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인(門人) 명단(名單)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문인(門人) 명단(名單)을 적은 기록 이주혁(李周爀), 이지혁(李之爀)의 字, 號, 본관, 주소를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양회돈(梁會敦) 부의단자(賻儀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부의록 梁會敦 族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양회돈(梁會敦)이 족형 시천댁(族兄詩川宅)에 보낸 부의단자(賻儀單子) 촉대(燭代) 一金貳圓를 보낸다는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계묘년 추봉기(秋捧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丁孝鎭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묘년 정효진(丁孝鎭)이 작성한 추봉기(秋捧記) 계묘년 유사(有司) 정효진(丁孝鎭)이 상주 모서면 대표리(尙州 牟西面 大杓里) 이고곡(李古谷)에서 추봉(秋捧)할 내역과 이자(利資)를 작성한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조병만(曺秉萬) 시권(試券) 1 고문서-증빙류-시권 曺秉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587 조병만(曺秉萬)이 제출한 시권(試券) 부(賦)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갑자년 조▣▣(曺▣▣)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曺▣▣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자년 복시에서 제출한 조▣▣(曺▣▣)의 시권(試券) 부(賦)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3년 장성용(張聲容)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郡守 張聲容 行郡守[着名] *同福郡印, 1顆(4.2×4.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750 1903년 1월 동복군(同福郡)에서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6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범례(凡例) 초안(草案)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4항목으로 구성 된 문중 족보를 간행하기 위해 마련된 범례(凡例) 초안(草案)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4년 장성용(張聲容)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郡守 張聲容 *同福郡印, 1顆(4.1×4.1)*同福郡守之章, 1顆(2.4×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750 1904년 1월 동복군(同福郡)에서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6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상제(李喪制) 수신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喪制 李喪制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가천의 상주 이 아무개에게 조의와 감회를 적어 보낸 간찰 가천(可川)의 이상제(李喪制)의 상주에게 조의(弔意)와 감회를 적어 보낸 간찰이다. 보내주신 글을 받고 마음이 놓였다고 하면서 조의를 표하고, 관련하여 '눈앞에 쓸데없는 것은 없고, 마음에 깨끗하고 깊음이 있으며, 조용한 마음에 건곤(乾坤)이 크고, 한가한 중에 일월이 길다.'는 등의 감회를 적었다. 피봉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2년 윤기섭(尹璂燮) 간찰(簡札) 3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壬八念五 尹璂燮 東床 壬八念五 尹璂燮 東床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941 1902년 8월 25일에 윤기섭이 사위에게 풍두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보낸 간찰 1902년 8월 25일에 윤기섭(尹璂燮)이 사위[東床]에게 풍두(豐頭)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보낸 편지이다. 피봉이 있다. 부모님 모시고 공부하느라 고달프리라 생각하는데, 자신은 머리가 계속 흔들리는 풍두로 괴로움을 당하고 있어 스스로 서글퍼진다고 하며, 가까운 시일에 한 번 돌아봐 주기를 원하는 자신의 바람에 부응해 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이규호(李奎鎬) 호적(戶籍) 고문서-증빙류-호적 梁基炫 李奎鎬 聖壽面長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498 1933년 3월 23일에 임실군 성수면장(任實郡 聖壽面長) 양기현(梁基炫)이 이규호(李奎鎬)에게 발급한 호적(戶籍)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