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강우백(姜遇伯)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遇伯 行郡守<押> □…□ (7.0×7.0),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8 1801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우백(姜遇伯, 4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김재식(金宰植)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之 九月 七日 金宰植 戊之 九月 七日 金宰植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8년 9월 7일 김재식이 안부를 묻고 아들을 처가에 보내는 일 등을 쓴 간찰과 피봉 1928년 9월 7일 김재식(金宰植)이 안부를 묻고 아들을 처가에 보내는 일 등을 쓴 간찰이다. 만난 뒤로 소식도 늦어지니 마음이 더욱 안 좋아, 만나지 못할 때는 서한이 없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고 하고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있다. 상대방의 어머니가 연세가 많으신데 기력이 나빠지지 않았는지, 본생(本生) 어머니의 환후는 또 어떠신지, 부모님 병환 중에 형의 건강은 어떠신지, 며느리는 탈을 면했는지 등을 두루 묻고 그리움이 간절하다고 하였다. 자기의 아들은 절후(節後)에 마땅히 보내겠지만, 관례 뒤에 인사가 빠진 곳이 많아, 동반하는 사람들이 있어 같이 보낸다는 등의 내용이 있다. 봉투 앞면에는 '가천 시좌하 입납(可川 侍座下 入納)'으로 기재되어 있고, 뒷면에는 봉함부분에 완(完)이라고만 쓰여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양회수(梁會水)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寅十二月十一日 梁會水 李敎成 戊寅十二月十一日 梁會水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8년 12월 11일에 양회수가 쌀의 석당 가격을 협의 처리하자고 보낸 간찰 1938년 12월 11일에 양회수(梁會水)가 쌀의 석(石)당 가격을 협의 처리하자고 보낸 간찰이다. 상대방이 떠날 때 자신의 마음이 평온하지 못했고 형도 분함이 풀리지 않아서 속에 쌓인 것을 터놓지 못하여 지금까지 안타까웠는데, 뜻밖에 심부름꾼이 오고 서찰까지 받으니 기쁘고 감동적이라고 하였다. 상중(喪中)에 있는 형제들과 집안에 대해 안부를 묻고, 자신은 다른 별일은 없으나 약속한 일이 다른 사람에게 달려있고, 약속을 배반하기도 어렵다고 하였다. 석(石) 당 가격과 관련해서 상대방이 분이 나서 듣는 것이 명확하지 않았다고 하면서, 다시 계산 근거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피차에 서로 좋은 방향으로 충분히 협의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마음 등을 피력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과 은봉(隱蜂) 안방준(安邦俊)의 왕복 서신 비평문 고문서-시문류-문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송자》 부록과 《은봉집》에 수록된 우암 송시열과 은봉 안방준의 서신을 비교하여 쓴 비평문 《송자(宋子)》 부록과 《은봉집(隱峰集)》에 수록되어 있는 간찰 중에서 우암 송시열과 은봉 안방준이 6차례에 걸쳐 주고받은 서신을 비교하였는데 서로 어긋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송자》 부록에는 병술년(1646) 선생 40세에 호남의 월출산에 갔다가 보성에서 안우산(安牛山)을 뵈었다고 하고, 왕복한 서신의 1서(書)에서 6서까지 기록되어 있다고 하였다. 《은봉집》에는 은봉이 1573년에 나서 1654년에 졸하였다고 하고, 우산이 75세 되던 1646년에 〈충효전가록(忠孝傳家錄)〉을 지어 우암에게 주었다고 하면서 60세부터 82세로 졸하던 해까지 6차례 은봉이 우암의 서신을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그 서신 왕복의 기록이 서로 어긋나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2년 박완근(朴完根)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大正十一年七月十八日 朴完根 李敎成 大正十一年七月十八日 朴完根 李敎成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2년 7월 18일 나주 본정의 박완근이 보성 이교성에게 발급한 영수증 1922년 7월 18일 나주 본정(本町)의 박완근이 보성 이교성에게 발급한 영수증으로, 일금 6엔70전을 받았다는 것이다. 다만, 본다증시(本多增市)와 이교성 간의 이전, 증명, 보존등기, 납세증명원 등의 일체의 비용을 포함하여 받은 것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배석봉(裵錫奉)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完山泰峻 裵錫奉 □…□(3.5×3.5), 完山(타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완산태준(完山泰峻)이 배석봉(裵錫奉)에게 작성해 준 매도증서(賣渡證書) 대상: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和順郡 道谷面 大谷里) 152번지 畓 579坪 가격: 6200円 참여자: 매주(賣主) 완산태준(完山泰峻), 매수인(買受人) 배석봉(裵錫奉)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6년 최민정(崔旻廷)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崔旻廷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최민정(崔旻廷)이 미상의 시험에 응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시제(詩題) : 원성인수원성인다남자역차시지의시(願聖人壽願聖人多男子亦此詩之意詩) -해서(楷書)- 과차(科次) : 차중(次中) 자호(字號) : 삼시(三始) 비봉(秘封): 봉미(封彌), 할거(割去)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