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시권(試券) 3 고문서-증빙류-시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시권(試券) 시(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7년 장효지(張孝智)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孝智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3.0×4.6)*1顆(6.7×6.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759 1817년 동복현(同福縣)에서 유학(幼學) 장효지(張孝智, 6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6년 양재영(梁再永)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梁再永 牧使[着押] *周挾字改印, 1顆(墨印, 15.0×3.7)*1顆(6.4×6.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897 1816년 능주목에서 유학(幼學) 양재영(梁再永, 4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담양(潭陽) 갑향면(甲鄕面) 전주이씨(全州李氏) 일기(日記) 7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全州李氏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90 10월 14일에서 12월 4일까지 기록한 개인 일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2년 양준묵(梁浚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梁浚默 牧使[着押] *周挾字改印, 1顆(墨印, 14.6×3.7)*1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899 1852년 능주목에서 유학(幼學) 양호묵(梁昊默, 2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契約書一. 粗六石也但谷城郡石谷面飛鳳里所在參判公上下代位土賭粗中으로在用ᄒᆞ난 祭駄인바 左記事項으로 履行ᄒᆞᆯ事內譯一. 每年賭粗收入幾拾石中의 指定은 六石으로 ᄒᆞᆷ一. 前記六石中 四石은 參判公祭駄로 貳石은 檜木嶝詩川公祭駄로 依舊準用ᄒᆞᆷ一. 前記賭粗中 祭駄外 殘額은上下代先山及以上先山의 必要事項이 有ᄒᆞᆫ 時는 共同으로支用ᄒᆞᆷ一. 前記六石中의 祭駄增減ᄒᆞᆯ 時는 上下代山所의 元粗六石으로 依ᄒᆞ야 準行ᄒᆞᆷ一. 本人이 谷寶兩邑門中代表로 一門의 承諾을 菉受ᄒᆞ야 契約을 成ᄒᆞ인바 日後異議가 生ᄒᆞᆯ 時난 本人이 全部當擔ᄒᆞᆷ一. 前記事項을 永久이 履行ᄒᆞᆯ事로 ᄒᆞᆷ大正拾貳年陰三月貳拾九日谷寶兩邑星州李氏門中代表者寶城郡 文德面 雲谷里契約仁 李正淳[印]仝 仝 東橋里此山外孫 執筆 李秉洛[印]仝 彌力面 道開里証人 朴世炫[印]仝 寶城面 寶城里証人 金珷泳星州李氏門長 李大容┓從孫 李敎在┛ 殿追本契約을 貳枚作成ᄒᆞ야 壹枚는 門長從孫의게 壹枚는 李正淳의게 保管ᄒᆞ야 永久이 憑據ᄒᆞᆯ事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契約書谷城郡石谷面飛鳳里所在 惟我先祖參判公上下代墓位土地 垈田畓移轉手續에 對ᄒᆞ야 左記事項을 履行ᄒᆞᆯ事 契約ᄒᆞᆷ記一. 垈田畓拾九筆【壹万參千五百五拾八坪 地價壹千七百拾九円】一. 右土地을 門長의 名議로 單獨히名寄帳의 其才되엿더니 門長의 年老만 不是라 所重土地를一個人으로만 其才ᄒᆞᆯ슈 無ᄒᆞ여門議詢聞에 共同所有로 移轉整理ᄒᆞᆷ一. 土地移轉에 對ᄒᆞ야 參判公後孫이 谷城派可川派詩川派 合爲參派요 從孫은 詩川派의 存在ᄒᆞ여난듸 現에 移轉文券의 谷城派拾人可川派拾人만되고 詩川派의난 壹個人도記載치아니ᄒᆞᆷ이 代理者의 不敏임으로 更히 詩川派拾人을添付ᄒᆞ야 申請整理ᄒᆞᆷ一. 우십인첨부신청정리에 대하야 비용기하를 勿論 前記谷城派拾人과 可川派拾人이私金으로 支用이고 門中에난要求치 못ᄒᆞᆷ一. 前記谷城派拾人과 可川派拾人中의 此事項의 反對가 有ᄒᆞᆫ 時난 不須多言ᄒᆞ고 前記土地壹萬參千五百五拾八坪을 沃瘠等分으로 作爲參分ᄒᆞ야 貳分은 參判公位土壹分은 檜木嶝詩川公位土로 依旧認行ᄒᆞᆷ一. 本人이 谷寶兩邑門中代表로 承諾을 受ᄒᆞ여 此土地를整理ᄒᆞ난 以上이기로 單獨名義로 本人이 契約成立ᄒᆞᆷ一. 