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강우백(姜遇伯)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遇伯 行郡守<押> □…□ , 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8 1813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우백(姜遇伯, 5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68년 강홍복(姜弘福)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弘福 行郡守<押> □…□ (7.0×7.0),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7 1768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홍복(姜弘福, 2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양윤화(梁潤華)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梁潤華 行牧使[着押] *周挾字改印, 1顆(墨印, 14.8×3.6)1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1년 능주목에서 유학(幼學) 양윤화(梁潤華, 52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0년 양시영(梁始永)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梁始永 *1顆(墨印-훼손)*1顆(훼손)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0년 능주목에서 유학(幼學) 양시영(梁始永, 3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담양(潭陽) 갑향면(甲鄕面) 전주이씨(全州李氏) 일기(日記) 3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全州李氏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90 임술년 7월 12일에서 10월 3일까지 기록한 개인 일기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70년 박종은(朴鍾垠) 임야 소유권 보존(林野所有權保存)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朴鍾垠 光州地方法院 和順登記所 司法書士具齊完印 3顆(2.2×2.2), 광주지방법원화순등기소인(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0년 박종은(朴鍾垠)이 임야 소유권 보존 등기 신청을 위해 광주지방법원 화순등기소에 제출한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대상: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산28번지 임야 6무보 1970년 9월 21일에 등기 완료 부동산 표시, 등기원인과 그 연월일, 등기목적 등의 항목으로 구성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양정재선생(梁正齋先生) 문인록(門人錄)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양정재 선생(梁正齋先生)의 문인록(門人錄) 모두 9명의 문인들이 수록되어 있음 화순군은 7명이며 영암군 1명, 부안군 1명 성명, 생년, 주소가 기재되어 있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4년 윤기동(尹基東)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十九年甲戌十一月十六日 尹基東 金貴乭 嘉慶十九年甲戌十一月十六日 尹基東 金貴乭 전라남도 보성군 幼學尹基東[着名], 鄭禹山[着名]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742 1814년 11월 16일에 유학 윤기동이 한량 김귀돌에게 석동평 소재 토지를 매매하는 명문 가경 19년 1814년(순조 14) 11월 16일에 묘위답(墓位畓) 주인 유학(幼學) 윤기동(尹基東)이 한량(閑良) 김귀돌(金貴乭)에게 토지를 매매하는 명문(明文)이다. 지금 큰 흉년을 만나 석동평(席洞坪)의 묘위(墓位) 훈자답(訓字畓) 1마지기 부수(負數) 3복(卜) 9속(束)인 논을 전문(錢文) 6냥(兩)으로 값을 매겨 숫자대로 받고 위의 사람에게 본 문기(文記)와 함께 영구히 매매하니, 이 뒤로 자손 중에 쓸데없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문기로 변정(卞正)할 일이라는 내용이 쓰여 있다. 그 아래 부분에는 묘위답 주인 유학 윤기동이라고 직접 쓰고 서명한 것과 증인(證人) 한량 정우산(鄭禹山)의 서명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최숙(崔橚)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辰第四日 崔橚 李舜九 戊辰第四日 崔橚 李舜九 전라남도 담양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8년 1월 4일에 최숙이 옛날 일의 진전 소식과 전 해의 스승 원고의 장황(粧黃), 뒤의 원고의 인출 계획, 선향에서 볼 수 있는 유생 통지 등의 내용으로 이순구에게 보낸 간찰 1928년 1월 4일에 전남 담양군 대덕면(大德面) 용대리(龍坮里)에 사는 최숙(崔橚)이 전남 보성군 문덕면(文德面) 가천리(可川里)에 사는 이순구(李舜九)에게 보낸 간찰이다. 피봉이 있다. 해가 바뀌었는데 춘부장께서는 잘 계신지 등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인출(印出)에 있어 옛날 일에 대한 소식이 조금 진전이 있는 듯하여 다행이다. 스승의 원고는 전 해에 장황(粧黃)하였으나, 그 뒤의 원고는 다만 돈이 없어 아직도 인출하지 못하고 있다. 봄 사이에는 인출할 생각이다. 선향(仙鄕)에서 혹 볼 수 있는 유생은 부디 통지해 달라고 하였다. 나머지 많은 일들은 대면하여 아뢰고 이만 줄이겠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해 천경당서국(天頃堂書局) 도서목록(圖書目錄) 고문서-치부기록류-서목 千頃堂書局 李敎成 千頃堂書局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상해 천경당서국에서 이교성에게 보낸 도서목록 중국 상해 소재의 천경당서국(天頃堂書局)에서 이교성(李敎成)에게 뽑아준 도서목록이다. 《주자강목(朱子綱目)》, 《도연명집(陶淵明集)》 등 18종의 책 제목과 가격이 적혀있다. 가격은 판본과 종이 질에 따라 1~2종으로 되어 있다. 《주자강목》의 경우 석인(石印) 10원(元), 목판 32원으로 되어 있다. '초상소유(抄上所有)'라고 쓴 제목 부분이 온전하고, 제일 뒷줄이 잘렸다. 뒷면에도 목록이 이어지며, 마지막 줄에 이교성 선생, 천경당 배(拜)라고 써서 발·수신자를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0년 청인(淸仁)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乾隆伍十五年庚戌三月初二日 淸仁 三奉 乾隆伍十五年庚戌三月初二日 淸仁 三奉 전라남도 보성군 淸仁[着名], 廣粲[着名]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742 1790년 3월 2일에 산인 청인이 삼봉에게 문전면 석동평원 소재 토지를 매매하는 명문 건륭(乾隆) 55년 1790년 3월 2일에 답주(畓主)인 산인(山人) 청인(淸仁)이 삼봉(三奉)에게 토지를 매매하는 명문(明文)이다. 자기가 매입한 논을 여러 해 동안 갈아 먹다가 상좌(上佐)인 찬호(粲好)의 봉인사(鳳印寺)가 빚이 매우 많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문전면(文田面) 석동평원(席洞坪員)에 있는 훈자답(訓字畓) 1두락지 2배미[夜味] 부수 2부6속인 곳을 전문(錢文) 10냥으로 값을 매겨 숫자대로 받고 위의 사람에게 본 문기(文記)를 3장을 아울러 영구히 방매하며, 이 뒤로 상좌 중에 쓸데없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문기를 관에 고하여 변정(卞正)할 일이라는 내용이다. 그 아래 부분에는 논의 주인인 산인 청인(淸仁)의 서명이 있고, 필집(筆執)은 산인 광찬(廣粲)이며 서명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이복광(李馥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海南縣監 李馥光 行縣監<押> □…□ (6.5x6.5), 周挾無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567 1801년 1월에 해남현(海南縣)에서 유학(幼學) 이복광(李馥光, 6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이호(李虎)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柳希相 李虎 1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4월 3일에 류희상(柳希相)이 이호(李虎)에게 발급한 영수증(領收證) 이복현(李馥鉉) 등의 보존 이비(保存 移費) 3圓59錢 중 잔금 1圓79錢을 받았다는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