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省記 으로 검색된 결과 2075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甥奇洛圖 維歲己巳十月二十八日丁丑。外甥奇洛度。謹具菲薄之奠。哭告于朝鮮逸士靑皐先生李公之靈曰。嗚呼。今日惟我先君之諱辰。罔極之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聖氣字辭。 吾友安氏。名曰圭泰兮。顧名思義。其志甚大兮。窮山逐臭。如得尺蔡兮。問其表德。空疎其奈兮。吾道旣喪。操守爲貴兮。名其爲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問四先生氣像 對愚也生乎絶學之下悶無師友之傳從事遺篇仰慕前䁂久矣執事先生發策春圍特擧四先生氣像學問之如何以試諸生所得之精粗大哉問也其專心學問之功仰師前賢之意溢於言表愚雖不敏其敢不以平日講論於師友者仰質於求正乎竊謂天地有是理焉無極之眞也天地有是氣焉二五精也眞精合而最靈於萬物者人而人之生也莫不稟此理氣故人之氣像亦一理氣也然理純而氣或有不純故論其氣像則不同而不同者氣稟也論其學問則無不同而無不同者理之正也氣之稟不同故有和毅英邁之不同寬大剛方之有異理之正也故主敬主五之不一而同歸於守約以敬以畏之不同而亦同歸於存心是以氣像者氣質之形諸外而標準於人者也學問則用力之眞而不失其本心之眞者也然有是氣像而無此學問則不見其充養之實也亦不見其德業之盛也必也有氣像而用此學問之功然後氣質之純者益純理之正者益正而德業於是乎盛矣然蘊之爲道德發之爲事業者雖或有高下淺深之不同由其氣質之異趣而不由於學功之或異也以氣像之異者論諸賢之氣像或似不一而以其理之正者論諸賢學問之功無不一矣愚請因明問而復焉有光風霽月之懷著從容和毅之容人欲淨盡天理流行者非元公之氣像乎稟類悟絶倫之資抱英邁燭理之明嚴厲和平逈出物表者非遯翁之氣像乎德性溫粹而有和風甘雨之仁規模宏闊而無狹小珞物之量則伯子之像何如特立出羣而有剛方之姿文理愼密而有嚴憚之威則叔子之像何如吁氣之所稟不一故四先生之氣像亦不同而稟氣之純者也氣雖純而稟之不一故稟灑落者或少於英邁也稟英邁者或少於洒落也稟寬大者或少於剛方也稟剛方者或少於寬大也雖然洒落者非徒洒落也洒落之中亦有英邁焉英邁者非徒英邁也英邁之中亦有洒落焉寬大者非徒寬大也寬大之中亦有剛方焉剛方者非徒剛方也剛方之中亦有寬大焉則吾知四先生之氣像非若氣質之偏者也非若變化之雜者也而稟二五之精者也嗚呼以愚生之淺見安敢窺大賢之氣像妄議大賢之氣象乎況又四先生之成德乎不專在於氣像而實本於學問之功則徒說氣像不言學問何有益哉更就四先生學問之工而爲之說曰究太極之理而主靜乎仁義中正者元公之學也學元公之學而主一乎物理者伯子之學也上有師友之益下賴父兄之賢亦以敬爲主者叔子之學也以格物致知爲功而臨事物謹畏者遯翁之學也吁主敬一者非他學問而同是約禮也以敬以畏者非他學問而亦同是約禮也而莫不使此心操存而涵養者也然名言之間或不一其所言或一同其所旨者何也不過雖其氣像之不同而審其用功之有異也況當時學者不變其氣質之偏失其用力之方則爲先覺者其可不隨起病之源而立進學之功乎是以元公生乎倡學之初以上達天理爲主而欲探太極之眞故以主靜爲本兩程從事元公之門慮學者紛擾之病亦欲不失寂然之本心故或以主一無適爲本或以嚴肅整濟爲規晦庵以逈出挺然之資生聖徂神伏之日憫其學者不事下學而皆入於禪故指出畏字爲規嗚呼四先生者有如此卓爾之氣像致如此嚴密之工夫故極天地之渾乎無極之眞者非元公成驗之實乎聰明睿知皆由此出有把捉之功無走作之失明乎天下之事物者非兩程成驗之實乎無淺心見性之弊而有心學眞實之功使天下之學者不歸於枯寂而皆得眞實之功者非晦庵成驗之實乎由其立本之正大而成驗之實典氣像相符而表裏一其功則雖大賢不可無學問之功而亦不可專恃氣像也篇終抑有獻焉書曰人心惟危道心惟微惟精惟一允執厥中者萬古聖賢相傳之心法也以心法相傳而不言氣像學問爲大而氣像次之也夫大賢之氣像與聖人之氣像無異後之學者難以企及也莫若盡學問之功無一息之間斷然後其氣像可論也夫所謂學問之功者何也卽舜之所謂精一而四先生所謂以敬以畏之謂也後之學者苟能精以察之一以守之居敬而窮天下之理變化其氣質以就其德性則大賢之氣像可測而大賢之德業庶可見矣愚見如是謹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侯【性基】 自春阻夏。