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목란 으로 검색된 결과 16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客秋在華嶹時妄致候書於帶方士友便想己入覽而迄無覆敎期待之苦殊若倒懸者之望解未知往者卓季順而來者或殷洪喬耶伏切願聞秋色日高景仰一念尤高於高山謂外憑便得聞起居神護增福而多士遠訪一舍不容孔聖所謂有德必有隣於此始知不我欺也昔人以閉門擁書猶爲不羨於南面王天下之樂而況文丈所操者高所資者深不顧門外是三代是五季得多小英材講之以文守之以禮鐵木蘭江奚獨專美於古耶此師門之期望百倍諸子而諸子之所仰戴亦若衆草之喬木也衡柱自發軔於師門以來聞風欽仰常不後於人而祗自齎恨者山川攸阻凡百苟簡未得間承誘掖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細目難詳。思一造商確。省下沒隙。貴案有起草幾條。則送之望望。此非愚所堪。兄嘗擧可採入文字。如筍束而付與之參。以睡軒翁所錄。可以表裏。然及門諸子。謙退不自力。如是送年。則當日事蹟日遠日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香奮體【竄非香奩體】 游泥未害白蓮藕糞壤何妨黃玉兆莫講國香之不管善緣今在謝公家東兩春深弄歲華弱蘭猶有未抽花香風異日吹紅粉移在仙人第一家巧促東風長物華天香國色木蘭花朝來墜露知誰飮斫桂仙人月裏家春風桃李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是不幾於舍連城之壁而貴木蘭之櫃也乎。惟是纊息未絶者之望也。詩人之繫匪風下泉於變風之末者。其無意乎。贈人以言。仁者事。不敢當。第有一言可勉者。同春先生曰。朝悔其行。暮已復然。先正猶然。況吾輩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遺恨千秋目難瞑。至今華人爭崇奉。如何遺祠曁東溟。國家否運壬丁年。眷佑東士頻顯靈。齊東傳說誰得知。三百年來萬口銘。是時天將初刱建。廟貌維新嚴典形。禮數祀典自別異。歲歲犧牲無所停。我來今日秋氣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莫誇牧丹傾國姿。淡凝臙脂紅暎肉。臨風窈窕子有餘。帶雨夭艶無不足。氣昧淡泊亦淸新。精神隱約更端淑。詩人好事還無事。對此空捫便便腹。蹔去復來時徘徊。摩挲歎息植烏竹。古來花譜吟者多。何人品題俱眼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莫誇牧丹傾國姿。淡凝臙脂紅暎肉。臨風窈窕子有餘。帶雨夭艶無不足。氣昧淡泊亦淸新。精神隱約更端淑。詩人好事還無事。對此空捫便便腹。蹔去復來時徘徊。摩挲歎息植烏竹。古來花譜吟者多。何人品題俱眼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遺恨千秋目難瞑。至今華人爭崇奉。如何遺祠曁東溟。國家否運壬丁年。眷佑東士頻顯靈。齊東傳說誰得知。三百年來萬口銘。是時天將初刱建。廟貌維新嚴典形。禮數祀典自別異。歲歲犧牲無所停。我來今日秋氣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露結洲葭萎霜摧籬菊破惟靈弱冠初種學名已播暎雪攤縹帙隨風落珠唾苗秀憐童烏軒過識李賀遂令舊詞伯糠粃愧前簸一擧登太學鴻碩盡虛座健陵文明朝諸生益切磋有虞南風曲登堂以琴和才多志不展白首轉坎坷風月資吟賞圖書對坐臥種田纔一頃栽竹剩萬个康濟七十齡日月悲蟻磨朋交徧四隣知小孰知大俯視詩騷家凌躐不啻過四六徧耦製三千禮樂課眼眩波斯市木難未足貨文章亦其膚行已玷則那臨履心轉拙約束躬不惰有如西子質脂粉却嫌涴久忝斯文契警策起衰懦牙絃今不續郢斤氣已挫雪涕山陽路靈輀曉應駄緘辭憑遠鴈應識病所坐錦之水在右綾之山在左多生未了緣魂兮歸來些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匪意伻來 先問本生堂患如何 不言復常之喜 反傳孔劇之報 貢慮彌切 而已兄之孝 長在憂懼中恐易致損 此尤所奉慮者 而因審體事保重 諸儀均謐 是慰是慰 弟重省粗安 而家君近作棕鄕行次耳 去月所敎 白牧丹並腫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灼灼牧丹叢。萬竹鳴似雨。千枾葉蔽日。主人臥其間。輕飆吹素髮。靑城人不唾。烏石仙所居。曲曲汭江畔。亭榭棋置如。園林誰最勝。花石此爲奇。酒熟招名士。禾黍餉多時。抵掌談古事。孝弟說津津。