宣額之褒則惡得無士林之抑鬱而亦豈非治世之欠典乎臣等幸逢唐虞比屋之封得蒙周家育莪之恩一欲爲斯院請額之擧者積有年所以九重如天尺疏難陳見今千載之下遺風不泯一國之中公論愈鬱玆不避猥越之罪遠塗封章相率來籲於天日之下伏願聖明遹追列聖朝崇報之典特嘉田祖生純正之德俯採蕘言亟賜華額以光聖德以幸斯文焉臣等無任激切屛營祈懇之至謹昧死以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㵸金中一朴震挺朴世挺高元厚朴彥瑊高允厚李增華李成楠崔升吉李天賚徐吉朴之忠朴民訥高依厚朴儼李友曾李潚金栻朴瑄李廷珪安希晉金澤崔興慶金成器鄭潔徐哲高敬友李汝龍 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桂峯沈翰求聳珍山裏大明人高卧靑山白髮新蕪園荒逕古元亮萬壑千峰今子眞歲寒松柏孤孤節秋水芙蓉淡淡神一廟萬東誰復起有時泣血記王春 德峯金始中斗南淑氣最高人物外風烟亭榭新籬菊第看秋晩好澗松方覺歲寒眞明谷石門傳緖業龍湖珍峀鍾精神至今幸有歸依所願使先生幾百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間先生起。歌夢詞。公曰。厭世之意。發於宵歌。先生殆將病矣。趨而入。先生曰。子來何遲。疇昔之夜夢得歌謠。此吾命詞。足得一闋。子其識之。公出而悲痛曰。哲人其委。吾將安放。及其易簀。加麻心喪。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감로는 술에서 생기지 않습니까? 술은 누룩에서 생기지 않습니까? 누룩은 보리에서 생기지 않습니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성기(聲氣) 《주역(周易)》 〈건괘(乾卦)〉의 "같은 소리는 서로 응하고, 같은 기운은 서로 구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省其墓。恤其孤。眷眷不忘。於宗族隣里。恩愛周洽。故舊朋友。存訊不替。出以風議於鄕邦學校之間。其經紀條畫。多有可觀焉。重建穩眠堂以寓羹墻之慕。結白波亭於宅畔溪石上。爲延賓會友文酒遊衍之所。中年以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又於今正省阡時 奉審則至於斫伐邱木四十餘株 無難如是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此漢所爲罪不容貸矣 鄙說或似張皇 堵族丈長老之所親鑒也豈曰誣哉 此漢之犯科 宗中所共知也豈可仍置而不懲后也哉 望須僉議以爲聲其罪而徵其贖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高麗受封泰山以爲貫高祖岑禮儀判書曾祖涵僉正祖倫司宰令考慶保勝中郞將妣瀛州李氏父中郞將宜明夫人開城朴氏監務貴生女二男承元昆元幷生員長房孫會習讀二房孫謙生員文行圭組連世東湘震童雪巖紹道峯繼尤著幷俎豆于院至今多讀聖賢而談義理者益知公遺澤久而未斬也垂五百年墓無顯刻蓋未遑也今將竪石秀士淑與其族兄汶族姪泰植幷轡過余而徵銘銘曰泰山之許奕于勝國逮我綿綿文行可述公生奇偉又兼淳質才足需世王庭射策一擧壯元志不喫著出宰列郡俱茂聲績入持憲平以補袞職知止爲齋位不稱德何損於公爲世慨惜仍仍雲雲文風不絶五世者三尙說流澤墨房向午我銘不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靑松沈氏四先生龜巖祠遺墟碑記 德殷宋秉珣嗚呼此雪山之霽洞卽靑松沈氏四賢俎豆之所也四賢之一曰監司贈領敦寧諱璿也當 端廟遜位之際棄官遯荒高風靖義見推詡於當時時人稱忘世亭先生其二曰中學訓導諱光亨號霽湖孝禮文學蔚然爲南紀師表金思齋以道伯獎薦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뒷날 다른 말이 생기면 이 문기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문서의 끝부분에는 '이후에 서로 문제가 생기면 이 문서로 증빙하라'는 내용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