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이만채(李萬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萬彩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286 1834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한량(閑良) 鰥 이만채(李萬彩, 3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50년 강중태(姜重泰)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重泰 行郡守<押> □…□ (7.0×7.0),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4 1750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통정대부(通政大夫) 강중태(姜重泰, 5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6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안장일은 정월 17일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7년 강지백(姜之伯)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之伯 行郡守<押> □…□ (7.0×7.0),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83 1807년 1월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지백(姜之伯, 4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9년 정제현(鄭濟玄)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鄭濟玄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9년 정월에 정제현(鄭濟玄)을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군(行龍驤衛副護軍)에 임명하는 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2년 강록(講錄)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술(壬戌), 계해(癸亥),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진년(戊辰年)까지 7년 동안 기록한 유가서(儒家書)를 강경(講經)한 명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암서원(秀巖書院) 임원록(任員錄)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秀巖書院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수암서원(秀巖書院)에서 작성한 임원록(任員錄) 수암서원(秀巖書院)의 임원록(任員錄)으로 진신장의, 향장의, 향색장, 향직일, 도장의 도색장, 도직월의 이름이 각각 기재됨 임원록의 작성은 매년 재향이 진행되는 8월 丁日에 진행되는 것으로 보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조병만(曺秉萬) 시권(試券) 6 고문서-증빙류-시권 曺秉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587 조병만(曺秉萬)이 작성한 시권(試券) 부(賦) 할거법(割去法)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장효지(張孝之)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孝之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4.5×5.5)*3顆(6.3×6.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759 1813년 동복현(同福縣)에서 유학(幼學) 장효지(張孝智, 63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조병만(曺秉萬) 시권(試券) 5 고문서-증빙류-시권 曺秉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2587 조병만(曺秉萬)이 작성한 시권(試券) 부(賦) 부제(賦題): 신임계갑(辛壬癸甲)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3년 소경달(蘇慶達) 토지매매명문(土地買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嘉慶八年癸亥二月十六日 蘇慶達 尹時復 嘉慶八年癸亥二月十六日 蘇慶達 尹時復 전라남도 보성군 蘇慶違[着名], 諸光福[着名], 任翼材[着名]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742 1803년 2월 16일에 답주 유학 소경달이 유학 윤시복에게 문전면 석동 마을 소재의 토지를 매매하는 명문 가경(嘉慶) 8년 1803년(순조 3) 2월 16일에 유학(幼學) 소경달(蘇慶達)이 윤시복(尹時復)에게 토지를 매매하는 명문(明文)이다. 자기가 매득한 논을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가졌던 땅을 팔아서 다른 땅을 사기 위하여 문전면(文田面) 석동(席洞) 마을 앞에 있는 훈자답(訓字畓) 1두락지 2배미[夜味] 부수(負數) 2부6속(束)인 곳을 전문(錢文) 21냥으로 값을 매겨 숫자대로 받고 위의 사람에게 본 문기(文記) 5장을 아울러 영구히 방매하며, 이 뒤로 여러 쓸데없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문기를 관에 고하여 변정(卞正)할 일이라는 내용이다. 그 아래 부분에는 논의 주인인 유학 소경달의 서명과 증인 유학 제광복(諸光福)의 서명이 있고, 이 문기를 쓴 유학 임익재(任翼材)의 서명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