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3년 배치묵(裵致默) 위토인허증(位土認許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和順郡守 裵致默 和順郡守之章(2.5×2.5), □…□(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3년 4월 13일에 화순군수(和順郡守)가 배치묵(裵致默)에게 발급한 위토인허증(位土認許證) 대상: 배치묵(裵致默) 16대 조고(祖考) 분묘 위치: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和順郡 道谷面 大谷里) 삼인산(三仁山) 묘주(墓主), 위토표시(位土表示), 분묘(墳墓) 소재지(所在地), 수호인(守護人) 항목 구성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71년 배진만(裵鎭萬) 임야 소유권 이전(林野所有權移轉)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裵鎭萬 光州地方法院 和順登記所 司法書士具齊完印 2顆(2.2×2.2), 광주지방법원화순등기소인(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1년에 배진만(裵鎭萬)이 임야 소유권 이전 등기신청을 위해 광주지방법원 화순등기소에 제출한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등기대상: 1961년 3월 2일에 매매한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산38번지 임야 8무보 1971년 7월 29일에 등기 완료 부동산 표시, 등기원인과 그 연월일, 등기목적 등의 항목으로 구성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시권(試券) 2 고문서-증빙류-시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시권(試券) 시제(試題): 예의(禮義) 시월야(是月也)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70년 배진만(裵鎭萬) 임야소유권보존(林野所有權保存) 등기신청서(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裵鎭萬 光州地方法院 和順登記所 司法書士具齊完印 2顆(2.2×2.2), 광주지방법원화순등기소인(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0년 배진만(裵鎭萬)이 임야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을 위해 광주지방법원 화순등기소에 제출한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대상: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산30번지 임야 9무보 1970년 10월 8일에 등기 완료 부동산 표시, 등기원인과 그 연월일, 등기목적 등의 항목으로 구성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시권(試券) 1 고문서-증빙류-시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시권(試券) 부(賦) 부제(賦題): 소응왈낙(笑應曰諾)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담양(潭陽) 갑향면(甲鄕面) 전주이씨(全州李氏) 일기(日記) 4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全州李氏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90 임술년 10월 4일에서 12월 30일까지 기록한 개인 일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4년 이만채(李萬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萬彩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286 1834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한량(閑良) 鰥 이만채(李萬彩, 3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아버지 이춘발(李春發)이 죽고 아들 이만채(李萬彩)이 대신하여 호주가 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5년 강우백(姜遇伯)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姜遇伯 靈巖郡守 行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8 1795년에 유학(幼學) 강우백(姜遇伯, 38세)이 영암군(靈巖郡)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41년 안섭(安涉) 등 문의(門議)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安涉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1년 윤3월 16일에 안섭(安涉) 등 12명이 작성한 문의(門議) 장단(長湍)의 선산(先山)을 수호하기 위해 위토답(位土畓) 환추(還推) 문제로 사기를 친 안영수(安韺秀)를 처벌하고, 위토답을 환퇴(還退)하겠다는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無等山韻 天餉吾遊四月時昔聞知者今看知姓名競讀層巖面危跡常攀石樹枝眼回平地山無泰指點遙天景有隨歸舍若應諸友問其何林下鳥聲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左遷群山後 宣祖大王下敎曰魯認持身淸勤每欲復讎抗陳奇策古有社稷臣今爾近之陞資通政除水原府使【乙巳冬先生上沼吳策故有是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五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身彌島 一臥身彌島三春忽已更打花風少恕醫草雨多情病起天邊日霸吟海上城夜來空轉輾無夢到神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都有感 王業蕭條盡風煙眺望賖山河埋旺氣禾黍換繁華輦路生春草宮枝集暮鴉東風立馬處魂斷鬢絲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別害館 萬里天開險雙川水夾城板家皆北俗戍卒半南兵化及梯航遠邊承氛祲淸年年烽火絶何策獻王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耽羅館 形勝三分邑城池一島東方音驚頓別風俗喜猶同日落林鴉靜天寒野戍空坐看滄海月來照酒尊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一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