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퇴계 으로 검색된 결과 119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自見退溪先生。遂自回車改轍。卒爲大賢。苟使栗谷而終無成就者。退溪努力日親之什。益以遠大自期之書。直爲一時語而止耳。每念及此。不覺汗流竟趾。伏乞隨事警勵。終始其惠。大學謹遵敎。晝繹暮誦。踰半年始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맹자(孔孟)……구절 《退溪集 》권48 〈정암선생행장(靜庵先生行狀)〉의 "공자, 맹자, 정자, 주자의 덕(德)과 재주를 써서 왕도(王道)를 일으키는 것은 손바닥을 뒤집는 것처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先生贈人詩曰。君看日夜東流水。放海先從一坎中。此於工夫家庭。尤爲深一節。故爲君誦之。世記一是岸塌光景。只自憐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吾行苐觀數朔爲進退計矣。勉菴丈再爲彼人所擔逐。今還定山本第。世事可知。吾輩留運。亦甚無謂不如遁入深林已耳。聞聖源猝發怱怱止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夫祖先之於子孫是一氣往來其膚脈毛骨莫非攸遺但世代迭遷今古懸隔其形貌不可得而見焉其聲音不可得以聞焉則所可想像者惟遺文也其語語句句皆自當日赤際中出來而風範之所寓謨訓之所貽玩辭考書怳如親承音貌於耳月則此篇也顧不重歟先祖梅谷公早年出入晦齋退溪兩先生門學已頭腦矣以若抱負之贍冨不能大試而退老林樊其所著文字非不早刊中罹鬱攸藏于家者寥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퇴옹이……일 《퇴계집(退溪集)》 권37 〈유희범에게 답함〔答柳希范〕〉에 "사당의 신주는 두 비(妣)를 하나의 감실에 모시지만, 선비(先妣)는 하나의 독(櫝)에 함께 모시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九月獨登書堂後翠微寄林士遂【四首】 退溪李滉野菊猶多思尊前小摘枝杯盤眞偶設歌管豈曾隨望遠愁暘斷登高病脚危陶然成一醉短舞爲誰垂聖主開東觀將期瑞世文愧添樗櫟散欣覩鳳螭紛樂事淸時得幽香小坐聞故鄕千岫外醉眼送歸雲思君那得暫時寬醉把黃花誰共歡新月媚人還入手長風欺客且吹冠千重眉黛依依列一道氷紈湛湛寒景物隨緣易陳迹急須摹取與君看今古茫茫似逝川登臨佳景故依然同狀不識寧非貴擧世相疵亦有傳語穽豈容樽俎裏愁城難着菊花前歸鴉落日都成畫臥看東湖玉鏡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院在邱山驛之南五里曾有江陵邑先生咸軒入中國奉孔夫子眞容東來卽唐時吳道子所寫也妥怗此院其後宋朱夫子及我朝尤庵先生兩賢畫像東西追配院西邊有一間祠宇卽咸先生妥靈之所云陪椒泉翁入院展拜奉審三畫像退歇講堂題名審院錄院任來見○齋壁有退溪先生詩兩絶人材淵藪古臨瀛闢學邱山澗石淸降聖千年名已近乞靈今日敎將明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觸機生禍語難諧一跲無何事盡乖物自橫時容便好辱從來處忍還佳眸昏不用姸媸別性懶休論得喪懷城底數椽安分卧箇中淸懷噤如齋迂踈活計未曾謀束手無爲到白頭古趣欲從閒裡得淸歡宜向靜中求一身但逸三誰省萬事都捐百不憂拙叟生涯斯亦足聖恩寬處占長休又有退溪南冥栗谷唱和詩古樂崩亡自不諧未須提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生平澤人弘治甲戌生早決文科由翰苑瀛官選湖堂以文武全才拜會寧判官濟州牧使乙巳受禍羅州里舍葬州之南龍洞之原年三十四宣廟初元雪冤復舊踐蓋先生南方奇偉之士也才最高名大盛終罹羣小毒螫至今士流悲之先生嘗赴擧行到錦江路遌洪相公暹受刑遠謫慨然逕還少時志槪已如此退溪先生氣味殊而每稱奇男子字呼之曰安得與林士遂相對敍話此可以知先生之平生也歟我先考昔莅羅州竪石表墓未暇記陰今先生旁孫德遠俾小子書其事有不敢辭謹撮而識之先生無嗣女婿參奉柳景進寔尸其祀云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司成公諱順成墓碣公諱順成字成之固窮公長子也丁卯生員〔進〕俱中三昆季連璧又中丙子文科官至成均館司成配朴氏生一男曰渭生員丹城縣監博學修行有器識與李退溪曺南冥友善兩先生以長者推許之有子曰命龍從學於沙溪金先生門先生曰益友也恨相見之晩牛溪成先生與語歎曰吾道有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先生及門錄事。往陶山書院。回路得痰喘。輿疾還家。累入鬼關。今才擡頭。厪厪爲戶庭行步。以是之故。尙未趍哭。只恨奮飛無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退溪先生之言曰。 "兼理氣有善惡。 非但情爾。 性亦然矣。安得以是爲不可分之驗耶?"【從理在氣中處言。 故性亦然矣。】有疑故記之。【恐指是程子曰。 '惡亦不可不謂之性也'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退溪先生曰 "學校風化之原。 首善之地。 而士子禮義之宗。 元氣之寓也。" 栗谷先生曰 "泮宮首善之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摭錄 燕山朝寒暄堂金先生宏弼梅溪曺參判偉倶謫昇平西溪之畔聚石爲臺是曰臨淸梅溪名之而爲記今六十餘年矣擬摹入石石品頑缺不能刻只刻臨淸臺三大字于前面乃退溪李先生滉筆也書此文者進士鄭沼也蕫是役者進士裵璹也太守則東城後學龜巖李楨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游軒先生以乙巳名賢爲後學所尊慕若其至親而爲高弟者有晩軒公之賢今數百載之下觀其咳唾之遺在簡編使人可無興感者深乎公當賢士憯禍之餘以士趨之乖方極加傷痛益自惕勵專意窮經甚見重於諸名碩如退溪文純公之所稱奬高峯玉溪眉巖之所推許盛矣哉儘可謂見木而識山也文章在公爲餘事而詩文若干篇實有以見其襟韻之淸灑辭義之精確矣素履雖自韜晦而遺蹟豈可湮沒哉今公雲仍之裒稡編摩以圖其繡梓而壽傳者不徒以格調體規之可諷玩也歟余嘗爲游軒集跋文而竊有欽歎於淵源之正矣今於公益信其邃學實踐有所受也噫晦翁所以序諸賢之文而必先序其爲人者斯可以爲準而顧非蕪拙之辭所能闡發人之覽斯集者一閱其附錄諸篇則其於實蹟始終可得瞭然而益復有味乎詩文云爾崇禎後三乙丑維夏德殷宋煥箕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先生後孫。故殉義承宣響山公之胤也。蓋響山公之炳炳義理。與日月爭光。先生。夙已擊節歎尙。其胤之志節學問。從昨冬嶠行。已欽艶之。方抱其考之遺蹟。願得先生之筆。圖不朽於來百。血腳趨造。仰認南蘭北蘭。

상세정보
1198
/6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