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篇頭特揭大朝鮮。山河依舊千年地。日月方新一統天。若使后皇中國在。何須位號此邦傳。海東文物今華夏。萬乘之尊寧愧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勉菴先生疏 休命淸朝善對揚。咸觀一德遇明良。大義正扶麟獲筆。盛儀復覽鳳鳴崗。志氣特如松栢節。忠誠昭貫日星光。奠磐宗社闢邪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送一靑之鄕(渡邊壽夫【上同】) 離驛莫云馬不前思鄕多日幾低年去來春動朝鮮色【去來皆在春節故云】聚散雲分日本天學劒無成徒勞已讀書有得信裕然送君怊悵意難定玄海茫茫萬里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庭梧獨照先生月。門柳常傳處士風。筆下賢明多結契。願將靑史世知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陽齋權純命【安東人井邑永元面塔立里】一簣無虧九仞功靑氈不絶勉成躬窓欞耒照先天月簞席新淸太古風人坐詩書千卷裡堂高溪石萬山中克修舊業增顔色爲賀貽謨定不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御製致祭文 英廟朝 朝鮮國王謹遣臣通政大夫行金海府使南舜喆敢昭告于駕洛國首露王伏以於赫英靈千載垂光殿字經年雨露多傷守墓志儀體國之初頹瓦復葺宿草斯除牲體旣虔式陳明薦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永光壇建置事實 檀紀四千二百六十三年辛未春三月朔建享檀君箕子二聖人時倭寇肆虐宗社屋生民魚而朝鮮二字幾乎熄泐高敞儒林栗峯申鉉中與其同志某某冒死戮力虔奉國祖以扶一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竹谷【李應聘】 懷君來近地對竹詠淸詩地近人相阻還如遠在時附次韻【二首】半日相思意吾知在此詩滿林風雨歇歸趁夕陽時芳鄰眞一幸對雨看新詩詩思多淸遠閒吟十二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詞(漢陽後人玄谷趙緯韓) 進士聲名重翩翩濁世賢人閒傳草聖天上促詩仙高義層雲薄淸標玉鏡懸從今詞翰絶寂寞此朝鮮邂逅輝陽館論詩共醉眠他鄕逢故人一別隔重泉忍見鍾王字休彈山水絃平生珍重意痛哭向南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雲頭一杖翌朝仙。寺經浩劫庵仍在。謾使遊人追往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南山壇文 嗚呼哀哉惟我朝鮮爲他所擾點雲敝日昔之運也見賭雪消今之運也前此今日己未三一殉國烈士其外節死人雖死矣魂則尙存天威大動人何寂然烈兮節兮禮不敢忘設壇南麓享以酒果伏惟尊靈念彼天佑雪此神冤尙饗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惟我東邦宋朝以來閩中之文物逮至吾東各鄕有院有祠多存焉者也有祠有誌昔今不可須臾相離也立祠配享乃粢盛以祭有誌成編以述先賢事蹟懿行也兼而漢唐之遺風進展天下各鄕儒賢講道學修其節義相繼傳受淵源深矣是故湖南羅州居平坊有居平祠岳隱錦溪冠巖三公之乃其妥靈所也正廟朝以鄕儒據論立祠配享及今無祠誌後孫奉先之心羹墻之義無誠力然耶無貨力也然歟噫日久月深倘有文獻忘漏之歎抱恨何如心憂何如于嗟院宇興廢事蹟祖先盡忠之節義或問無徵無考豈不悚懼耶幸而今年院儒朴上東後孫潤根璨塾合謀彈誠竭力三公之卓節遺德抄選成篇計將刊印以圖萬世之寶傳三公之忠節以此推之則尤加德行光輝必遍於日月所照者也無疑矣然不肖先世遺事筆傳爲懼故不勝愀慕于今成册心悅無窮矣豈不瞻仰余學疏拙筆不能徹遺德而乃敢唐突陳述於大衆之前不勝僭越之至略敍陳跋歲在丁卯春正月上瀚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況於祖先事。曷敢一宇有私。蓋公誠孝根天。父喪廬墓終制。母喪斷指延壽。弘洽乙丑。筮仕將仕卽文昭殿參奉行綾城縣令。務善治平。邑人立石頌德。辛未行兵曹佐郞。贈工曹參議。己卯禍作。絶意榮進。不復仕宦。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寄家兒出門日又遭亂雜在家必思爲客爲客難忘在家然生此世者安得無今日也但甲午餘怖尙存尤關念矣外來風傳勿爲泛聽勿爲過驚酌中做去如有急警則難以守家須如往昔先發可也姑觀彼之鴟張與否多口之家失業則難免溝壑無失農時凡事十分着意朝夕間常自省察焉山訟間已結末否若不如意則姑置之可也匪徒十九日夜陷古阜兵仗取去外張聲勢無慮數千其實不過數百云完兵三路交下一隊則二十二日宿泰仁其翌又待後軍而留之雖未知裏許似無急擊之意云以今國計則此時不可少緩而玩賞時日亦復如何吾行常自宿園栗翌日宿柳郞家以挽留半日留抵杏壇爲探前路消息止一日謁崔文昌影像途古縣松亭諸金氏主人來頗頻矣木支族祖先待同暢餘可傳矣今方向上而不可回轡行行前進無憂汝父而爲汝事也前頭無奪騎之慮而若或有之闊看則無事矣綾州換事覓去耶以今時象則必不來而若來則如來時言以四爲主裁書於峒菴也方披侄而發暫書此付木支族祖餘必許矣不具己亥四卄四日父在杏壇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及祖考舊序。已悉玆不贅云。崇禎五己卯三月下浣。寺正公十二代孫勳。謹序于橋洞墓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此可謂不負祖先貽謨底思。而公亦不愧其爲見根撥而知花者也。源淸則流潔。根深則枝茂。以顔程朱三川爲爲源。其源也未始不淸。以公手植柳爲根。其根也不得不厚。則流之潔枝之茂。不期然而然者也。有體而後有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凡士夫家祖先之遺澤。愈遠愈光。愈光故愈不忘。是以和氏之璧韞於荊石。隋侯之珠藏於蚌蛤。其將舍景曜吐英精。曠千載而流光。若樂安吳氏處士公墓天嶝之齋。則尤有可稱道者。吳氏在勝朝。自樂安君諱士龍以來。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惟我祖先霽峯先生。殉節于錦山之役。當時同殉諸公。不爲不多。而今奉讀松巖曺公忠勇義三歌。其秋霜義烈。懍懍乎數百歲之下。匪直言之終允蹈之。可知其當日激發義旅。公之力居多矣。公諱彦壽。字一汝。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何不以其祖先之心爲心歟。聽聞所及。寧欲掩耳耳。鄙四從弟舜在。亦平安而每每相對。說到吾兄。恨不鼎坐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徽音遐阻 心常缺然 去年幸逢貴族彥國兄 謹悉尊體味道春和 今春 又因鄙鄕金炯祖 得聞老兄安信 小慰遠外慕仰之情 見今歲寒漸劇 可見松柏之後彫 伏惟道體貞吉 分外向仰 區區不任 此去少輩 卽余族孫也 方有事于祖先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