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0년 양재영(梁再永)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梁再永 牧使[着押] *周挾字改印, 1顆(墨印, 14.5×3.5)*1顆(7.0×6.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897 1810년 능주목에서 유학(幼學) 양재영(梁再永, 42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897년 이교영(李敎永) 제문(祭文) 1 고문서-시문류-제문 丁酉十月戊戌朔二十日丁巳 李敎永 丁酉十月戊戌朔二十日丁巳 李敎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529 1897년 10월 20일 이교영(李敎永)이 5대조 할머니 증숙인 해평윤씨 묘소에 올리는 제문 1897년 10월 20일 이교영(李敎永)이 5세부터는 친진(親盡)으로 1년에 한 번 묘제를 지내게 된 5대조 할머니 증(贈) 숙인(淑人) 해평윤씨 묘소에 올리는 제문의 초고이다. 친진은 성현이 정한 예(禮)이고, 즉 이(理)이고 또 정(情)이니 누가 감히 어기겠는가라고 하였다. 그런데 1880년 자신이 정읍 두승산(斗升山) 아래 안영리로 이사한 뒤 1881년에 처음 세향(歲享)을 시작했는데, 난리로 혹은 형세로 제사에 참례(參禮)하지 못한 것이 이미 16년이 되었다고 하였다. 금년 봄 제사에 대해 들었으나 서로 다른 언덕을 바라보기만 하다가, 하나의 지방(紙榜)으로 오세조 고비(考妣) 묘 옆에 합쳤다고 하니, 세향은 반드시 묘소에서 하는 것인데 이같이 하면 어찌 묘제의 이름이 있겠는가 하고, 마침내 이것이 연례(年例)가 되어 여전히 묘향(墓享)을 빠뜨리고 있으니 이것은 시천(詩川)의 한 종인(宗人)에게서 나온 것이고 편리함으로 집안사람들을 선동하였다고 하였다. 그간 제사에 참예하지 못한 죄는 뒤미처 후회해도 미치지 못한다고 하고, 자신이 잔약한 바탕으로 가난하고 이룬 것이 없으나 또한 한줄기 선조의 기운을 이은 사람이라, 삼가 대강을 논하여 바로잡겠다고 하는 내용의 제문이다. 이 제문은 아래의 관련문서 중 〈1897년 이교성(李敎成) 제문(祭文)〉 내용과 거의 유사하다. 글씨체가 다르고 수정 흔적이 많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이정호(李禎鎬) 수신 엽서(葉書) 고문서-서간통고류-엽서 李禎鎬 1922 李禎鎬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568 모년 11월 1일에 나주군 이정호(李禎鎬) 앞으로 보낸 엽서 모년 11월 1일에 나주군 이정호(李禎鎬) 앞으로 보낸 엽서이다. 겉면에는 발신자 이름은 쓰지 않았고, 우체국 소인이 찍혀 있다. 안쪽 면에는 글씨가 흐려져 불분명하나, 본다(本多) 씨, 죽촌리, 전(田) 663평 등의 글이 있고, 같은 엽서 바깥면의 수신인이 이정호(李禎鎬)인 것으로 보아, 아래의 문서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글자체는 한자와 일어로 혼용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4년 이종일(李鍾一)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子 陰十月 二十五日(간찰)/陰十月 二十六日(피봉) 李鍾一 李冕容 甲子 陰十月 二十五日(간찰)/陰十月 二十六日(피봉) 李鍾一 李冕容 경성부 죽첨정 131번지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4년 10월 25일 족손 이종일이 이면용에게 족보 편찬사업 관련내용으로 보낸 간찰 1924년 10월 25일 족손(族孫) 이종일(李鍾一)이 가천 이면용(李冕容)에게 보내는 간찰이다. 집안 어른의 안부를 묻고, 족보편찬 일과 관련해 자신의 의견을 적었다. 홍순(洪淳)을 통해 안부를 들었고, 또 공의 의론(議論)으로 우리 문경공파(文景公派)의 족보를 기일에 맞춰 완성하는 것은 자신의 바람이기도 하며, 통찰해 주심에 칭송하는 마음에 끝이 없다고 하였다. 10월에 수운(壽韻)의 건강이 계절에 따라 좋은지, 집안이 모두 편안한지 묻고 자신은 그런대로 지낸다고 하였다. 보의(譜儀)는 두 번의 통유(通諭)에서 잘 알았으나, 그 파(派)에서 각자 작업하는 것은 오히려 산만하고 계통이 없으니, 경기에서부터 먼저 창도해나갈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족대부(族大父)께서 감독하고 살펴주어서 이미 시작한 이 일을 완성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피봉 앞면에는 보성군 문덕면 가천리 이면용씨 정좌하(李冕容氏 靜坐下)라 하였고, 뒷면에는 경성부 죽첨정(竹添町) 131번지 이종일, 음력 10월 26일이라고 썼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안순지(安順之) 답장간찰 사본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정암 조광조가 안순지에게 답한 간찰을 필사한 사본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가 안순지(安順之)의 간찰을 받고 답장을 보낸 것으로, 상대방이 학문에 장족의 발전이 없음을 한탄한 것에 대해, 자신도 병이 깊은데 대사헌을 맡아 공무에 마음을 쏟느라 벗들의 바램에 부응하지 못함을 안타까워하며, 부채를 보내준 것에 감사하는 내용이다. 《정암선생문집》 권2, 서, 답안순지서(答安順之書)이다. 안순지는 안처순(安處順, 1492~1534)으로, 본관은 순흥(順興), 자가 순지, 호는 기재(幾齋)·사재당(思齋堂)이다. 장옥(1493~?)은 자가 자강(子剛), 호가 유정(柳亭), 본관이 덕수(德水)이다. 1515년(중종10) 알성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벼슬이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에 이르렀다. 시문과 성리학에 뛰어났으며, 심정(沈貞)의 소요정(逍遙亭) 서문을 지어 사림(士林)의 비난을 받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복록(問卜錄)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관생진성수지(觀生辰星數知)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이기춘(李基春)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海南縣監 李基春 行縣監<押> 海南縣監之印 (6.7x6.7), 周挾無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570 1813년 1월에 해남현(海南縣)에서 유학(幼學) 이기춘(李基春, 3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6년 이기춘(李基春)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海南縣監 李基春 行縣監<押> 海南縣監之印 (7.0x7.0), 周挾無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570 1816년 1월에 해남현(海南縣)에서 유학(幼學) 이기춘(李基春, 4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5년 최종렬(崔鍾烈)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崔鍾烈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6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419 1935년 5월 9일에 신청자 최종렬(崔鍾烈)이 대리인(代理人) 한태수(韓泰洙)로 하여금 전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제출한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19년 장지순(張智淳) 토지 분할 등기신청서(土地分割登記申請書) 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張智淳 光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9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9년 9월 25일에 신청자 장지순(張智淳)이 대리인(代理人) 진기옥(晉淇鈺)으로 하여금 광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光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제출한 토지 분할 등기신청서(土地分割登記申請書)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0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안장일은 8월 20일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안장일은 9월 2일임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