前記契約成立ᄒᆞ기 爲ᄒᆞ여 土地証明券은 本人이 保管ᄒᆞᆷ大正拾貳年陰四月壹日谷城郡 寶城郡 星州李氏門中代表者寶城郡 文德面 雲谷里契約人 李正淳李敎聲┓李敎在┛殿執筆 李秉洛 印証人 安圭臣 印李秉文 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3년 허성환(許聖煥)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癸酉七月二十二日 許性煥 李敎成 癸酉七月二十二日 許性煥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892 1933년 7월 22일에 허성환이 이교성에게 정형과 경언 등의 소식, 이참봉 조의 추심에 대한 생각 등을 적어 보낸 간찰 1933년 7월 22일에 허성환(許聖煥)이 이교성(李敎成)에게 정형(鄭兄)과 경언(京彦) 등의 소식, 이참봉 조(租)의 추심에 대한 생각 등을 적어 보낸 간찰이다. 돌아온 뒤에 마음이 항상 당신에게 있었던 것은 여름 3개월 동안 같은 곳에서 가르침 받은 것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하고, 부모님 모시는 형제들의 안부를 묻는데, 그 우울한 상황을 눈으로 보는 것 같아 잊을 수 없다고 하였다. 몽재(蒙齋) 형은 자신을 전송하는데 10리까지 나와준 것에 대한 감사하다고 하고, 천규(千圭)의 조제약방은 두세 번 말을 해서 써 보냈는데 그간 시험해본바 효과가 있었는지 물었다. 광주에는 사람이 많지만 지음(知音)은 적어 담양 가산에 며물렀다가 여름감기를 앓아 2·3일만에 돌아왔다는 것과, 경언(京彦)과 만나 나눈 대화 내용을 적고, 이참봉(李參奉) 조에 4원(圓)을 추심(推尋)했는데 1원을 보낸 것에 대해서는 횡설수설(橫說竪說)했지만 터놓고 얘기하자면 만나야 하는데 이번에 출발하면 언제 어디서 만날 수 있을지 아쉬워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홍종한(洪鍾漢)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子四月十四日 洪鍾漢 李碩士 丙子四月十四日 洪鍾漢 李碩士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753 1936년 4월 14일에 기하생 홍종한이 서찰을 받아보고 훌륭한 명성에 손뼉을 쳤다는 등의 내용으로 이석사에게 보낸 간찰 1936년 4월 14일에 기하생(記下生) 홍종한(洪鍾漢)이 이석사(李碩士)에게 보낸 간찰이다. 가뭄이 더욱 심해져 농민이 병이 들고 두렵기만 한데 삼가 체후가 신(神)의 도움으로 만 가지로 편안하신지 우러러 그리워하는 마음 그지없다는 인사말을 먼저 하였다. 기하생(記下生) 자신은 부족한 모습이 여전하지만 잘 지낸다고 하고, 어제 서울에서 온 서찰을 받아보았는데 비로소 훌륭한 명성(名聲)을 듣고 손뼉을 치면서 말하고 또 늦어져 달려갈 겨를이 없어 남을 시켜 대신한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22년 최응렬(崔應烈) 건물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建物所有權保存登記申請)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崔應烈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7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2년 12월 14일에 최응렬(崔應烈)이 전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제출한 건물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建物所有權保存登記申請)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任實郡 聖壽面 三峰里) 576번지 건물소유권 보존(保存)의 목적, 대리인(代理人)은 태윤풍(太允豊)임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42년 이강휘(李岡輝) 토지분필등기신청(土地分筆登記申請) 2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李岡輝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5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2년 12월에 신청자 이강휘(李岡輝)가 대리인(代理人) 삼본시일(三本矢一)로 하여금 전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제출한 토지분필 등기신청(土地分筆登記申請)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