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퇴계 으로 검색된 결과 1357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원집 등의 비용과 운송비 등에 관한 사항을 적어 보낸 간찰(簡札) 도산서원 유사 이상호(李祥鎬)가 퇴계문집 원집 등의 비용과 운송비 등에 관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奇典翰一日禁直夢羈旅關外客中吟成一首曰異域江山故國同天涯垂淚倚孤峰頑雲漠漠河關閉古木蕭蕭城郭空野路細分秋草裏人家遙住夕陽中征帆萬里無回棹碧海茫茫信不通忽覺記夢於舘壁未久坐己卯黨籍謫湖西又移配北道之穩城道中所見皆是詩中景色控馬諷詠悽然嗚咽從者皆揮淚至穩城尋賜死可知人事皆有前定士林傳誦莫不嗟惋【出金思齋正感摭言】寄示德陽遺稿深以慰荷鄧林之材未成棟樑而遽纒於風霆可爲於悒【退溪先生答禹性傅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宣祖丙午生隣舍有一官人夢有一人持産具曰我天人將以此遣宋氏家稍長喜讀書長者或以事闕課則先生必請之雖夜不得則不寐又好習字年未十歲北窓李時稷素善書見先生書曰汝已勝我矣就學于沙溪金長生受小學家禮等書丁外憂一如儀文小有疑晦必稟於師門沙溪曰將作禮家宗匠沙溪歿仍師事沙溪之子愼獨齋娶于愚伏鄭經世女愚伏期以遠到嘗夜夢侍退溪記夢詩曰平生欽仰退溪翁歿世精神尙感通此夜夢中承晦語覺來山月滿窓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傍揭以退溪先生筆自是之後無意當世卜居濵海之堧別構草堂種數株梅爲庭實與鄭菁莎沼許江湖淹鄭圃堂思翊許以道交日逍遙於堂琴書與娯菁莎詩有或恐播傳四隱名之句由是人稱昇平四隱丁卯明宗昇遐特設壇於堂北焚香拜哭成服後止亦當時特行也公陪退溪先生有臨淸臺次韻又於陶山兔溪堂有率性潛魚不起波之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以文王不能當殷之意釋之。沙溪。以文王之德。後人不能當之意釋之。而其後朴玄石。從退溪說。李直齋李巍岩。則皆從沙溪說。今以上文語勢觀之。沙溪說雖似親貼。而以下文所答之說觀之。則恐當從退溪說。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이 초록의 뒷면에는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답육학정문목(答陸學正問目)'의 일부를 베껴 놓았고 이어 퇴계 이황 선생이 도연명의 음주 시에 답하여 쓴 시의 제16번째 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答書困知記議論精微未易識破雖或識破亦豈容輕議然亦有窺見其二三處不敢隱之于左右蓋整菴認理氣爲一物故其見不得不與程朱小異而其小異者乃所以爲大異也朱子以道心原於性命之正人心生於形氣之私者固以理氣分而言之矣整菴以理氣不可分而言之故謂道心爲性人心爲情種種新奇之說皆從此出政所謂實見之差者亦不必深辨也但如盧丈【守愼】乃獨深陷其中何邪無乃實見之差與整菴不約而同邪不然何其背從古聖賢相傳不可易之定說而從一整庵之新奇邪頃嘗懇于退溪先生請一言以攻其謬退溪亦以爲戛而尙未之辨也如僕疏迂昏淺安敢力辨只覬吾學之少益以侯後日之詳論亦未晩也柳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述懷呈溪巖金先生【堉】 烏川遙接退溪流霽月曾明濂洛秋今日得宗惟諫議令人但願識荆州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그리고 『퇴계전집(退溪全集)』의 일은 선금(先金)을 제 때에 보냈는지 묻고, 도원(陶院)에서 독촉하는 글이 있었다고도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從而食其祿, 如是而有後日之死, 深所未曉〕" 《퇴계집(退溪集)》 권39 〈답정도가문목(答鄭道可問目)〉 퇴계의 대답 정자는 "사람은 마땅히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1357
/6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