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5년 이종관(李宗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宗寬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299 1855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유학(幼學) 이종관(李宗寬, 4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6년 강우백(姜遇伯) 처 순창조씨(淳昌趙氏)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遇伯 妻 淳昌趙氏 行郡守<押> □…□ (7.0×7.0), 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8 1816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강우백(姜遇伯) 妻 순창조씨(淳昌趙氏, 5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남편 강우백(姜遇伯)이 죽고 妻 순창조씨(淳昌趙氏)가 대신 호주가 된 것으로 보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4년 강홍복(姜弘福)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弘福 行郡守<押> □…□ (7.5×7.5),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7 1774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홍복(姜弘福, 3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담양(潭陽) 갑향면(甲鄕面) 전주이씨(全州李氏) 일기(日記) 5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全州李氏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90 계해년 1월 1일에서 2월 29일까지 기록한 개인 일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담양(潭陽) 갑향면(甲鄕面) 전주이씨(全州李氏) 일기(日記) 6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全州李氏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90 9월 21일에서 10월 13일까지 기록한 개인 일기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세계기록(世系記錄)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세계(世系) 일부를 필사한 기록 20世 덕조(德祚)에서 23世까지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춘암(春菴) 효자문 묘표 글씨 고문서-기타-서화 春菴 3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춘암(春菴)이 쓴 양광묵(梁光默)의 효자문 묘표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춘암(春菴) 정려 묘표 글씨 고문서-기타-서화 春菴 3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춘암(春菴)이 쓴 열부(烈夫) 숙인(淑人) 강릉(江陵) 함씨(咸氏)의 정려 묘표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연명인기(連名人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1923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697 이교성 등 연명인 21인의 이름을 기록한 연명록 이교성(李敎成) 등 연명인 21인의 이름을 기록한 연명록(聯名錄)이다. 모두 이씨(李氏)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23년 이정순(李正淳) 계약서 1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大正拾貳年陰三月貳拾九日 李正淳 李大容 大正拾貳年陰三月貳拾九日 李正淳 李大容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697 1923년 음력 3월 29일 이정순이 작성한 참판공 상‧하대 위토의 도벼 사용에 대한 계약서 1923년 음력 3월 29일 작성한 곡성군 석곡면 비봉리 소재 참판공 상‧하대(上下代)의 위토 도벼(賭租)에 대한 계약서 첫 면이다. 계약서의 내용은 곡성군 석곡면 비봉리에 소재하고 있는 참판공의 아래 윗대의 위토(位土) 도벼 중에서 지용(支用)하는 제사에는 다음 사항으로 이행할 것이라고 하였는데, 매년 도벼 수입 몇 십 섬(石) 중에서 지정(指定)은 6섬으로 하며, 6섬 중에서 4섬은 참판공 제사에 2섬은 시천공 등의 제사에 쓰되 예전대로 준용한다고 하는 것 등이다. 곡성‧보성 양 읍의 성주이씨 문중 대표자로, 보성군 문덕면 계약인 이정순(李正淳) 등 2인과 증인 2명, 그리고 성주이씨 문장 이대용(李大容), 동 종손 이교재(李敎在) 등의 서명과 도장이 찍혀 있다. 이교성(李敎成) 등 연명인 21인의 이름을 기록한 연명록이다. 모두 이씨(李氏)이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