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5년 나수열(羅壽烈)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乙亥二月十一日 羅壽烈 李敎成 乙亥二月十一日 羅壽烈 李敎成 전라남도 장성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789 1935년 2월 11일에 나수열(羅壽烈)이 혼사에 맥동리에 사는 김규봉의 딸을 소개하고 좋은지 봐달라고 하는 내용으로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낸 간찰 1935년 2월 11일에 전남 장성군 삼계면(森溪面) 수각리(水閣里)에 사는 외종질 나수열(羅壽烈)이 전남 보성군 문덕면(文德面) 용암리(龍巖里)에 사는 이교성(李敎成)에게 보낸 간찰이다. 피봉이 있다. 지난번 서찰은 침체되어 아직 받아 보지 않았는지 암울하다. 삼가 형제분과 집안 모두 편안한지 안부를 묻고, 외종질 자신은 집안이 모두 별고 없이 지내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였다. 혼사(婚事)는 자신의 고을 맥동리(麥洞里)에사는 김규봉(金圭鳳)이 하서(河西) 장령(掌令) 집안의 종손인데 그의 규수(閨秀)가 나이 18세라 하였다. 일전에 양형(梁兄) 선부(善夫)가 와서 서로 의논하였는데, 김규봉이 속히 좋은지 봐달라고 하였다고 하니 숙부께서 속히 왕림하여 이렇든 저렇든 간에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장동(長洞)의 숙부에게 서찰을 보내지 않았으니 전보로 전해줄 것을 부탁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21년 고려밀직대제학 이인민(李仁敏) 묘갈명(墓碣銘) 고문서-시문류-묘문 辛酉四月 李商永 辛酉四月 李商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1년 4월 16일 이상영이 쓴 고려밀직대제학 이인민의 묘갈명과 서문 1921년 4월 16일, 통훈대부 행(行) 성균관교수(成均館敎授)를 지낸 이상영(李商永)이 쓴 고려밀직대제학 이인민(李仁敏)의 묘갈명과 서문이다. 이인민(1330~1392)은 할아버지가 이조년(李兆年)이며, 백형이 이인복(李仁復), 중형이 이인임(李仁任)인 당대 최고의 권문세가였다. 그러나 이상영은 이 묘갈명의 서두에서, 공은 국정이 어지러움을 보고 하루아침에 관직을 버리고 경산으로 돌아갔으니 이른바 '하루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는 사람'(不俟終日者)이었다고 하였다.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에 "기미를 보고 떠나가서 하루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見幾而作 不俟終日)"고 하였다. 그리고 목은(牧隱) 이색 선생이 그에게 준 시에서 "돌아가도 되는데 돌아가지 않는 사람은 한산(韓山) 옹이고, 머물러도 되는데 머물지 않는 사람은 제학(提學) 공"이라고 한 것과, "선생의 대의(大義)는 군신(群臣)을 움직였다."고 하고 또 "출처(出處)는 다만 대의를 보존하기 위해서였다."라고 한 것을 인용하며, 공의 고상함은 헛되이 고상한 것이 아니라, 의(義)가 있으면서 고상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상영은 1905년 11월 2일 을사오적인 박제순 등 역적들에게 국법을 시행할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박내현(朴乃見)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朴乃見 朴乃見信(원형), 成根(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3년 음력 3월 29일에 박내견(朴乃見)이 발급한 영수증(領收證) 박내현이 분묘(墳墓) 2塚과 임야대금(林野代金) 잔금 70円을 받고 작성해 준 것으로 입회인은 선성근(宣成根)임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차용금 신청서 사정(借用金申請書査定)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1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498 차용금 신청서 사정(借用金申請書査定)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장기대부금사도조사서(長期貸付金使途調査書) 고문서-증빙류-증명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498 장기대부금사도조사서(長期貸付金使途調査書)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귀제법(歸除法) 초(抄)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귀제법(歸除法)을 초(抄) 해 놓은 문서 귀제법(歸除法) : 구귀제법(九歸除法), 구귀가를 이용한 나눗셈법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5년 이복광(李馥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海南縣監 李馥光 <押> □…□ (6.5x6.5), 周挾無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567 1795년 10월에 해남현(海南縣)에서 유학(幼學) 이복광(李馥光, 6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7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안장일은 9월 7일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이종린(李宗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宗鱗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299 1843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한량(閑良) 이종린(李宗鱗, 3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이전 호구의 호주 이만채(李萬彩)와 이종린(李宗鱗)이 생년과 사조가 같아 동일인일 가능성 있으나 개명관련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정확하지는 않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7년 강우백(姜遇伯)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姜遇伯 靈巖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8 1807년 1월에 유학(幼學) 강우백(姜遇伯, 50세)이 영암군(靈巖郡)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