時復開講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路指點樵牧爛稱曰。此故大明處士。所生居處此故大明處士所死葬處。使大明處士之風。永有傳于百世之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춘추 시대 초(楚)나라 사람이 향기를 쐰 목란(木蘭)으로 상자를 만들고 옥으로 장식을 한 다음 그 안에 구슬을 담아 정(鄭)나라에 가서 팔았는데, 어떤 사람이 상자만 사고 구슬은 돌려주었다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權顧卿 一夜奉晤何能盡積年蘊結也然耳目俱感心神爽豁歸臥窮巷極目風光無非摠惹高人之懷伏惟皐比日益康勝講道不倦而將命諸益皆勤課時有起予之樂耶鐵木蘭江不特專美於古而又七日來復之種子將求之於牌下群彦矣每對人稱道不已弟自歸衡門家纍也農務也患憂也身疲心焦無暇暖席而開榥恁地度了欲終不歸於目不識一丁得乎祗自歎恨之極敢望吾兄幸惠心得之一粒靈丹使之同歸於無病之人未知或不遐棄耶此去祭文挽詞其存刪之役前日己蒙盛諾不敢煩囑而惟先師尺牘也遠齋遺稿也諸般事多幹恐過爲遲晩也深諒深諒右詩與文之其工拙且捨語沒斟量太多秉筆之間存刪任意而雖存者句讀之失稱停者刪出尤好此意亦諒之否跋文一度亦已有盛諾祗自滿心渴望而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難掩。爲門人之道。須當急急悔改之不暇。稿還各編。認服自誣。豈非事理妥當乎。成則小祥時。引咎自服。誓不干稿。而吳則終不悛改。仍認實誣。此若不辨。師義不明。而陷於親讎。遺書歸於虛妄。此非變之大者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芚山之秀積翠連冬夏花宮隱林抄金塔開巖罅我行政値秋桂影淸如瀉一壑度松風滿溪紅葉下頭輪最絶頂高標邈難架上有白雲橋下臨令人怕嘗恨負一遊今來幸乘暇靑蘿可以拔紅塵從此謝可笑世上子謾作寒鴟嚇獨立木蘭下怳若靈飄借巉巉半天外香爐次其亞赤松若可招白鹿何時駕明月不待邀淸風豈論價朗吟欲歸來一磬西巖夜寄語鶴上仙淸都君莫詫師本海南僧小少山水癖手持紫藤杖足下靑丘窄東遊入楓岳雲中歲婁易塵寰念久斷邀爾仙標格何煩出虎溪遠慕廬上釋舊聞靑鶴仙來往洞裏石飄然復南下浮雲相與適吾亦淡蕩人十年滄洲跡扁舟一竿竹扣枻江月白幸與爾相親風期終不斁豈知隔年別重作頭輪客談玄更聞奇松櫺共此夕水雲猶濕衣巖苔尙留屐從今紫霞外瀛洲亦非隔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초(楚)나라 사람이 목란(木蘭) 상자에 주옥을 담아 정(鄭)나라 사람에게 팔자, 그 정나라 사람이 상자만 사고 구슬은 돌려주었다는 우화에서 유래한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若乃牧丹富貴賞。宜不可與松菊同其列。穠艶繁華易惑志。存戒當年意亦切。一辭金門老花間。至今淸氣凜颼颼人。亡亭毁舊溪山。花謝木落幾春秋。猶有賢孫追先躅。作亭又此開荒邱。我且欲問亭成日。排列嘉植如故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牧爛相招語曰。彼金孝子墓。不有實。若是乎按遯巖公號。世居本郡黃龍里。幼喪父。荐遭家變。奉母宋氏避入一僻隅。卽虎巖下。多植松竹。寓其操。里呼翠葉由此。卒于英廟癸巳月日二之十四。計其生壬戌。壽僅卅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雙香堂記 白湖林悌霜村我之母鄕也鄕長金應珍氏袖雪牋數幅訪我於觀頤亭下曰適意江湖捷身丘壑鷗寒不狎鹿野雉群植梅菊於堂前命名曰雙香子盍爲我記之嗚呼古院海棠遇知於子瞻江寺牧丹被賞於樂天愛蓮者蹈濂溪之說看竹者籍子猷之趣至於春風耀千門之桃李細雨濕一庭之梨花牢情逐物不覺喪志而梅菊之愛獨何鮮也元亮愛菊而不及於梅林逋愛梅而不及於菊梅菊之愛獨何偏也今將背馳衆好兼元亮林逋之所愛公之志可謂高矣然則梅也菊也香色俱絶而獨愛乎香者豈不以春生雪外籬落橫枝暗香浮動微月黃昏者梅也園林疏冷衆芳寂寞獨抱寒香任他風霜者菊也是知白白者非一黃黃者有種而香眞色侞所重在此此公之所以取香名堂而且野服藜杖逍遙於其間對菊而思彭澤玩梅而想西湖有酒則飮飮則至醉醉則眼物我相忘風月雙淸而已矣公以爲如何主人笑而不答詩曰彭澤煙霜老孤山雪月幽馨香無彼此宇宙自春秋日夕回靑眼襟期低白頭寒塘有寡鶴亦足伴優遊

상세정보
166
/9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