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木甲說 今夫豺虎雄武悍勇掀山動地百夫之所不敢當而落於陷阱則兒童得以揕之鷹隼騰揚寥廓一擧萬里誰得以追其逸翮而罹於虞網則跛躄可以執之此無他有其備而乘其機也惟彼北方之人風氣剛猛輕勇成性以鞍馬爲茵席以射獵爲耕鉏馳如雷電疾若飄風縱有强兵勇卒百萬蔽野而瞬息之頃盡入於鐵騎之蹄下故手不及措足不及旋而終歸於蹂躙芟薙之中矣亦何暇容其三申五令六步七步之進退乎此所以爲千古中國之患而莫能當者也今之欲戰者苟無自衛之策而徒欲繕兵鍊馬直與之爭衡則是何異於與豺虎爭走與鷹隼爭飛哉必萬無一幸而多見其不自量也然則爲之奈何曰水之爲物至濡弱也火之爲物至燥烈也而水能勝火則柔能勝剛明矣故以靜而制動以屈而能伸者兵家用奇之妙也彼之善用兵亦無異術百勝之勇惟在於一馬上而已爲今之計但得制彼之馬蹄而不爲彼蹂躙則其餘可以易爲也軒轅之創戰備也只用一干一戈其爲制不爲奇巧而蚩尤之强終就擒焉則器械非神惟在用之神爾干之爲物只一板而已今之戰酷於古戰今宜倣古式而倍之用二板而爲偶着兩樞於背脊而聯之貫二索於四隅而【缺】之如今農人疊簑之狀其長可以從頭至尻其廣須使蔽背及腹且繫兩索於兩板之內如今支機掛肩之紼使荷其板而伏于地如介蟲之形且於首尾空處懸綴一小板如厶之狀以護其頭尻而虛其下半以容其槍戟之用蓋其形制如斯而已名之曰木甲木甲之爲制至朴而爲用至神千甲萬甲任其多少其甲之行列也取乾坤坎离之畵而參以奇偶縱橫之籌其陣之布體也法河圖洛書之範而周【缺】經緯之制或長而爲蛇勢或廣而爲鳥翼惟在臨機變通之隨宜不可以一槩論也隊陣體勢旣如是則其間空處有巷路交通如龜文之狀木甲之伏如櫛之比尾尾相依面面相向或縱或橫自有條理橫甲則皆持槍戟與挺交亘於路而槍之制必有旁枝如鎌之狀惟以斫斷馬脛爲事其縱甲則皆持火炮伏而放之前隊皆伏丸無所碍故不待進退替代而炮可以次而齊發也彼騎雖駿莫逃於交橫之萬刃我甲雖鈍不染於飄零之飛箭隳馬之賊不過爲落阱之虎入圈之虜無異於罹網之鷹也彼之千騰萬躍終歸於自顚自沛而我兵我陣固自如晏如從而取之如拾芥耳以靜制動以屈能伸之策亶在斯矣古之善戰者多於倉猝便宜而取利如韓信之木罌沙囊田單之鐵籠繡牛諸葛之火攻武穆之背嵬皆出於至賤至易而爲長策幸當今爲大計者勿以言近而迂之則安知非左車之策或無一得之見耶惟明智可以審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二 看花悲白髮對酒見丹心一世誰知我秋風獨苦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三 惟將雙綠竹遙寄一丹心何日重相見聞君長短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五禪樓 悠悠千古寺肅肅五禪樓多少參臨者誰乘最上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求禮韻【時雙檜監求禮】 昨年雲水宰山水又遨頭隨處惟悰足何知歲月流樂司馬消夏笑宋玉悲秋忽念長沙夢潛生獨夜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二 貴富已揮手功名亦掉頭悠悠懷異境逐逐屬頭流胡乃嬰斯疾彌留到此秋佳期聞已失哀淚動盈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謝惠紙 雲雨生翻手沮盟卽轉頭人同嗤獨立君獨恥同流雅操雙蒼檜高懷一素秋開緘三卷紙光射兩塵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謝黃崇善同遊方丈山【黃公名廷吉成均進士】 灼灼君紅面蕭蕭我白頭忘形情自款論齒淚潛流一別餘千里相思今幾秋忽聞方丈約頗勝對靑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懷 衾擁痾軀雪擁簷寫懷惟有一奴尖欲令魚鴈傳消息鱗告戔戔翼告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見和 梅近南牕竹近簷月庭疏影喜交尖讀君淸韻談君筆霏屑春空靄靄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頭流山 心遊森若入吾簷每計行粧屈指尖天假以瘳登此志恩將何物較洪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二 任人耽取豁諸簷不管群峯圓與尖云何糊口憧憧客不語頭流語手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言絕句【六言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 詩不如其人自古有是語然未有如橘屋尹公之尤著題也重峯趙先生早師栗谷牛溪二先生其道德學問實有淵源不幸爲羣小所仇嫉其終之所成就遂能扶三綱正九法則可謂不世出之大賢也方羣小仇嫉之時與之立談者皆被收司之律故平日知舊至或改頭換面有過其門而掉臂者獨公誠心服事始終如一遂至於坎軻以沒而不悔蓋趙先生之賢益大而公之義益著矣雖使公之詩浸淫李杜凌掩蘇黄然視其人則亦豈不欿然而遜其長弟耶然知其然者蓋鮮矣惟文正公金先生知之深故塤箎迭唱金石交奏蓋於公遺編可考而知也今元輔文谷相公承述事契弁文編端發揮引重無復餘憾蓋公之爲人上因趙先生而著中際金文正而重終得文谷公而垂於不朽語曰不見其山但見其木其信矣乎然則公之可稱者其將在其詩乎抑將在其人乎噫斯豈易與俗人言哉時崇禎紀元之上章涒灘九月日恩津宋時烈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四 天胡雙鳥遣囚得一家留陰慘收霜翮陽舒霍電眸夭看南極老杯視北溟流會被天科放軒空振大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十 境接三淸界樽濃萬古春父天而母地水智又山仁萬像收方寸孤亭爲創新永思兼永逐逐不嫌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十一 賈胡留醉境庭現忽殘春燕麥初翻浪梅兄已抱仁風光隨處足歸思屬亭新摠得酣餘興傳觴何許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三 額靜知何意次吟爲細論尸居貴龍見淵默亦雷喧矛盾今兼古泥塗冕與軒箇中多小味難與俗人言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