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이정호(李禎鎬) 수신 서류제출 독촉통지서 고문서-첩관통보류-고지서 本多增市 李禎鎬 1922 本多增市 李禎鎬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568 이정호에게 신청서류의 제출을 독촉하는 통지서 이정호(李禎鎬)에게 별지로 통보한 신청서류를 독촉하는 통지서이다.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앞뒤 자료로 보아, 아래의 〈1922년 본다증시(本多增市) 토지매매계약서(土地賣買契約書)〉의 문서와 관련된 조치로 보인다. 글자체는 한자와 일본어를 혼용하여 작성되었다. 제출서류는 〈1922년 본다증시(本多增市)의 제출서류 통지서(通知書)〉 문서에 수록된 서류내역서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0년 송춘만(宋春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庚申閏月旬一 宋春萬 庚申閏月旬一 宋春萬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0년 윤달 11일에 복제 송춘만이 자신의 근황과 초립의 송부 등을 내용으로 형에게 보낸 간찰 1920년 윤달 11일에 복제(服弟) 송춘만(宋春萬)이 형에게 보낸 간찰이다. 연일 술자리에서 시를 지어 마음에 쌓여있는 것이 없었으니 진실로 우리에게는 휴가를 받아 노니는 좋은 기회였으나 곧 슬픈 일이 있어 슬픔이 더욱 절실하다고 하며 형의 체후가 연이어 평안하며 잘 보중하고 우러러 그리워하는 마음이 그지없다는 등의 인사말을 하고, 상중인 자신은 신가(新家)에 이르러 모든 범절을 집안을 돌아보며 말하였다고 하였다. 또 초립(草笠)은 그곳에서 대신 보내주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묻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22년 본다증시(本多增市) 토지매매계약서(土地賣買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本多增市 李禎鎬 本多增市 李禎鎬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568 1922년 나주군 금천면 죽촌리 토지를 본다증시가 이정호에게 매도하는 토지매매계약서 1922년 본다증시(本多增市)가 이정호(李禎鎬)에게 토지를 매도하는 토지매매계약서이다. 토지 소재지는 나주군 전천면(金川面) 죽촌리(竹村里)이며, 토지의 규모는 663평이다. 매도자는 갑(甲) 본다증시(本多增市)이며, 매수자는 을(乙) 이정호(李禎鎬)이며, 매매가격은 일백 원이다. 대금지급기일은 1922년 4월 20일이며, 등기비용 등의 부담, 1922년 농사를 지은 소작인에게는 손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등의 조건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24년 이기호(李起鎬)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 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李起鎬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 10월 13일에 신청자 이기호(李起鎬)가 김용식(金容植)을 대리인(代理人)으로 하여 전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제출한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8년 이봉진(李奉珍) 등기명의인 표시경정 등기신청서(登記名義人表示更正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李奉珍 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 崔永俊 4顆, 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6.0×6.0), 司法書士朴容淳 4顆(1.5×1.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12월 5일에 이봉진(李奉珍)이 최영준(崔永俊)을 대리인으로 하여 토지에 대한 등기명의인 표시경정등기(登記名義人表示更正登記)를 광주지방법원 진도출장소(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에 신청한 문서 대상: 진도군 임회면 봉상리(珍島郡 臨淮面 鳳翔里) 873番地 畓142坪, 1373番地 畓560坪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이기춘(李基春)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海南縣監 李基春 行縣監<押> 海南縣監之印 (6.5x6.5), 周挾無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570 1822년 1월에 해남현(海南縣)에서 유학(幼學) 이기춘(李基春, 4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이기춘(李基春)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海南縣監 李基春 行縣監<押> 海南縣監之印 (6.8x6.8), 周挾無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570 1819년 1월에 해남현(海南縣)에서 유학(幼學) 이기춘(李基春, 4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2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안장일은 10월 24일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3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7년 강홍복(姜弘福)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弘福 行郡守<押> □…□ (7.5×7.5),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7 1777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홍복(姜弘福, 3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8년 이종관(李宗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宗寬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299 1858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유학(幼學) 鰥 이종관(李宗寬, 5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4년 강홍제(姜弘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弘齊 行郡守<押> □…□ (7.5×7.5),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8 1774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홍제(姜弘齊, 3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