日望皂盖還衙。近始聞福星難回。朱紱已解。在令公可謂得計。而弊邑失哺。不是小事。公私悵缺。久而靡瘳。卽於不料。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柳甥基直基德 外叔。自纏風樹。惟同氣是依。而先姉主。年齡不隆耊。氣力尙爲康騭。且哀之誠孝。宜獲神佑。恒恃無疆遐壽矣。豈意承此訃車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성기는 형께서 먼저 살핀 뒤에 일이 성사되는 것이 도리상으로나 체면상으로도 당연한 일이고, 형이 서원에 들어온다면 2백원 정도의 선폐금(先幣金)을 내서 본손의 마음을 사는 것이 좋겠다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를 새기는 데의 부담과 《존선시편》 필사 등의 내용으로 이교성에게 보낸 간찰 1933년 1월 9일 성기운(成璣運)이 가천리(可川里)에 사는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裵興立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成基가 柳大錫에게 보낸 편지의 봉투 柳成基가 柳大錫에게 보낸 편지의 봉투.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0년 음력 8월 4일, 제(弟) 김성기(金成基)가 무성서원 재장(齋長)인 노진영(盧軫永)에게 정읍의 무성서원(武城書院) 원지(院誌) 간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聖居【榮洙】 竊瞯高明。稟氣脆弱。而其求道之誠。不懈益勤。豈非以志率氣之致耶。甚盛甚盛。但其貧窮。無以致身。誠亦可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全性畿【五首】 攻惟其石磨惟沙。戞戞眞工琢玉家。書中當惜靑春日。看到半開摠是花。茅塞人間一逕微。山翁一笑大開扉。招招用有爭琢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그리하여 김성기는 그 돈 200원을 김환상(金煥相)에게 주었더니 매우 감사하다는 언급을 했다고 전하고, 이 돈은 춘제(春享)의 제수비용으로 쓸 계획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9월 9일, 제(弟) 김성기(金成基)가 원지(院誌)의 간행 일정을 전하고 전의 편지에서 언급했던 보충 후원비를 보내주기를 청하는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사안이 어떻게 진행되어 가고 있는지에 대해 소식을 전하는 내용의 간찰 1944년에 정읍 칠보에 사는 김성기(金成基)가 광주에 사는 노진영(盧軫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성서원지(武城書院誌》에 의하면 김성기의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정읍에 거주하였으며, 1932년에 무성서원의 색장(色掌)을 맡은 적이 있는 인물로 나온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하는 사안과 관련하여 진행 상황을 전하는 간찰 1944년 1월 3일에 정읍 칠보에 거주하는 김성기(金成基)가 광주에 사는 노진영(盧軫永)에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 1934년 2월 26일, 제(弟) 김성기(金成基)가 노진영(盧軫永)에게 원지(院誌) 값의 도난 사건과 자신이 상대의 편지에 답장하지 못했던

상세정보
2075
/10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